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조정 성공기업으로 선정된 13개 업체들은 핵심 역량을 한곳에 집중하기
위해 뼈를 깍는 고통을 감내했다.

돈이 되는 알짜 기업이라도 주력업종이 아닐 경우 서슴없이 내다 팔았으며
경영권에 대한 미련도 일찌감치 포기했다.

구조조정 우수기업들의 공통점을 알아본다.

<> 가급적 빨리 구조조정에 착수하라 =두산 동양화학 태평양은 남보다
빨리 구조조정작업에 착수, 성공적인 성과를 거뒀다.

국제통화기금(IMF) 구제금융 한파가 닥치기 전에 대주주와 경영진이
개혁의 필요성을 느껴 스스로 구조조정에 착수한 경우다.

당연히 뒤늦게 시작한 기업에 비해 비용을 적게 들이면서도 오히려 낳은
성과를 얻었다는 평가를 얻고 있다.

<> 경영권에 대한 미련을 버려라 =한화 대상 두산 등의 대주주는 경영권에
대한 집착을 과감히 포기하는 용기를 보여 줬다.

두산 한화 등은 대주주들이 매각된 계열사에 대한 경영권을 포기했기
때문에 구조조정을 신속하게 추진할 수 있었다.

미원과 세원이 합친 대상의 경우도 세원측이 경영권을 양보했기 때문에
구조조정에 성공했다.

<> 주력업종에서 제외된 알짜기업부터 팔아라 =한화 두산 한솔 대상 등은
외국기업들이 군침을 삼킬만한 기업부터 매물로 내놨다.

당연히 외국업체들과 빠른 속도로 매각협상을 진행할 수 있었다.

대상의 라이신사업(6억달러), 한솔의 한솔제지(10억달러), 한화기계의
베어링부문(3천억원) 등이 대표적이다.

<> 경영역량을 한 곳에 집중하라 =한화를 비롯한 대부분의 기업들은 1~2개
핵심기업을 살리기 위해 나머지 기업들을 모두 정리하고 있다.

또 유사업종을 통폐합하는 작업을 통해 힘은 집중시키고 비용은 최대한
줄이고 있다.

<> 적자기업은 돈이 들더라도 과감히 정리하라 =우수기업들은 적자기업을
정리하지 않고는 구조조정에서 성공할 수 없다는 사실을 입증하고 있다.

밑빠진 독에 물붓기 식으로 자금을 대줘야 하는 부실기업 정리가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서는 필수적임을 말해 준다.

알짜기업을 팔아 마련한 돈으로 한계기업 정리를 시작한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 김수언 기자 sookim@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10월 30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