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 앵글] '두곳에서 같은일' .. 프랑스 종업원교환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프랑스에서는 업종이 전혀 다른 기업들이 같은 일을 하는 직원을 공동으로
쓰는 "종업원 교환제"가 관심을 끌고 있다.
프랑스 국영철도회사 계열의 운송회사인 까리안과 음식업체 피자헛은
운전기사를 같이 쓴다.
까리안은 통학버스 운송회사여서 아침 7-9시와 오후 3-5시에만 운전을
한다.
피자헛의 운전기사는 배달이 몰리는 점심과 저녁시간대에 일을 한다.
이러다 보니 운전기사들의 하루 근무시간이 5시간을 넘지않고 임금도
낮을 수 밖에 없다.
결국 운전기사들이 수시로 떠나게 된다.
회사측은 새로 들어오는 기사들을 교육시키느라 엄청난 비용을 들일
수 밖에 없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두 회사는 운전기사를 서로 교환근무 시키는
아이디어를 냈다.
시간대가 다르기 때문에 두 곳에서 다 일을 하고 월급을 두배로 받게 한
것이다.
이들이 성공을 거두자 지방의 대형운송업체인 칼버슨도 파트너회사
물색에 나섰다.
최근 앙드레 쥬르댕 상원의원은 이제도를 합법적 노동형태로 제도화시키기
위해 입법화를 서두르겠다고 밝혔다.
< 파리=강혜구 특파원 hyeku@coom.com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10월 24일자 ).
쓰는 "종업원 교환제"가 관심을 끌고 있다.
프랑스 국영철도회사 계열의 운송회사인 까리안과 음식업체 피자헛은
운전기사를 같이 쓴다.
까리안은 통학버스 운송회사여서 아침 7-9시와 오후 3-5시에만 운전을
한다.
피자헛의 운전기사는 배달이 몰리는 점심과 저녁시간대에 일을 한다.
이러다 보니 운전기사들의 하루 근무시간이 5시간을 넘지않고 임금도
낮을 수 밖에 없다.
결국 운전기사들이 수시로 떠나게 된다.
회사측은 새로 들어오는 기사들을 교육시키느라 엄청난 비용을 들일
수 밖에 없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두 회사는 운전기사를 서로 교환근무 시키는
아이디어를 냈다.
시간대가 다르기 때문에 두 곳에서 다 일을 하고 월급을 두배로 받게 한
것이다.
이들이 성공을 거두자 지방의 대형운송업체인 칼버슨도 파트너회사
물색에 나섰다.
최근 앙드레 쥬르댕 상원의원은 이제도를 합법적 노동형태로 제도화시키기
위해 입법화를 서두르겠다고 밝혔다.
< 파리=강혜구 특파원 hyeku@coom.com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10월 24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