실업구제와 유통개혁이냐, 사회문제유발과 소비자피해냐.

"직접판매"(방문.다단계판매.전자상거래를 포괄하는 개념)를 바라보는
우리 사회의 상반된 시각이다.

직접판매는 IMF체제하에서 고통받고 있는 실업자들에게 일할 기회를 제공해
주는 새로운 대안일 수 있다.

그러나 이런 주장이 공감대를 넓히지는 못하고 있다.

또 직접판매가 유통혁명시대에 적합한 판매방식이라고는 하지만 내용을
들여다 보면 거시적이고 체계적인 검토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직접판매 업체들은 지금이라도 환골탈태한다는 각오로 전면적인
구조조정에 나서야 한다.

전략적 제휴를 위한 기반구축에도 힘써야 한다.

필자는 그 처방을 네가지로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국내 유통현실을 정확히 파악하고 장기적 방향설정을 위한 전략적
진단에 노력해야 한다.

이를 위해 모든 문제를 제로베이스에서 객관적으로 다뤄야 한다.

한국적 토양에서 직접판매업이 갖는 의의와 정체성을 정리할 필요가 있다.

둘째 책임있는 주체를 중심으로 역할을 분담해야 한다.

권한과 책임이 불분명하고 전문성이 결여된 역할 수행은 잘못된 결과를
낳을 수 밖에 없다.

셋째 환경변화에 신속하고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정비해야
한다.

그래야 추가적인 사회비용을 치르지 않고 효율적으로 사업을 운영할 수
있다.

넷째 유통개혁과 소비자신뢰 확보를 위한 업계의 자율적인 노력이 중요하다.

특히 공동으로 문제에 대처하는 지혜를 모아야 한다.

개별 기업 차원의 성장 추구는 모래위에 집짓는 결과를 불러올 수 있다.

직접판매 시장의 건전한 발전을 위해 최근 "방문판매 등에 관한 법률"의
개정작업이 진행중이라고 한다.

늦은 감이 있지만 다행스런 일이다.

직접판매시장이 체계적으로 정비돼 유통개혁과 소비자보호에 기여했으면
한다.

원성환 < 한국DSM연구소장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9월 26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