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와 아시아자동차의 향방이 전혀 드러나지않고 있다.

입찰서류 마감직후 바로 응찰내역이 밝혀졌던 1.2차 입찰 때와 달리 3차
입찰에서는 응찰업체들이 함구로 일관하고 있다.

게다가 인수가능성이 가장 낮다는 평가를 받던 대우의 유력설이 13일
갑자기 흘러나와 기아와 아시아의 향방은 예측을 불허하고 있다.

현대와 삼성의 대결로 점쳐지던 입찰마감 이전과는 전혀 다른 양상이다.

<>대우 유력설=대우가 낙찰될 것이라는 소문은 4개 응찰업체 가운데
대우자동차가 가장 부채탕감 요구액을 낮게 써냈다는 루머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대우가 써냈다는 부채탕감 요구액은 6조원미만.

이에 비해 삼성자동차는 6조5천억~7조원을 탕감해달라고 썼고 현대자동차는
그 이상을 써냈다는게 업계 소식이다.

포드는 1차 입찰때 달았던 "적정부채 4조원" 조건을 그대로 고수,
8조원이상의 탕감을 요청했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이게 사실이라면 대우는 입찰조건상 단연 1순위 낙찰자가 된다.

대우는 이같은 소문에 대해 "노 코멘트"다.

그저 "응찰준비를 열심히 했을 뿐"이라는 얘기만 되풀이하고 있다.

다만 김우중 회장이 그동안 "기아 설비를 해외에 이전해 국의 설비과잉
현상을 해소해야 한다"며 기아의 각 라인에 대한 이전 계획까지 내보인
적이 있어 낙찰가능한 탕감금액을 제시할 것으로 분석하고 있는 정도다.

<>삼성의 가능성=삼성의 인수 가능성은 1,2차 입찰때와 마찬가지로
여전히 높다.

기아 처리 이후 자동차산업의 구조조정을 논의한다는 재계의 합의가
큰 부담이 되고 있는데다 기아를 인수하지 않고는 독자 생존이 어렵다는
판단도 기아 인수에 대한 가능성을 높여 놓고 있다.

그러나 삼성 관계자는 "이번에도 2차 입찰때와 마찬가지로 적정한
수준에서 응찰가와 부채탕감요구액을 제시했다"고 밝히고 있다.

삼성은 2차 입찰때 6조원에서 7조원 사이의 부채탕감을 요구한 적이
있어 이번에 제시한 요구액도 크게 벗어나지는 않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현대와 포드의 열세=현대와 포드는 이번 입찰에서 차점낙찰자가
되기에도 벅차 보인다.

현대는 대우나 삼성에 비해 부채탕감액은 더 많이 썼다는 후문이고
포드는 1차 때 주장했던 "적정부채 4조원"이라는 원칙을 고수했을
것이라는 추측이다.

< 김정호 기자 jhkim@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10월 14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