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 창간 34돌] 국민경제의식 여론조사 <1> : 소비변화 등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작년말 외환위기 이후 국제통화기금(IMF)체제는 한국경제를 근본부터
뒤바꿔 놓았다.
이는 일반국민들의 생활상과 의식 가치관에서도 예외가 아니다.
한국경제신문은 이런 변화상을 확인하기 위해 창간 34주년을 맞아
KRC리서치인터내셔널(대표이사 박영준)과 공동으로 ''국민경제의식 여론조사''
를 실시했다.
한국경제신문은 앞으로도 분기별(3개월 단위)로 KRC리서치인터내셔널과
함께 국민의식 여론조사를 계속해 IMF시대 국민들의 생활상과 의식변화를
분석할 예정이다.
조사방법은 다음과 같다.
<> 대상 =20대후반 50대 전반 사이의 남.여 가구주 1천명
<> 지역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전국 6대 도시)
<> 표본추출 =지역 연령 성별 비례할당
<> 조사기간및 방법=9월26일-9월28일, 전화조사
<> 표본오차=95% 신뢰수준에서 플러스 마이너스 3.1%
=======================================================================
[ 재산 / 소비변화 ]
IMF이후 국민 10명중 7명은 재산이 줄거나 빚이 늘어난 것으로 분석됐다.
재산변동 여부(중복응답)에 대해 "변화가 없다"는 대답은 25.7%에 그쳤다.
나머지 74.3%는 재산이 줄었다고 답했다.
44.5%가 "매달 저축액이 감소했다"고 응답했고 "적금이나 보험을 아예
해약했다"는 사람도 36.2%에 달했다.
"예금총액이 줄었다"는 대답은 20.8%, "빚이 늘었거나 새로 생겼다"는
사람은 21.5%였다.
주식이나 부동산을 처분했다는 응답은 각각 3.9%와 2.4%였다.
매월 저축액을 줄였다는 사람들의 저축액 감소폭은 평균 49.9%, 빚이
늘었다는 사람들의 부채증가폭은 평균 23.8%에 달했다.
이처럼 대부분 가구의 재산이 줄면서 생활비도 따라 감소했다.
가구주의 72.5%가 IMF이전 보다 생활비를 줄였다고 답했다.
비슷하다는 대답은 23.6%였고 오히려 "늘었다"는 3.9%에 불과했다.
생활비가 감소했다는 응답을 소득별로 보면 <>월평균 소득 1백만원 미만인
가구(1그룹)에서 88.5% <>1백만-1백50만원(2그룹) 77.8% <>1백51만-2백만원
(3그룹) 75.4% <>2백1만-3백만원(4그룹) 60.6% <>3백1만원이상(5그룹)
45.1%가 나왔다.
저소득층일수로 생활비를 줄인 가구가 많다.
생활비 감소폭은 평균 27%에 달했다.
역시 저소득층일수록 감소폭도 컸다.
저소득순으로 1그룹의 감소폭이 39%로 가장 컸고 다음은 <>2그룹 27%
<>3그룹 24% <>4그룹 21% <>5그룹 15%의 순이었다.
생활비 감소원인은 급여삭감이 55.9%로 단연 많았다.
다음은 물가상승(24%) 실직(13%) 금리상승(6.2%)의 순이다.
생활비중 특히 많이 줄인 부분(중복응답)은 외식비가 41.7%로 가장 많이
꼽혔다.
이어 의류.신발(41.1%) 식품비(33.5%) 사교육비(23.4%) 취미활동비(18.7%)
유흥.오락비(16.4%) 가전 자동차 등 내구재구입(10.8%) 등의 순으로 응답
했다.
주로 먹고 입는 것부터 줄였다는 얘기다.
한편 가구주 개인의 소비 감소폭은 평균 34%로 가구 생활비 감소폭(평균
27%)에 비해 더 큰 것으로 조사됐다.
[ 자신의 경제지위 ]
대다수의 국민들이 1년전과 비교해 자신의 경제적 지위가 하락했다고 평가
했다.
특히 중류층과 중하류층의 지위 하락이 두드러졌다.
1년전 48.8%가 자신을 중류층으로 생각했으나 현재는 29.1%만이 중류층
이라고 답했다.
반면 25.4%에 그쳤던 중하류층은 39.9%로 14.5%포인트나 늘었다.
하류층도 크게 늘었다.
1년전 하류층과 최하류층은 각각 9.7%와 0.7%에 불과했다.
그러나 지금은 각각 20.9%와 3.7%로 증가했다.
결국 24.6%가 현재 자신의 경제지위를 하류층이하로 보고 있다.
경제지위 하향화는 상류층도 예외가 아니어서 1년전 1.1%에서 0.3%로 감소
했다.
특히 1년전 중상류층이었던 사람들중 지금도 중상류층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38.5%에 그쳤다.
나머지는 중류층(26.6%) 중하류층(23.1%) 하류층(10.5%) 최하류층(10.4%)
으로 하향 이동했다.
중류층이었던 사람들도 절반수준인 51.2%만이 그대로 중류층에 남았고
나머지는 중하류층(40%) 하류층(8.4%) 최하류층(0.4%)으로 바뀌었다.
또 1년중 중하류층중 30.3%와 2%가 각각 하류층과 최하류층으로 내려왔다.
중산층의 "몰락"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결과다.
경제적 지위가 하락한 원인(중복응답)으론 급여와 소득감소를 꼽은 대답이
73.7%로 제일 많았다.
다음은 물가상승(31.1%) 생활의 여유가 없어짐(27.6%) 저축감소(18.5%)
실직(14.2%) 재산가치감소(10.7%) 미래 불확실(10.5%) 부채증가(8.7%)
순이다.
현재 자신의 가정 형편에 대해선 절반(49.9%)에 달하는 응답자가 "겨우
살만한 정도"라고 답했다.
"간신히 먹고 사는 수준"은 22.5%, "먹고 살기조차 어려운 형편"은 3.0%
였다.
"다소 여유가 있다"거나 "매우 여유있다"는 각각 24.3%와 0.3%에 그쳤다.
[ 임금과 정리해고 ]
임금삭감 가능성에 대해선 50.9%가 "있다"고 답했다.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응답도 12.7%에 달했다.
63.6%가 앞으로도 임금이 더 깎일 수 있다고 보는 것이다.
임금 삭감 가능성이 "별로 없다"와 "전혀 없다"는 각각 19.1%와 11.0%였다.
연령대별로 보면 나이가 많을 수록 임금삭감 가능성을 높게 내다보는
경향이다.
40대와 50대의 경우 그 가능성을 각각 66%와 68%로 점쳤다.
직업별론 생산직이나 판매 서비스직에 비해 사무직에서 임금삭감 가능성이
있다는 응답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임금이 얼마나 깎이면 현재의 직장을 그만 두겠느냐"는 질문을 던져 봤다.
여기에 63%에 달하는 사람이 "임금 삭감폭에 관계없이 절대 그만두지
않겠다"고 답했다.
30%이상 삭감되면 그만두겠다는 사람이 14.6%, 10-30% 깎이면 관두겠다는
응답이 21.9%였다.
직장을 잃으면 재취업이 거의 불가능한 현실을 반영하고 있다.
자신의 정리해고 가능성과 관련, 10명중 3명(33.2%)이 "가능성이 있다"고
응답했다.
"별로 없다"와 "전혀 없다"는 각각 30%와 29.2%였다.
직업별로는 사무직 종사자(35.7%)와 연령대로는 40대(35.5%)와 50대(37.5%)
에서 정리해고의 가능성을 높게 봤다.
이들이 특히 직장에서 떨려날까 불안해 하고 있다는 뜻이다.
만약 실제 정리해고를 당했을 경우의 대처방안에 대해선 "다른 일자리를
알아본다"가 42.8%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다음은 개인사업(28.7%) 재취업위한 교육(15.0%) 귀농(9.0%) 재취업포기
(3.8%) 순이다.
퇴직후 퇴직금 사용처의 경우 금융기관 예금이 43.6%로 가장 많았고 개인
사업 준비(34.3%) 부채상환(10.6%) 부동산 매입(5.8%) 등의 순이었다.
연령대 별로는 20대와 30대에서 개인사업 준비가 다소 많아 각각 38.8%와
37.7%에 달했다.
반면 40대와 50대에선 안정위주의 성향 때문인지 금융기관 예금(각각
48%,50%)이 우세했다.
< 차병석 기자 chabs@ >
-----------------------------------------------------------------------
[[[ 설문 / 응답 내용 ]]]
[ 가계및 개인소비 지출 성향 ]
<> IMF체제 이후 가구 생활비규모
1) 감소 72.5%
2) 비슷 23.6%
3) 증가 3.9%
<> 생활비 감소 요인
1) 급여 삭감 55.9%
2) 물가 상승 24.0%
3) 실직 13.0%
4) 이자율/금리 상승 6.2%
5) 기타 0.9%
<> 지출 감축 부문(2가지 선택)
1) 외식비 41.7%
2) 의류.신발 41.1%
3) 식품비 33.5%
4) 사교육비 23.4%
5) 레저.취미활동비 18.7%
6) 유흥.오락비(술값) 16.4%
7) 가구.자동차 등 내구재 10.8%
8) 개인용품및 미용품 7.2%
9) 통신비 2.6%
10) 집값.집세 1.1%
<> 가계 재산 변동(중복 응답)
1) 저축액수 감소 44.5%
2) 적금,보험 해약 36.2%
3) 예금총액 감소 20.8%
4) 빚 증가 11.8%
5) 빚 발생 9.7%
6) 주식 매각 3.9%
7) 부동산 처분 2.4%
8) 없다 25.7%
[ 경제적 지위 ]
<> 자신의 경제적 지위
1) 상류층 0.3%
2) 중상류층 6.1%
3) 중류층 29.1%
4) 중하류층 39.9%
5) 하류층 20.9%
6) 최하류층 3.7%
<> 1년전 경제적 지위
1) 상류층 1.1%
2) 중상류층 14.3%
3) 중류층 48.8%
4) 중하류층 25.4%
5) 하류층 9.7%
6) 최하류층 0.7%
<> 경제적 지위 하락원인(2개 선택)
1) 급여및 소득감소 73.7%
2) 물가 상승 31.1%
3) 소비생활의 여유 감소 27.6%
4) 저축 감소 18.5%
5) 실직 14.2%
6) 재산가치 감소 10.7%
7) 미래 불확실 10.5%
8) 빚 증가 8.7%
9) 여가 활동 위축 2.7%
<> 현재 자신의 가정 형편
1) 먹고 살기조차 어렵다 3.0%
2) 간신히 먹고 산다 22.5%
3) 겨우 살만하다 49.9%
4) 다소 여유 24.3%
5) 매우 여유 0.3%
[ 임금 삭감및 정리해고 ]
<> 임금 삭감 가능성
1) 매우 높다 12.7%
2) 있다 50.9%
3) 별로 없다 19.1%
4) 전혀 없다 11.0%
<> 직장을 그만 둘 정도의 임금삭감폭
1) 절대 그만두지 않겠다 63.0%
2) 10%이하 5.2%
3) 11~20% 7.2%
4) 21~30% 9.5%
5) 31~50% 12.4%
6) 51%이상 2.7%
<> 정리해고 가능성
1) 매우 높다 5.7%
2) 있다 27.5%
3) 별로 없다 30.0%
4) 전혀 없다 29.2%
5) 잘 모르겠다 13.3%
<> 정리해고 대처방안
1) 구직활동 42.8%
2) 개인 사업 28.7%
3) 재취업 교육 15.0%
4) 귀농 19.0%
5) 재취업 포기 3.8%
<> 퇴직금 사용용도
1) 금융기관 예금 43.6%
2) 개인사업 준비 34.3%
3) 빚 상환 10.6%
4) 부동산 매입 5.8%
5) 주식채권투자 1.2%
6) 기타 3.2%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10월 13일자 ).
뒤바꿔 놓았다.
이는 일반국민들의 생활상과 의식 가치관에서도 예외가 아니다.
한국경제신문은 이런 변화상을 확인하기 위해 창간 34주년을 맞아
KRC리서치인터내셔널(대표이사 박영준)과 공동으로 ''국민경제의식 여론조사''
를 실시했다.
한국경제신문은 앞으로도 분기별(3개월 단위)로 KRC리서치인터내셔널과
함께 국민의식 여론조사를 계속해 IMF시대 국민들의 생활상과 의식변화를
분석할 예정이다.
조사방법은 다음과 같다.
<> 대상 =20대후반 50대 전반 사이의 남.여 가구주 1천명
<> 지역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전국 6대 도시)
<> 표본추출 =지역 연령 성별 비례할당
<> 조사기간및 방법=9월26일-9월28일, 전화조사
<> 표본오차=95% 신뢰수준에서 플러스 마이너스 3.1%
=======================================================================
[ 재산 / 소비변화 ]
IMF이후 국민 10명중 7명은 재산이 줄거나 빚이 늘어난 것으로 분석됐다.
재산변동 여부(중복응답)에 대해 "변화가 없다"는 대답은 25.7%에 그쳤다.
나머지 74.3%는 재산이 줄었다고 답했다.
44.5%가 "매달 저축액이 감소했다"고 응답했고 "적금이나 보험을 아예
해약했다"는 사람도 36.2%에 달했다.
"예금총액이 줄었다"는 대답은 20.8%, "빚이 늘었거나 새로 생겼다"는
사람은 21.5%였다.
주식이나 부동산을 처분했다는 응답은 각각 3.9%와 2.4%였다.
매월 저축액을 줄였다는 사람들의 저축액 감소폭은 평균 49.9%, 빚이
늘었다는 사람들의 부채증가폭은 평균 23.8%에 달했다.
이처럼 대부분 가구의 재산이 줄면서 생활비도 따라 감소했다.
가구주의 72.5%가 IMF이전 보다 생활비를 줄였다고 답했다.
비슷하다는 대답은 23.6%였고 오히려 "늘었다"는 3.9%에 불과했다.
생활비가 감소했다는 응답을 소득별로 보면 <>월평균 소득 1백만원 미만인
가구(1그룹)에서 88.5% <>1백만-1백50만원(2그룹) 77.8% <>1백51만-2백만원
(3그룹) 75.4% <>2백1만-3백만원(4그룹) 60.6% <>3백1만원이상(5그룹)
45.1%가 나왔다.
저소득층일수로 생활비를 줄인 가구가 많다.
생활비 감소폭은 평균 27%에 달했다.
역시 저소득층일수록 감소폭도 컸다.
저소득순으로 1그룹의 감소폭이 39%로 가장 컸고 다음은 <>2그룹 27%
<>3그룹 24% <>4그룹 21% <>5그룹 15%의 순이었다.
생활비 감소원인은 급여삭감이 55.9%로 단연 많았다.
다음은 물가상승(24%) 실직(13%) 금리상승(6.2%)의 순이다.
생활비중 특히 많이 줄인 부분(중복응답)은 외식비가 41.7%로 가장 많이
꼽혔다.
이어 의류.신발(41.1%) 식품비(33.5%) 사교육비(23.4%) 취미활동비(18.7%)
유흥.오락비(16.4%) 가전 자동차 등 내구재구입(10.8%) 등의 순으로 응답
했다.
주로 먹고 입는 것부터 줄였다는 얘기다.
한편 가구주 개인의 소비 감소폭은 평균 34%로 가구 생활비 감소폭(평균
27%)에 비해 더 큰 것으로 조사됐다.
[ 자신의 경제지위 ]
대다수의 국민들이 1년전과 비교해 자신의 경제적 지위가 하락했다고 평가
했다.
특히 중류층과 중하류층의 지위 하락이 두드러졌다.
1년전 48.8%가 자신을 중류층으로 생각했으나 현재는 29.1%만이 중류층
이라고 답했다.
반면 25.4%에 그쳤던 중하류층은 39.9%로 14.5%포인트나 늘었다.
하류층도 크게 늘었다.
1년전 하류층과 최하류층은 각각 9.7%와 0.7%에 불과했다.
그러나 지금은 각각 20.9%와 3.7%로 증가했다.
결국 24.6%가 현재 자신의 경제지위를 하류층이하로 보고 있다.
경제지위 하향화는 상류층도 예외가 아니어서 1년전 1.1%에서 0.3%로 감소
했다.
특히 1년전 중상류층이었던 사람들중 지금도 중상류층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38.5%에 그쳤다.
나머지는 중류층(26.6%) 중하류층(23.1%) 하류층(10.5%) 최하류층(10.4%)
으로 하향 이동했다.
중류층이었던 사람들도 절반수준인 51.2%만이 그대로 중류층에 남았고
나머지는 중하류층(40%) 하류층(8.4%) 최하류층(0.4%)으로 바뀌었다.
또 1년중 중하류층중 30.3%와 2%가 각각 하류층과 최하류층으로 내려왔다.
중산층의 "몰락"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결과다.
경제적 지위가 하락한 원인(중복응답)으론 급여와 소득감소를 꼽은 대답이
73.7%로 제일 많았다.
다음은 물가상승(31.1%) 생활의 여유가 없어짐(27.6%) 저축감소(18.5%)
실직(14.2%) 재산가치감소(10.7%) 미래 불확실(10.5%) 부채증가(8.7%)
순이다.
현재 자신의 가정 형편에 대해선 절반(49.9%)에 달하는 응답자가 "겨우
살만한 정도"라고 답했다.
"간신히 먹고 사는 수준"은 22.5%, "먹고 살기조차 어려운 형편"은 3.0%
였다.
"다소 여유가 있다"거나 "매우 여유있다"는 각각 24.3%와 0.3%에 그쳤다.
[ 임금과 정리해고 ]
임금삭감 가능성에 대해선 50.9%가 "있다"고 답했다.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응답도 12.7%에 달했다.
63.6%가 앞으로도 임금이 더 깎일 수 있다고 보는 것이다.
임금 삭감 가능성이 "별로 없다"와 "전혀 없다"는 각각 19.1%와 11.0%였다.
연령대별로 보면 나이가 많을 수록 임금삭감 가능성을 높게 내다보는
경향이다.
40대와 50대의 경우 그 가능성을 각각 66%와 68%로 점쳤다.
직업별론 생산직이나 판매 서비스직에 비해 사무직에서 임금삭감 가능성이
있다는 응답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임금이 얼마나 깎이면 현재의 직장을 그만 두겠느냐"는 질문을 던져 봤다.
여기에 63%에 달하는 사람이 "임금 삭감폭에 관계없이 절대 그만두지
않겠다"고 답했다.
30%이상 삭감되면 그만두겠다는 사람이 14.6%, 10-30% 깎이면 관두겠다는
응답이 21.9%였다.
직장을 잃으면 재취업이 거의 불가능한 현실을 반영하고 있다.
자신의 정리해고 가능성과 관련, 10명중 3명(33.2%)이 "가능성이 있다"고
응답했다.
"별로 없다"와 "전혀 없다"는 각각 30%와 29.2%였다.
직업별로는 사무직 종사자(35.7%)와 연령대로는 40대(35.5%)와 50대(37.5%)
에서 정리해고의 가능성을 높게 봤다.
이들이 특히 직장에서 떨려날까 불안해 하고 있다는 뜻이다.
만약 실제 정리해고를 당했을 경우의 대처방안에 대해선 "다른 일자리를
알아본다"가 42.8%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다음은 개인사업(28.7%) 재취업위한 교육(15.0%) 귀농(9.0%) 재취업포기
(3.8%) 순이다.
퇴직후 퇴직금 사용처의 경우 금융기관 예금이 43.6%로 가장 많았고 개인
사업 준비(34.3%) 부채상환(10.6%) 부동산 매입(5.8%) 등의 순이었다.
연령대 별로는 20대와 30대에서 개인사업 준비가 다소 많아 각각 38.8%와
37.7%에 달했다.
반면 40대와 50대에선 안정위주의 성향 때문인지 금융기관 예금(각각
48%,50%)이 우세했다.
< 차병석 기자 chabs@ >
-----------------------------------------------------------------------
[[[ 설문 / 응답 내용 ]]]
[ 가계및 개인소비 지출 성향 ]
<> IMF체제 이후 가구 생활비규모
1) 감소 72.5%
2) 비슷 23.6%
3) 증가 3.9%
<> 생활비 감소 요인
1) 급여 삭감 55.9%
2) 물가 상승 24.0%
3) 실직 13.0%
4) 이자율/금리 상승 6.2%
5) 기타 0.9%
<> 지출 감축 부문(2가지 선택)
1) 외식비 41.7%
2) 의류.신발 41.1%
3) 식품비 33.5%
4) 사교육비 23.4%
5) 레저.취미활동비 18.7%
6) 유흥.오락비(술값) 16.4%
7) 가구.자동차 등 내구재 10.8%
8) 개인용품및 미용품 7.2%
9) 통신비 2.6%
10) 집값.집세 1.1%
<> 가계 재산 변동(중복 응답)
1) 저축액수 감소 44.5%
2) 적금,보험 해약 36.2%
3) 예금총액 감소 20.8%
4) 빚 증가 11.8%
5) 빚 발생 9.7%
6) 주식 매각 3.9%
7) 부동산 처분 2.4%
8) 없다 25.7%
[ 경제적 지위 ]
<> 자신의 경제적 지위
1) 상류층 0.3%
2) 중상류층 6.1%
3) 중류층 29.1%
4) 중하류층 39.9%
5) 하류층 20.9%
6) 최하류층 3.7%
<> 1년전 경제적 지위
1) 상류층 1.1%
2) 중상류층 14.3%
3) 중류층 48.8%
4) 중하류층 25.4%
5) 하류층 9.7%
6) 최하류층 0.7%
<> 경제적 지위 하락원인(2개 선택)
1) 급여및 소득감소 73.7%
2) 물가 상승 31.1%
3) 소비생활의 여유 감소 27.6%
4) 저축 감소 18.5%
5) 실직 14.2%
6) 재산가치 감소 10.7%
7) 미래 불확실 10.5%
8) 빚 증가 8.7%
9) 여가 활동 위축 2.7%
<> 현재 자신의 가정 형편
1) 먹고 살기조차 어렵다 3.0%
2) 간신히 먹고 산다 22.5%
3) 겨우 살만하다 49.9%
4) 다소 여유 24.3%
5) 매우 여유 0.3%
[ 임금 삭감및 정리해고 ]
<> 임금 삭감 가능성
1) 매우 높다 12.7%
2) 있다 50.9%
3) 별로 없다 19.1%
4) 전혀 없다 11.0%
<> 직장을 그만 둘 정도의 임금삭감폭
1) 절대 그만두지 않겠다 63.0%
2) 10%이하 5.2%
3) 11~20% 7.2%
4) 21~30% 9.5%
5) 31~50% 12.4%
6) 51%이상 2.7%
<> 정리해고 가능성
1) 매우 높다 5.7%
2) 있다 27.5%
3) 별로 없다 30.0%
4) 전혀 없다 29.2%
5) 잘 모르겠다 13.3%
<> 정리해고 대처방안
1) 구직활동 42.8%
2) 개인 사업 28.7%
3) 재취업 교육 15.0%
4) 귀농 19.0%
5) 재취업 포기 3.8%
<> 퇴직금 사용용도
1) 금융기관 예금 43.6%
2) 개인사업 준비 34.3%
3) 빚 상환 10.6%
4) 부동산 매입 5.8%
5) 주식채권투자 1.2%
6) 기타 3.2%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10월 13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