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내용은 세계 제8위의 은행인 네덜란드 ABN암로은행에서 독자분들의
유러화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4회 연재합니다.

-----------------------------------------------------------------------

유러화는 1991년 12월 유럽연합(EU) 정상들이 네덜란드 마스트리히트에서
유럽단일통화 창출을 합의함으로써 탄생하게 되었다.

이미 이 합의에 의해 회원국간 경제및 통화정책의 협력을 강화하였고, 이의
이행을 감독하기 위한 유럽통화기구(EMI)및 유럽중앙은행(ECB)을 설립하여
1999년 1월1일부터 정식 출범하게 되었다.

1998년 5월에는 초대 유럽 중앙은행 총재에 네덜란드 재무장관을 역임한바
있는 욈 뒤젠베르그씨를 지명하여 단일통화 도입을 위한 모든 준비를 끝냈다.

따라서 당장 내년 1월1일부터는 참가국간의 환산율을 고정하고, 증권거래의
유러화 표시, 국채발행및 증권거래 도매시장에서의 유러화 결재, 중앙은행및
상업은행간 거래의 유러화 표시 의무화하였다.

2002년 1월에는 유러화의 지폐(7종)와 주화(8종)을 유통시키고, 그해
7월에는 참가국 통화의 법적효력 정지및 유통을 금지하여 유로화가 유일한
법화로서 남게 된다.

유러화가 정식 출범함에 따라 앞으로 기업, 은행및 소비자 개개인에게도
많은 변화를 초래하게 될 것이다.

단기적으로 금융기관, 소프트웨어 시장, 자판기 제조, 인쇄, 소매, 여행업
등에 많은 수요변화를 초래할 전망이다.

예를들어 유럽경제통화동맹(EMU) 참가국을 여행시 환전의 필요성이
없어지고, 새로운 지폐와 동전의 제조, 각종 자판기의 수정및 전산시스템의
교체등 관련 산업에 많은 영향을 끼칠 것이다.

이밖에 자동차 전기 전자 화학 철강 기계산업 등 중화학 공업부문에 대한
유로화의 영향은 중.장기적으로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즉 각 지역에 따라 존재하던 가격의 차이가 점차 평준화(가격의 투명성)
되고, 공급자간 경쟁이 치열해짐에 따라 우수한 품질의 제품을 보다 유리한
가격에 공급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화와 향상된 가격 투명성을 바탕으로, 대기업들은 단일통화권
내에서 타기업을 인수.합병하는 방식으로 다국적 기업화할 가능성이 높으며,
역내의 중소기업은 경쟁기업의 시장 진출에 대하여 지역내 관련 중소기업과
협조하여 그들에 맞는 틈새시장(niche market)의 개발 등 적절한 자구책을
마련할 것으로 전망된다.

유러화 도입으로 우리나라 기업 또한 환위험 헷지 비용과 거래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유러화 도입 11개국에 산재한 소규모 자본시장이 단일
통화권으로 묶여짐으로써 미국 자본시장과 대등한 단일시장이 출현하여
충분한 유동성이 확보됨으로써 단기및 중장기 자금의 조달이 용이해질
것이며, 이러한 변화를 충분히 활용하기 위하여 신속한 유러화로의 전환을
고려해 보아야할 것이다.

김홍수 < ABN.AMRO은행 지배인 hong.soo.kim@ap.abnamro.com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10월 13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