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수회담 성사 이 총재 '입'에... .. 빨라야 20일께 가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나라당의 국회 등원으로 정상적인 여야 관계 복원의 실마리를 잡아가고
있는 가운데 여야 영수회담 성사될 지 여부에 정치권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세풍"과 "총풍" 등을 둘러싸고 여야가 첨예하게 대치해 온 상황에서 영수
회담 성사는 곧바로 정국정상화를 의미한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영수회담의 경우 시기와 의제를 놓고 여야가 견해를 달리할 뿐 회담개최는
이미 합의했다는 얘기도 들린다.
여권의 한 관계자는 13일 "이회창 총재가 지난 9일 등원을 결정한 것은
이런 기류와 무관치 않을 것"이라고 분석하기도 했다.
그러나 현재로선 여야 영수회담 성사 여부나 시기를 잘라 말하기는 어렵다.
다만 12일 청와대에서 열린 방일성과 설명회 때 영수회담을 의식한 얘기가
김대중 대통령과 한나라당 이회창 총재 사이에 오간 사실이 확인되면서 영수
회담이 조만간 열릴 수도 있지 않겠느냐는 견해가 나오고 있는 정도다.
국민회의와 자민련은 영수회담 개최 가능성에 대해 여전히 회의적이다.
세풍 및 총풍 사건 등에 대한 수사가 매듭되지 않았고, 더욱이 이 총재가
사과나 유감표명이 없는 상태에서 영수회담을 열 수는 없다는 입장이다.
김중권 청와대비서실장은 13일 오전 열린 국정협의회에 앞서 기자들과 만나
""빨리 한 번 만나자"는 대통령의 말씀은 의례적인 것이 아니겠느냐"고 말해
영수회담이 적극적으로 검토되고 있지 않음을 내비쳤다.
김 실장은 영수회담의 필요성이나 가능성은 열어 두어야 한다는 입장을
취하면서도 "그렇다고 원칙을 훼손해서는 안된다"고 말했다.
영수회담이 개최되더라도 현재 수사 중인 세풍이나 북풍 등에 대해서는
정치적 타협이 있을 수 없다는 게 여권핵심부의 입장이라는 것으로 해석되는
부분이다.
이와관련, 박지원 청와대 대변인은 "이미 귀국기자회견에서 밝혔듯이
대통령은 여건이 충분히 성숙되면 여야간에 협력해야 하지 않느냐는 생각을
갖고 있다"며 "그러나 영수회담은 아직 결정된 바 없고 그런 얘기를 당으로
부터 들은 적도 없다"고 말했다.
국민회의의 한 핵심관계자도 "현 기류를 감안할 때 금주 중 영수회담은
한나라당의 희망사항일 뿐"이라며 조기 영수회담 가능성을 일축했다.
반면 한나라당은 영수회담 자체에 아주 적극적이다.
12일 청와대 방일 설명회 이후 영수회담 분위기 조성을 위한 당 내부의
기류변화도 감지되고 있다.
고문조작이라는 변수와 맞물려 있는 ''총격 요청사건''의 경우 진상규명을
위해 절대 물러설 수 없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국세청 불법 모금 사건''에 대해선 어떠한 형태로든 입장표명이
있어야 한다는 견해가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
안상수 대변인은 "수사결과를 지켜보고 책임질 부분이 있다면 책임지고,
사과할 것이 있다면 사과하겠다"고 말해 이같은 기류를 반영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 총재가 영수회담 자리에서 완곡한 표현으로 입장을
밝히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결국 영수회담은 "세풍"과 "총풍"에 대한 수사가 매듭되고 국정감사가
시작되기 전인 오는 23일쯤 가서야 개최여부를 가늠해 볼 수 있을 것이라는
게 정가의 대체적인 분석이다.
< 김형배 기자 khb@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10월 14일자 ).
있는 가운데 여야 영수회담 성사될 지 여부에 정치권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세풍"과 "총풍" 등을 둘러싸고 여야가 첨예하게 대치해 온 상황에서 영수
회담 성사는 곧바로 정국정상화를 의미한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영수회담의 경우 시기와 의제를 놓고 여야가 견해를 달리할 뿐 회담개최는
이미 합의했다는 얘기도 들린다.
여권의 한 관계자는 13일 "이회창 총재가 지난 9일 등원을 결정한 것은
이런 기류와 무관치 않을 것"이라고 분석하기도 했다.
그러나 현재로선 여야 영수회담 성사 여부나 시기를 잘라 말하기는 어렵다.
다만 12일 청와대에서 열린 방일성과 설명회 때 영수회담을 의식한 얘기가
김대중 대통령과 한나라당 이회창 총재 사이에 오간 사실이 확인되면서 영수
회담이 조만간 열릴 수도 있지 않겠느냐는 견해가 나오고 있는 정도다.
국민회의와 자민련은 영수회담 개최 가능성에 대해 여전히 회의적이다.
세풍 및 총풍 사건 등에 대한 수사가 매듭되지 않았고, 더욱이 이 총재가
사과나 유감표명이 없는 상태에서 영수회담을 열 수는 없다는 입장이다.
김중권 청와대비서실장은 13일 오전 열린 국정협의회에 앞서 기자들과 만나
""빨리 한 번 만나자"는 대통령의 말씀은 의례적인 것이 아니겠느냐"고 말해
영수회담이 적극적으로 검토되고 있지 않음을 내비쳤다.
김 실장은 영수회담의 필요성이나 가능성은 열어 두어야 한다는 입장을
취하면서도 "그렇다고 원칙을 훼손해서는 안된다"고 말했다.
영수회담이 개최되더라도 현재 수사 중인 세풍이나 북풍 등에 대해서는
정치적 타협이 있을 수 없다는 게 여권핵심부의 입장이라는 것으로 해석되는
부분이다.
이와관련, 박지원 청와대 대변인은 "이미 귀국기자회견에서 밝혔듯이
대통령은 여건이 충분히 성숙되면 여야간에 협력해야 하지 않느냐는 생각을
갖고 있다"며 "그러나 영수회담은 아직 결정된 바 없고 그런 얘기를 당으로
부터 들은 적도 없다"고 말했다.
국민회의의 한 핵심관계자도 "현 기류를 감안할 때 금주 중 영수회담은
한나라당의 희망사항일 뿐"이라며 조기 영수회담 가능성을 일축했다.
반면 한나라당은 영수회담 자체에 아주 적극적이다.
12일 청와대 방일 설명회 이후 영수회담 분위기 조성을 위한 당 내부의
기류변화도 감지되고 있다.
고문조작이라는 변수와 맞물려 있는 ''총격 요청사건''의 경우 진상규명을
위해 절대 물러설 수 없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국세청 불법 모금 사건''에 대해선 어떠한 형태로든 입장표명이
있어야 한다는 견해가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
안상수 대변인은 "수사결과를 지켜보고 책임질 부분이 있다면 책임지고,
사과할 것이 있다면 사과하겠다"고 말해 이같은 기류를 반영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 총재가 영수회담 자리에서 완곡한 표현으로 입장을
밝히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결국 영수회담은 "세풍"과 "총풍"에 대한 수사가 매듭되고 국정감사가
시작되기 전인 오는 23일쯤 가서야 개최여부를 가늠해 볼 수 있을 것이라는
게 정가의 대체적인 분석이다.
< 김형배 기자 khb@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10월 14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