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지펀드에 대한 국제사회의 규제방안이 윤곽을 드러내고 있다.

직접적인 통제보다는 간접적으로 규제해야 한다는 게 최근 나타나고 있는
방향이다.

헤지펀드에 자금을 대출해주는 금융기관에 대한 감시감독을 철저히
함으로써 우회적으로 헤지펀드를 규제하자는 것이다.

이같은 간접 규제론의 선두주자는 미국정부.

윌리엄 맥도너 뉴욕연방은행장은 25일 호주 시드니에서 열린 국제
금융규제 컨퍼런스에서 간접적인 규제방안을 제시했다.

그는 "헤지펀드가 대부분 해외에 거점을 두고 운영되는 만큼 직접규제는
실효성이 없다"며 간접 규제가 현실적이라고 주장했다.

즉 헤지펀드의 투자 파트너인 은행과 증권 보험회사들의 헤지펀드
대출기준을 강화해 간접적으로 헤지펀드를 통제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주장이다.

맥도너 은행장은 또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가 이런 방향으로
헤지펀드문제를 다루고 있다"며 "헤지펀드에 대한 국제사회의 통제가
자유시장 원리라는 틀안에서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상식에 어긋나지 않는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방안만 도출된다면
국제사회의 공조는 어려운 일이 아닐 것"이라고 덧붙였다.

세계금융시장 환경에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 국제결제은행(BIS)도 미국측에
동조하고 있다.

앤드루 크로켓 BIS전무는 "간접규제가 현재로서는 가장 현실적인
방안"이라며 맥도너 뉴욕연방은행장을 거들었다.

헤지펀드가 금융기관들로부터 순자산의 몇십배나 되는 거액을 차입해
이를 투자하다가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만큼 금융기관들의 대출을 철저히
감독하고 대출윤리를 강화하는 간접규제 방안이 가장 좋다는 얘기다.

그는 "하루빨리 세계 금융시장 안정을 위한 해법을 찾지 못하면
말레이시아의 외환통제와 같은 극단적인 조치를 취하는 국가들이 늘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에따라 BIS는 헤지펀드처럼 차입에 의한 투기적 투자성향이 짙은
투자기관에 대한 조사연구팀을 발족, 오는 12월께 종합보고서를 내기로
했다.

일본과 일부 유럽국가들도 직접 규제보다는 간접규제쪽에 가깝다.

특히 일본정부는 헤지펀드의 경영정보 공개를 의무화하고 헤지펀드에
융자한 금융기관들의 감독을 강화하는 등의 방안을 검토중이다.

이같은 국제사회의 움직임으로 볼때 아시아외화위기의 주범중 하나인
헤지펀드에 대한 국제통제규범이 마련될 날도 멀지 않았다.

< 김혜수 기자 dearsoo@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10월 27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