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 창간 34돌] 정보경영 : 전산 아웃소싱..'정부가 먼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가 경영합리화는 이제 공공전산부문 아웃소싱부터.
전산부문 아웃소싱에 정부가 발벗고 나섰다.
국가경영의 비효율적인 부문은 민간에 맡기고 본연의 핵심업무에
주력하겠다는 것이다.
그것도 아웃소싱 사업을 예산권과 연계해 추진할 정도로 강력한
실천의지가 담겨있다.
이처럼 정부가 아웃소싱 전략을 채택하려는 이유는 간단하다.
행정의 효율성을 높이고 예산을 절감하자는 것이다.
동일한 전산시스템을 갖추는데 행정기관마다 별도의 예산을 책정하거나
비슷한 전산업무를 여러 기관에서 분산처리하는 등의 비효율성을 없애겠다는
전략이다.
행정의 거품을 걷어내자는 얘기다.
단순히 전산업무를 민간업체에 맡기는게 아니라 행정기관의 전산조직에
대한 업무절차개선(BPR)작업이 함께 진행될 예정이다.
이같은 공공 아웃소싱은 이미 시작됐다.
정보통신부에서 지난해 체신금융시스템의 운영을 부분적이나마 민간업체인
현대정보기술에 맡겼다.
정통부는 또 체신금융의 분산형 시스템개발을 현대측에 맡기면서 새로
개발된 시스템의 운영을 민간에 맡기는 방안을 강구키로 했다.
시스템통합(SI)업계의 입장에선 이같은 정보화부문 공공사업이 최대의
아웃소싱 시장으로 떠오르고 있다.
지난 5월 기획예산위원회에서 주요 정부사업들을 민간업체에 맡기겠다고
발표하면서 아웃소싱에 대한 불을 댕겼다.
그것도 내년도 예산사업부터 이를 본격 반영하겠다는 것이다.
기획예산위는 공공 아웃소싱을 위해 지난 8월 한국전산원내에 "공공부문
정보관리개선 전담반"을 설치, 구체적인 추진방안을 마련중이다.
이 전담반은 내년도 정부 예산사업으로 벌일 28개 정보화사업중 아웃소싱
대상을 이달말까지 선정할 방침이다.
또 연말까지 기획예산위와 각 행정기관 및 정보통신부(한국전산원)
시스템통합업체를 연계한 공공아웃소싱 추진체계를 확정하게 된다.
전담반은 이미 "공공기관 정보시스템 아웃소싱의 현황과 과제"라는
연구보고서를 내놓고 추진체계에 대한 시안까지 마련했다.
시안을 보면 기획예산위는 각 행정기관의 아웃소싱 예산안과 성과를
보고받고 이를 심사평가해 예산을 통제하게 된다.
또 행정기관들은 업무의 특성을 고려해 아웃소싱을 확대하고 용역을
맡긴 SI업체에 대한 관리감독기능을 갖는다.
또 공공 아웃소싱을 실효성있게 추진하기 위해 기존의 전산실조직을
CIO실로 개편하는 방안도 추진되고 있다.
CIO실은 해당기관의 정보자원을 통합관리할 수 있는 역량을 지닌
소수정예조직으로 구성될 예정이다.
기획예산위는 이같은 아웃소싱 추진체계와 시행절차 평가방법 등을 담은
"공공기관 정보시스템 아웃소싱 지침"을 마련, 11월중 공청회를 거쳐
내년부터 시행할 계획이다.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10월 14일자 ).
전산부문 아웃소싱에 정부가 발벗고 나섰다.
국가경영의 비효율적인 부문은 민간에 맡기고 본연의 핵심업무에
주력하겠다는 것이다.
그것도 아웃소싱 사업을 예산권과 연계해 추진할 정도로 강력한
실천의지가 담겨있다.
이처럼 정부가 아웃소싱 전략을 채택하려는 이유는 간단하다.
행정의 효율성을 높이고 예산을 절감하자는 것이다.
동일한 전산시스템을 갖추는데 행정기관마다 별도의 예산을 책정하거나
비슷한 전산업무를 여러 기관에서 분산처리하는 등의 비효율성을 없애겠다는
전략이다.
행정의 거품을 걷어내자는 얘기다.
단순히 전산업무를 민간업체에 맡기는게 아니라 행정기관의 전산조직에
대한 업무절차개선(BPR)작업이 함께 진행될 예정이다.
이같은 공공 아웃소싱은 이미 시작됐다.
정보통신부에서 지난해 체신금융시스템의 운영을 부분적이나마 민간업체인
현대정보기술에 맡겼다.
정통부는 또 체신금융의 분산형 시스템개발을 현대측에 맡기면서 새로
개발된 시스템의 운영을 민간에 맡기는 방안을 강구키로 했다.
시스템통합(SI)업계의 입장에선 이같은 정보화부문 공공사업이 최대의
아웃소싱 시장으로 떠오르고 있다.
지난 5월 기획예산위원회에서 주요 정부사업들을 민간업체에 맡기겠다고
발표하면서 아웃소싱에 대한 불을 댕겼다.
그것도 내년도 예산사업부터 이를 본격 반영하겠다는 것이다.
기획예산위는 공공 아웃소싱을 위해 지난 8월 한국전산원내에 "공공부문
정보관리개선 전담반"을 설치, 구체적인 추진방안을 마련중이다.
이 전담반은 내년도 정부 예산사업으로 벌일 28개 정보화사업중 아웃소싱
대상을 이달말까지 선정할 방침이다.
또 연말까지 기획예산위와 각 행정기관 및 정보통신부(한국전산원)
시스템통합업체를 연계한 공공아웃소싱 추진체계를 확정하게 된다.
전담반은 이미 "공공기관 정보시스템 아웃소싱의 현황과 과제"라는
연구보고서를 내놓고 추진체계에 대한 시안까지 마련했다.
시안을 보면 기획예산위는 각 행정기관의 아웃소싱 예산안과 성과를
보고받고 이를 심사평가해 예산을 통제하게 된다.
또 행정기관들은 업무의 특성을 고려해 아웃소싱을 확대하고 용역을
맡긴 SI업체에 대한 관리감독기능을 갖는다.
또 공공 아웃소싱을 실효성있게 추진하기 위해 기존의 전산실조직을
CIO실로 개편하는 방안도 추진되고 있다.
CIO실은 해당기관의 정보자원을 통합관리할 수 있는 역량을 지닌
소수정예조직으로 구성될 예정이다.
기획예산위는 이같은 아웃소싱 추진체계와 시행절차 평가방법 등을 담은
"공공기관 정보시스템 아웃소싱 지침"을 마련, 11월중 공청회를 거쳐
내년부터 시행할 계획이다.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10월 14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