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스로 중산층이라고 생각하는 국민이 국제통화기금(IMF)체제 이전에 비해
절반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또 IMF체제 이후 재산이 줄었다는 가구가 75%에 달했다.

절반에 가까운 국민이 향후 경제회복은 5년이상 걸릴 것으로 내다봤다.

이같은 사실은 한국경제신문이 창간 34주년을 맞아 조사전문기관인
KRC리서치인터내셔널에 의뢰해 서울 부산 대구 등 6대 도시의 가구주 1천명
을 대상으로 실시한 "국민 경제의식 여론조사" 결과에서 나타났다.

이번 조사 결과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대다수의 국민들이 1년전에 비해
자신의 경제적 지위가 내려갔다고 평가한 점이다.

특히 "중산층"의 몰락현상이 뚜렷하다.

1년전에는 자신을 중류층이라고 생각한 사람은 조사대상의 절반정도인
48.8%에 달했으나 현재는 29.1%만이 중류층이라고 답했다.

20%포인트 정도 줄어들었다.

반면 25.4%에 그쳤던 중하류층은 39.9%로 14.5%포인트나 늘었다.

하류층도 크게 증가해 1년전 하류층과 최하류층을 합친 비율이 10.4%에
불과했지만 지금은 24.6%로 불어났다.

경제지위 하락과 같은 맥락으로 IMF이후 재산이 줄거나 빚이 늘었다는
가구가 10가구중 7가구를 넘었다.

1년전과 비교해 재산변동을 물은 질문(중복응답 허용)에 대해 "변화 없다"
는 대답은 25.7%에 그쳤다.

나머지 74.3%는 재산이 줄었다고 답했다.

특히 44.5%가 "매달 저축액이 감소했다"고 응답했고 "적금이나 보험을
아예 해약했다"는 사람도 36.2%에 달했다.

"빚이 늘거나 새로 생겼다"는 가구는 21.5%였다.

대부분 가구에서 이같이 재산이 감소함에 따라 생활비도 크게 줄인 것으로
조사됐다.

가구주의 72.5%가 IMF이전 보다 생활비를 줄였다고 답했다.

"비슷하다"는 대답은 23.6%, "늘었다"는 3.9%에 불과했다.

생활비 감소폭은 평균 27%에 달했다.

향후 경제에 대해선 비관적인 전망이 지배적이다.

국내경제가 내년부터는 회복세로 돌아설 것이라고 정부는 내다보고 있지만
조사대상의 45.8%가 경제회복에 3-4년이 걸릴 것이라고 응답했다.

5년이상이 걸릴 것이라는 답변도 41.6%나 됐다.

응답자의 87.4%가 경제위기가 3년이상 지속될 것이라고 보는 것이다.

경제회생을 위한 과제로는 "정치 안정"(34.6%)과 "정치부패 척결"(11.8%)
등 정치문제를 꼽은 응답자가 많았다.

다음은 <>금융구조 안정(19.1%) <>수출활력 회복(12.7%) <>기업구조조정
(11.5%) <>기업부조리 척결(10.0%) <>실업대책(0.2) 순이다.

IMF이후 국민의식 변화도 흥미롭다.

기업회생을 위해 정리해고가 필요한다는 응답이 70.9%에 달했다.

또 절대다수(97.3%)가 IMF체제 이후 부유층은 별 영향을 받지 않고
서민들만 고통이 늘었다고 대답했다.

외국인이 국내기업을 사들이는 것에 대해 72.1%가 반대하지 않았다.

한편 "임금이 얼마나 깎이면 직장을 그만 두겠느냐"는 질문엔 63%에 달하는
사람이 "임금 삭감폭에 관계없이 절대 그만두지 않겠다"고 답해 눈길을
끌었다.

< 차병석 기자 chabs@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10월 13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