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서도 민요로 엮은 창작소리극 .. 국립국악원 '남촌별곡'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민요는 틀에 얽매이지 않은 서민의 노래이다.
일을 하거나 놀이를 즐기며 흥얼거렸던 짤막한 구전가락이다.
직업소리꾼에 의해 여러지방에서 두루 불렸던 통속민요를 제외한
토속민요에는 각기 그 지방 특유의 정서와 가락이 녹아있다.
그 중 경기민요의 소리는 맑고 청아하며, 서도(평남.황해)민요는 격정적이고
호소력이 강한게 특징이다.
이 두 지역의 민요로 엮은 창작 소리극이 무대에 올려진다.
국립국악원은 27일~30일 오후 7시30분 예악당에서 경서도 소리극
"남촌별곡"을 공연한다.
남도 판소리의 줄거리와 창이 아닌 민요로만 이루어진 소리극이 공연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무대는 조선후기 경기지방의 남촌이란 마을.
이곳에는 양반가문의 조실부모한 소연아씨가 산다.
타지에서 온 오동출이란 사람이 소연아씨의 땅을 무단점거하고 마을의
물길을 막아 소작인을 자기편으로 끌어들이려 한다.
원님의 편파판정으로 오동출이 소연아씨네 땅을 빼앗고 남촌을 좌지우지하게
된다.
소연아씨는 선비를 통해 오동출이 과거 주인댁 재산을 탈취해 남촌으로
왔다는 사실을 안다.
소연아씨와 마을사람들은 오동출을 혼내주기 위한 도깨비놀음을 벌인다.
마침내 자신의 죄를 고백한 오동출은 막았던 물길을 트고 남촌은 다시
활기가 넘친다.
극본을 쓴 김병준은 "공동체적 삶을 함께 이루는 마을정신과 이웃사랑,
그리고 인정속에서 정의가 꽃필수 있음을 보여줄 것"이라고 말했다.
경서도 민요를 통해 극적인 맛을 살렸고 놀이굿판 등 다양한 볼거리를
준비했다.
경서도민요 중 "누구를 의지하랴, 누구를 믿으랴" "가시는 임에게"
"우리들은 어디로" "남촌골 노래" 등은 특히 맑고 단아한 민요의 서정성을
느낄수 있는 곡들이다.
중요무형문화재 57호 경기민요 보유자인 이춘희가 20여곡의 경서도민요를
작창했다.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의 김영재 교수가 작.편곡했다.
탤런트 김주승, 이재은을 비롯 국립국악원 민속단원인 유지숙, 연극배우
이원종 이종구 김영화 등이 출연한다.
연출 강영걸.
580-3042.
< 김재일 기자 Kjil@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10월 20일자 ).
일을 하거나 놀이를 즐기며 흥얼거렸던 짤막한 구전가락이다.
직업소리꾼에 의해 여러지방에서 두루 불렸던 통속민요를 제외한
토속민요에는 각기 그 지방 특유의 정서와 가락이 녹아있다.
그 중 경기민요의 소리는 맑고 청아하며, 서도(평남.황해)민요는 격정적이고
호소력이 강한게 특징이다.
이 두 지역의 민요로 엮은 창작 소리극이 무대에 올려진다.
국립국악원은 27일~30일 오후 7시30분 예악당에서 경서도 소리극
"남촌별곡"을 공연한다.
남도 판소리의 줄거리와 창이 아닌 민요로만 이루어진 소리극이 공연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무대는 조선후기 경기지방의 남촌이란 마을.
이곳에는 양반가문의 조실부모한 소연아씨가 산다.
타지에서 온 오동출이란 사람이 소연아씨의 땅을 무단점거하고 마을의
물길을 막아 소작인을 자기편으로 끌어들이려 한다.
원님의 편파판정으로 오동출이 소연아씨네 땅을 빼앗고 남촌을 좌지우지하게
된다.
소연아씨는 선비를 통해 오동출이 과거 주인댁 재산을 탈취해 남촌으로
왔다는 사실을 안다.
소연아씨와 마을사람들은 오동출을 혼내주기 위한 도깨비놀음을 벌인다.
마침내 자신의 죄를 고백한 오동출은 막았던 물길을 트고 남촌은 다시
활기가 넘친다.
극본을 쓴 김병준은 "공동체적 삶을 함께 이루는 마을정신과 이웃사랑,
그리고 인정속에서 정의가 꽃필수 있음을 보여줄 것"이라고 말했다.
경서도 민요를 통해 극적인 맛을 살렸고 놀이굿판 등 다양한 볼거리를
준비했다.
경서도민요 중 "누구를 의지하랴, 누구를 믿으랴" "가시는 임에게"
"우리들은 어디로" "남촌골 노래" 등은 특히 맑고 단아한 민요의 서정성을
느낄수 있는 곡들이다.
중요무형문화재 57호 경기민요 보유자인 이춘희가 20여곡의 경서도민요를
작창했다.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의 김영재 교수가 작.편곡했다.
탤런트 김주승, 이재은을 비롯 국립국악원 민속단원인 유지숙, 연극배우
이원종 이종구 김영화 등이 출연한다.
연출 강영걸.
580-3042.
< 김재일 기자 Kjil@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10월 20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