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가 한강의 노벨문학상 수상 효과로 서적출판업 생산이 증가했지만, 한 달 만에 마이너스로 전환됐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2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 수상 소식이 전해진 지난해 10월 서적 출판업 생산은 1년 전보다 2.8% 증가했다. 서적 출판업 생산은 작년 2월 -4.9%를 기록한 이후 9월까지 마이너스 행보를 보였지만, 9개월 만에 플러스로 전환됐다. 이는 지난 10월 10일 한강의 노벨문학상 수상 발표 이후 도서 구매가 급했기 때문으로 해석됐다. BC카드에 따르면 작년 10월 온라인 서점 매출은 1년 전보다 18.0% 늘었다. 같은 기간 서적·문구 판매지수도 1.7% 증가하면서 7개월 만에 플러스로 반전했다. 하지만 11월 지표에서 일제히 큰 폭의 감소세가 포착됐다. 11월 서적출판업 생산은 1년 전보다 11.1% 줄었는데, 이는 2023년 1월 기록한 -11.9% 이후 1년 10개월 만에 최대폭이다. 같은 달 서적·문구 판매지수도 6.1% 줄며 2021년 8월 -6.8% 이후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 하지만 출판업계에서는 한강의 노벨문학상 수상은 한국 문학에 관한 세계 독자들의 관심을 키웠다는 점에서 향후 경제적 효과는 가늠하기 어려울 만큼 크다고 기대하고 있다. 중장기적인 호재로 부각될 수 있다는 것.더불어 최근 경기 침체로 인한 내수 부진, 12월 비상계엄 사태 등 악재가 겹쳐 긍정 효과가 제약받고 있다는 분석도 있다. 김소연 한경닷컴 기자 sue123@hankyung.com
"이번 설 연휴엔 국내 여행으로 알차게 보냈지만, 더 길게 쉴 수 있는 올 추석엔 유럽 여행을 준비하려고요."짧게는 6일, 설 연휴 직후 연차를 하루(지난달 31일) 사용할 경우 최장 9일간의 설 연휴를 마치고 일상으로 복귀한 직장인들 사이에서 올해 추석 '황금연휴'가 회자되고 있다. 임시공휴일(지난달 27일)이 지정된 이번 설 연휴보다 하루 더 많은 7일간의 연휴가 가능해서다. 여기에 연차를 하루만 사용하면 주말까지 총 10일 쉴 수 있어 여행 수요가 몰릴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2일 업계에 따르면 이번 설 연휴 기간 134만명이 해외로 떠날 것으로 예상됐다. 명절 동안 인천국제공항을 오가는 여행객은 역대 가장 많을 것이란 관측이 나왔다. 설 연휴를 앞두고 임시공휴일이 지정되면서 해외여행 수요가 크게 늘어났기 때문이었다.올해 추석 연휴는 오는 10월6~8일이다. 이에 앞서 같은달 3일(금요일) 개천절을 시작으로 주말(4~5일), 추석 연휴 다음날인 9일 한글날까지 최소 7일간 연휴가 이어진다. 여기에 10일(금요일) 연차를 사용하면 이어지는 주말까지 총 10일간의 연휴가 완성된다.업계에선 여행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해 추석 연휴기간은 전년(2023년)보다 짧았지만 해외여행 수요가 크게 늘었다. 야놀자플랫폼에 따르면 해외 항공 및 숙소 이용 건수는 각각 157%, 140% 상승했다.업계 관계자는 "지난해 장기화된 기록적 폭염에 늦은 휴가를 떠나는 여행 수요가 추석 연휴에도 몰렸던 것으로 보인다"며 "당시 연휴가 끝난 직후부터 올해 추석 여행 예약 문의가 잇따른 만큼 실제 예약도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특히 미주, 유럽 등 장거리 여행지
로또복권 운영사 동행복권은 제1157회 로또복권 추첨에서 '5, 7, 12, 20, 25, 26'이 1등 당첨번호로 뽑혔다고 1일 밝혔다. 2등 보너스 번호는 '28'이다.당첨번호 6개를 모두 맞힌 1등 당첨자는 12명으로 22억5784만원(세전)씩 받는다. 당첨번호 5개와 보너스 번호가 일치한 2등은 141명으로 각 3203만원씩을, 당첨번호 5개를 맞힌 3등은 4549명으로 99만원씩을 받는다. 당첨번호 4개를 맞힌 4등(고정 당첨금 5만원)은 20만1847명, 당첨번호 3개가 일치한 5등(고정 당첨금 5000원)은 310만779명이다.로또복권 판매량은 매년 늘어나고 있다. 작년 연간 로또복권 판매액은 5조9562억원으로 역대 최대 수준이었다. 전년 대비 판매량 증가율은 2020년 9.3%, 2021년 8.6%, 2022년 7.9%, 2023년 2.4%로 하락하는 추세였지만, 지난해에는 5.4%로 반등했다.지난해 '1등'은 763명이었다. 이들의 당첨금액은 회차별로 최대 8배 이상 차이가 났다. 가장 당첨 액수가 컸던 회차는 11월 23일 추첨한 1147회차로, 8명이 각각 33억2300여만원을 받았다. 반면 7월 13일 추첨한 1128회차에서는 당첨자가 무려 63명이나 나오며 1명당 당첨금은 4억2000여만원에 그쳤다.진영기 한경닷컴 기자 young71@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