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일본은 역사적 문화적으로 깊은 관계를 맺어왔다.

2천5백여년동안 어떤 때는 사이좋은 이웃이었고 어떤 때는 전쟁을 치를
만큼 사이가 나쁘기도 했다.

그러나 문화교류가 왕성할 때 양국은 함께 발전했으며 동아시아의 중심
역할을 했다.

2천5백여년동안의 한.일 문화교류사를 짚어본다.

-----------------------------------------------------------------------

<> 삼국시대 이전 =기원전 4세기께 한반도 농경 집단이 현해탄을 건너
일본으로 갔다.

이때부터 벼농사 철기 청동기 제작기술 샤머니즘 등의 새로운 농경 문화가
일본땅에 번지기 시작했다.

이들 도래인들은 토착 수렵민족인 조몬인과 구별되어 야요이인이라 불렸다.

야요이 문화는 토기 문화가 중심이었으며 이후 일본 중심문화로 번져
나갔다.

<> 삼국시대 =4~5세기께 일본에서는 도래인들이 급증했다.

삼국간 전운이 싹트자 전쟁을 피하기위해 이주민들이 집단적으로 도일하게
된 탓이다.

특히 수십만의 백제 유민들이 일본으로 건너가 아스카문화를 꽃피운다.

불상과 사찰 등 일본 고대문화의 걸작은 모두 이때 나왔다.

백제인들은 천문 역산 음양 병법 등의 분야에서 지도적 역할을 했고 한문학
발전에도 큰 기여를 했다.

<> 통일신라시대 =통일신라와 일본은 교류가 별반 없었다.

신라가 왜구들이 창궐하는데 반발, 779년 외교사절을 끝으로 양국관계를
단절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인들의 교류는 계속돼 신라 문물이 일본에 영향을 미쳤다.

의상의 화엄종사상도 이때 일본으로 전파됐다.

<> 고려시대 =고려와 일본은 별 교류없이 지내왔다.

10세기와 12세기 때 일본에서 남북조의 다툼으로 국민 생활이 궁핍해지자
왜구들이 고려연안 주민들에게 노략질하는 사례가 빈번했다.

14세기 초부터 왜구의 노략질이 너무 심해 고려조정에서는 해적의 거점인
쓰시마를 공격하기도 했다.

<> 조선초 =조선 왕조는 일본과 선린관계를 원칙으로 삼았다.

1404년 일본왕실이 조선에 사절단을 파견, 선린관계가 수립되면서
조선에서도 1428년부터 통신사를 보냈다.

무로마치(실정)막부의 지도자들은 선진 조선문물의 수입과 문화교류를
가장 중요한 외교현안으로 삼았다.

이때가 2천년 한.일관계사중 문화교류가 가장 활발했던 황금기였다.

양국의 지식인들은 한시나 회화 유학에 관한 지식을 교환했다.

이때 일본의 귀족층은 조선에서 온 차와 도자기 불경 각종 서적들을 귀하게
여겼으며 일반에도 조선의 유교문화가 차츰 번져갔다.

그러나 임진왜란으로 양국의 문화교류는 금이 가기 시작했다.

<> 조선후기 =임진왜란이후 집권한 일본의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어떻게
하든지 조선과 친교를 맺으려 애썼다.

조선왕조도 일본과 우방국가로 지내기를 희망했다.

조선은 이를 위해 조선통신사의 방문횟수를 늘렸다.

통신사를 통한 문화교류로 일본은 조선에서 유교를 수입하려 애썼고
인적교류를 강화했다.

가부키 하이쿠 등 일본문화가 융성한 것도 바로 이때다.

<> 조선말기 =일본의 집권층에서 조선을 정벌하자는 정한론파가
우세해지면서 조.일관계는 급변한다.

대등한 관계에서 지배적인 관계로 바꾸는 것이 정한론파의 목적이었다.

이때부터 한국의 지식인층은 일본에 유학하며 선진문물을 배운다.

일본 문화가 수입되면서 한국에서는 전통문화와 갈등이 빚어지기 시작했다.

<> 일제강점기 =일본은 내선일체를 외치면서 여러 방법으로 조선문화
말살정책을 펼쳤다.

조선어사용을 막고 창씨개명작업을 벌였다.

각종 제사도 금지시켰다.

민족종교에 대해 탄압하며 조선문화를 일본문화에 동화시키려 했다.

이 당시에 나온 일본 영화나 가요 등은 해방후 한국대중문화에까지 엄청난
영향을 끼쳤다.

<> 해방후 =일본과의 문화교류 빗장을 단단히 잠갔다.

일본의 한국침략에 대한 상처가 아물지않은 탓이다.

그뒤 양국간 관계가 호전되면서 일본문화가 외교상 핫 이슈로 떠올랐다.

새정권이 들어서면 항상 일본문화개방을 내세우다가 여론에 밀려 다시
개방반대쪽으로 방향을 돌리곤 했다.

하지만 일본의 만화영화는 한국의 안방을 휩쓸었고 각종 잡지와 불량도서
까지 무분별하게 수입됐다.

90년대부터 위성방송이 시작되면서 일본문화는 더 자연스럽게 확산됐다.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10월 7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