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쟁 당시 비정규 유격부대의 조직 편제와 활동상황을 규명하는데
중요한 사료가 될 구월산유격대에 대한 자료가 처음 발견됐다.

정부기록보존소(소장 김선영)가 1일 공개한 문서는 편성표 1권과 부대원
명부 3권 등 모두 4권.

이 문서에는 미국 극동군사령부가 대북첩보 공작에 활용하기 위해 서해안과
동해안에서 활약하던 유격대를 통합, 창설한 극동군사령부 연락파견대
(제8240부대)의 연대편제표와 부대규모, 지휘관 명단과 함께 구월산부대원
등 유격대원 3천3백29명의 출생연도 학력 직업 종군부대 종군기간 등이
기록돼 있다.

구월산유격대는 지난 50년 12월7일 황해도 은율군 장연에서 김종벽대위를
부대장으로 창설한 연풍부대를 모태로 6.25 직후부터 반공유격활동을 전개
하다 51년 3월초 구월 부대로 개편된 뒤 휴전이후 해체됐다.

구월산부대는 청양도 등지에서 50년 12월부터 51년 10월까지 북한 인민군과
치열한 전투를 전개, 사살 5백83명, 생포 3백23명의 전과를 올렸으나 유격
대원의 피해도 전사 1백13명, 부상 88명 등 적지 않았다.

정부기록보존소 관계자는 "8240부대의 기록은 보훈혜택을 받지 못한 전사
및 상이 유격대원과 유가족들에게 유용한 근거자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 최승욱 기자 swchoi@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10월 2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