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일자리 창출이 어려운 여건에서 정부는 91년이후 중단했던 공공기관의
해외취업 업무를 최근 재개했다.

이에 따라 국제협력단은 지난 7월 "해외취업지원반"을 설치하고
산업인력공단과 역할을 나눠 해외취업 지원사업을 펼치고 있다.

그러나 그동안 해외취업 여건이 크게 변화돼 여러 가지 어려움에 부딪치고
있다.

단기적으로는 가시적 성과를 내기 어려운 실정이다.

첫번째 문제는 기술력과 함께 외국어 구사능력을 갖춘 인력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협력단은 최근 7개국 14개 업체에 모두 9백19명의 취업기회를 발굴해
산업인력공단에 제공했다.

그러나 공단의 최종 선발을 통해 취업이 확정된 인원은 불과 44명.

취업성사율이 4.8% 밖에 안됐다.

기술이 훌륭하더라도 영어구사력이 떨어져 해외 구인업체의 기준을 통과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두번째는 해외 취업에 전문성을 쌓아가면서 업무를 효율적으로 추진해 나갈
전담기구가 없다는 것이다.

외국 업체가 국내 인력을 원할 때, 먼저 국제협력단을 통하고 모집 및
선발단계는 산업인력공단을 접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협력단은 봉사단원 등을 파견하는 것이 주업무다.

그런데 해외취업이 주업무로 인식되는 등 불필요한 오해를 받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해외 구인업체 발굴과 송출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 즉 전 "해외개발공사"와 같은 전담기구의 설립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국가간 자연스런 노동력 이동에 대비하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지 못하다.

외국에 국내 인력을 소개할 수 있는 영어 인터넷사이트가 아직 없다.

직종별 구직자 현황도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해외취업을 활성화하려면 우선 국내 인력에 대한 정확한 정보 구축과
인터넷을 통한 구인.구직 알선체제를 하루 빨리 만들어야 한다.

물론 정부가 적극 나서더라도 해외취업사업이 당장 실효성을 거두기는
힘들다.

그러나 정부차원에서 해외취업 전담기구를 설치하는 등 적극적 노력이
계속 돼야 할 것이다.

최성락 < 한국국제협력단 개발사업이사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11월 2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