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이동통신인 IMT-2000은 무선분야 멀티미디어 통신의 결정판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무선전화 단말기 하나로 전세계 어디서나 음성 데이터 영상을 주고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하나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지금 할 수 있는 모든 통신서비스를 시간과
장소에 관계없이 이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오는 2001년께 IMT-2000서비스가 상용화되면 통신의 개념이 바뀌게 된다는
전망이 나오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이다.

IMT-2000서비스가 상용화되면 이동중에 단말기에 달린 화면을 통해 상대방의
얼굴을 보면서 통화하는 것은 물론 간단한 문서는 세계 어디로든 보낼 수
있다.

위성과 연결돼 사막 한가운데나 극지대에서도 인터넷에 들어가 각종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오지로 출장을 갔다가 몸에 탈이 생겼다면 자신의 주치의로부터 원격의료
서비스를 받는 것도 가능하다.

선진국들은 이같이 엄청난 위력을 지닌 IMT-2000 시장선점을 위해 앞다퉈
기술 개발에 나서고 있다.

현재 나와있는 IMT-2000 통신규격은 미국식과 일본.유럽식으로 나뉜다.

미국은 부호분할다중접속(CDMA) 원천기술을 갖고 있는 퀄컴을 비롯 모토로라
루슨트테크놀러지스 등이 중심이 돼 광대역 CDMA 방식의 기술개발에 나서고
있다.

이에 반해 유럽은 일본식 광대역 CDMA를 수용한 시분할다중접속(TDMA).CDMA
겸용방식을 개발중이다.

NTT를 비롯한 일본업체와 에릭슨 등이 주도하고 있다.

선진국들은 또 자신들이 제안한 통신규격을 세계 표준안으로 만들기 위해
힘겨루기를 벌이고 있다.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은 이미 접수된 무선전송방식의 후보기술에 대해
평가한뒤 오는 99년말까지 국제표준을 정할 방침이다.

우리나라도 오는 2002년 월드컵 경기에 맞춰 서비스한다는 계획 아래 관련
기술개발을 서두르고 있다.

한국통신은 IMT-2000의 기본 골격인 무선망과 교환시스템을 연결하는 영상
전화 시스템을 지난 8월 개발했다.

SK텔레콤은 일본 NTT도코모와 손잡고 기술개발에 들어갔으며 삼성전자
LG정보통신 현대전자 대우통신 등도 차세대 통신연구단을 구성, IMT-2000
기술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IMT-2000의 국제표준이 2개로 정해질 것에 대비, 미국식과 일본.
유럽식 2가지 기술을 모두 ITU에 후보기술로 제안했다.

IMT-2000의 수요는 서비스가 어느정도 자리잡는 오는 2005년에 전세계 이동
통신 사용자(추정 7억6천만명)의 20%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10월 14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