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일본 영국 독일 등 선진7개국(G7)은 세계경제 위기를 해소하기 위해
<>투기성 단기자본이동을 규제하고 <>국제통화기금(IMF)에 새로운 신용융자
제도를 만드는 내용의 "특별 G7 공동성명"을 발표한다.

조 록하트 미국 백악관 대변인은 29일 "G7이 국제경제 불안을 해소할
특별성명을 빠르면 30일중에 발표한다"고 밝혔다.

그는 "빌 클린턴 미국 대통령이 최근 게하르트 슈뢰더 독일총리와 토니
블레어 영국총리 등 G7 정상들과 전화를 통해 성명에 담길 내용을 논의했다"
고 설명했다.

G7 지도자들이 정상회담을 열지 않고 특별성명을 발표하는 것은 처음이다.

G7은 공동성명에서 신흥시장 국가들이 투기성 단기자본의 이동을 규제하는
것을 적극 지지한다는 입장을 표명할 것으로 알려졌다.

그동안 각국 지도자들은 물론 국제금융기구에서도 헤지펀드들의 과도한
투기행위를 제한해야 한다고 지적해 왔다.

G7이 국제투기자본에 대한 규제를 지지함에 따라 11월에 열릴 아시아태평양
경제협력체(APEC) 정상회담 등에서 구체적인 대안이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G7은 또 IMF의 자금이 금융위기가 발생한 뒤에 지원돼 위기해소에 큰
도움을 주지 못한다는 지적에 따라 IMF내에 예방목적의 새로운 신용융자
제도를 창설하기로 했다.

클린턴 대통령도 이달초 IMF.IBRD 연차총회를 앞두고 같은 구상을 제시
했었다.

이와관련 우베 카르슈텐 헤예 독일정부 대변인은 이날 "G7이 특별성명의
내용을 구체화하기 위해 재무장관 및 중앙은행 총재 특별회의를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도미니크 스트로스 칸 프랑스 재무장관도 "G7이 단기자본이동 규제에
대한 견해를 조만간 공개할 것"이라고 밝혔다.

G7은 공동성명에서 이와함께 국제금융시스템에 대한 개혁과 IMF의 운영에
대한 감독강화 등도 강조할 예정이다.

국제금융 전문가들은 앞으로 IMF의 운용내역을 충실하게 공개하고 사전적
예방기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논의가 이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G7의 특별공동성명은 세계경제 지도국들이 지금의 세계경제 상황을
그만큼 심각하게 보고 있다는 뜻을 밝히는 것이어서 금융시장의 불안을
해소하는 데 결정적인 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10월 31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