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총파업 '초읽기'] '숨가빴던 하루'..노사정 협상안팎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기나긴 하루였다.
금융사상 초유의 은행총파업을 하루 앞둔 28일 파업지도부인 전국금융노동
조합연맹도, 정부도 마음졸이긴 마찬가지였다.
만일 9개 은행의 총파업이 현실로 옮겨지면 금융시스템이 전면 중단되는건
명약관화한 일.
금융노련이나 정부도 이같은 사실을 명백히 인식한 상태였다.
그러나 인력감축을 둘러싼 노사갈등이 봉합되는건 멀고도 머나먼 길.
이날도 예외는 아니었다.
"이헌재 금융감독위원장으로부터 확실한 얘기를 듣지 않는한 총파업을
강행하겠다"는 노조의 입장과 "개별 은행의 인력조정문제는 해당은행 노사
간의 문제"라는 금감위의 입장이 팽팽히 맞섰다.
말로만 얘기되던 은행총파업이 현재진행형으로 다가온 것은 지난 27일 저녁.
금융노련이 파업상황실을 서울 명동성당으로 옮기면서부터다.
지난 22일부터 단식농성중이던 추원서 금융노련 위원장 등 파업지도부가
명동성당에 둥지를 틀면서 은행총파업은 초읽기에 들어갔다.
명동성당에 모인 지도부사이에선 "절대 물러날 수 없다" "두번 다시 속지
말자"는 결전의 의지가 번득였다.
총파업은 점차 기정사실화돼 갔다.
그리고 날이 밝은 28일 오전.
대통령 기자회견에 이어 이헌재 금감위원장의 담화문이 발표됐지만 파업
지도부의 강경한 태도는 좀처럼 누그러지지 않았다.
오히려 전국각지에서 답지하는 조합원들의 격려에 "파업결행론"이 세를
얻어갔다.
한 관계자는 이날 낮 "이제 우리 힘으로도 제어할 수 없을 정도"라고 말할
정도로 흥분된 상태였다.
사태가 급반전된건 이날 오후 3시.
이헌재 위원장이 은행장대표인 류시열 제일은행장을 대동하고 명동성당을
방문하면서부터였다.
"인원조정은 어디까지나 개별은행 노사간의 문제"라며 끼어들기를 애써
꺼려했던 이 위원장으로선 나름대로의 획기적 결단을 내린 셈이었다.
마침 명동성당에서 농성중이던 퇴출 금융기관 직원들의 거센 항의로 명동
성당 담판이 오래가지 못했지만 대화의 물꼬가 트인 건 바로 이때였다.
이때부터 분위기는 대타협쪽으로 급반전됐다.
이헌재 위원장, 류시열 행장, 박인상 한국노총위원장, 추원서 금융노련
위원장 등은 이날 오후 3시30분 은행회관으로 자리를 옮겨 오후7시부터 9개
은행장과 노조가 공동교섭을 재개키로 합의했다.
각 은행들과 노조도 이같은 사실을 전국 지점에 알리고 "대기령"을 내렸다.
마지막 교섭을 앞둔 이날 오후 6시.
9개 은행장들은 은행회관에서 별도로 모여 마지막 교섭전략을 숙의했다.
이 자리에서 은행장들은 "인원감축비율에 대해 금감위가 확실한 융통성을
부여해야 한다"고 금감위에 강력히 요청했다.
금감위도 "은행 노사가 합의해 경영개선 이행계획서중 인원감축 부분에
대해 수정안을 제시하면 이를 받아들이겠다는 이헌재 위원장의 말은 유효
하다"며 화답했다.
이윽고 오후 7시.
9개 은행 노사대표가 은행회관에서 마주 앉았다.
그러나 금융노련은 "9개 은행에 배치된 경찰병력을 철수하지 않는한 협상은
불가능하다"고 주장, 또다시 교착상태에 빠졌다.
결국 경찰병력 일부가 철수한 뒤에야 길고도 긴 심야 마라톤협상은 시작됐고
29일 새벽까지 계속됐다.
< 하영춘 기자 hayoung@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9월 29일자 ).
금융사상 초유의 은행총파업을 하루 앞둔 28일 파업지도부인 전국금융노동
조합연맹도, 정부도 마음졸이긴 마찬가지였다.
만일 9개 은행의 총파업이 현실로 옮겨지면 금융시스템이 전면 중단되는건
명약관화한 일.
금융노련이나 정부도 이같은 사실을 명백히 인식한 상태였다.
그러나 인력감축을 둘러싼 노사갈등이 봉합되는건 멀고도 머나먼 길.
이날도 예외는 아니었다.
"이헌재 금융감독위원장으로부터 확실한 얘기를 듣지 않는한 총파업을
강행하겠다"는 노조의 입장과 "개별 은행의 인력조정문제는 해당은행 노사
간의 문제"라는 금감위의 입장이 팽팽히 맞섰다.
말로만 얘기되던 은행총파업이 현재진행형으로 다가온 것은 지난 27일 저녁.
금융노련이 파업상황실을 서울 명동성당으로 옮기면서부터다.
지난 22일부터 단식농성중이던 추원서 금융노련 위원장 등 파업지도부가
명동성당에 둥지를 틀면서 은행총파업은 초읽기에 들어갔다.
명동성당에 모인 지도부사이에선 "절대 물러날 수 없다" "두번 다시 속지
말자"는 결전의 의지가 번득였다.
총파업은 점차 기정사실화돼 갔다.
그리고 날이 밝은 28일 오전.
대통령 기자회견에 이어 이헌재 금감위원장의 담화문이 발표됐지만 파업
지도부의 강경한 태도는 좀처럼 누그러지지 않았다.
오히려 전국각지에서 답지하는 조합원들의 격려에 "파업결행론"이 세를
얻어갔다.
한 관계자는 이날 낮 "이제 우리 힘으로도 제어할 수 없을 정도"라고 말할
정도로 흥분된 상태였다.
사태가 급반전된건 이날 오후 3시.
이헌재 위원장이 은행장대표인 류시열 제일은행장을 대동하고 명동성당을
방문하면서부터였다.
"인원조정은 어디까지나 개별은행 노사간의 문제"라며 끼어들기를 애써
꺼려했던 이 위원장으로선 나름대로의 획기적 결단을 내린 셈이었다.
마침 명동성당에서 농성중이던 퇴출 금융기관 직원들의 거센 항의로 명동
성당 담판이 오래가지 못했지만 대화의 물꼬가 트인 건 바로 이때였다.
이때부터 분위기는 대타협쪽으로 급반전됐다.
이헌재 위원장, 류시열 행장, 박인상 한국노총위원장, 추원서 금융노련
위원장 등은 이날 오후 3시30분 은행회관으로 자리를 옮겨 오후7시부터 9개
은행장과 노조가 공동교섭을 재개키로 합의했다.
각 은행들과 노조도 이같은 사실을 전국 지점에 알리고 "대기령"을 내렸다.
마지막 교섭을 앞둔 이날 오후 6시.
9개 은행장들은 은행회관에서 별도로 모여 마지막 교섭전략을 숙의했다.
이 자리에서 은행장들은 "인원감축비율에 대해 금감위가 확실한 융통성을
부여해야 한다"고 금감위에 강력히 요청했다.
금감위도 "은행 노사가 합의해 경영개선 이행계획서중 인원감축 부분에
대해 수정안을 제시하면 이를 받아들이겠다는 이헌재 위원장의 말은 유효
하다"며 화답했다.
이윽고 오후 7시.
9개 은행 노사대표가 은행회관에서 마주 앉았다.
그러나 금융노련은 "9개 은행에 배치된 경찰병력을 철수하지 않는한 협상은
불가능하다"고 주장, 또다시 교착상태에 빠졌다.
결국 경찰병력 일부가 철수한 뒤에야 길고도 긴 심야 마라톤협상은 시작됐고
29일 새벽까지 계속됐다.
< 하영춘 기자 hayoung@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9월 29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