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부는 고학력 미취업자의 취업 및 창업을 촉진시키기위해 정보통신
전문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정보통신부가 1백50억원을 투입해 대졸미취업자 7천여명에게 전문 교육을
제공하는 이번 교육은 SW, 통신.교육분야의 "정보통신전환교육", 게임.애니
메이션.영상 분야의 "멀티미디어콘텐츠 전문교육", MS SUN Novell 등이 인증
하는 국제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한 "국제공인자격과정", 소규모 창업을 위한
"정보통신 SOHO창업교육" 등으로 이루어져있다.

이 교육과정은 정보통신부가 산업현장의 인력수요, 취업전망 등을 고려하여
선정했다.

정보통신부는 2000년이후 이 분야의 전문인력이 약 5만5천명 정도 부족할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멀티미디어콘텐츠산업의 경우 부가가치가 높고 연성장률이 66%에 이르는
성장 주도산업이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세계 3위의 애니메이션 제작국이면서도 기획 창의력
부족으로 일본 등 선진국의 단순 하청 작업에 머물고 있는 실정이다.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사람은 대학 전문대 졸업후 3년(대학원 해외유학
군복무기간 등은 제외)이 경과되지 않은 미취업자 또는 실직자로서 고용보험
에 의해 지원을 받는 사람은 제외된다.

교육을 받고자 하는 사람들은 교육이 시작되기 1개월전에 희망하는 지정
교육기관에 직접 신청해야한다.

그러나 이 교육은 노동부가 시행하는 재취업훈련과는 달리 선착순 모집이
아니라 교육기관이 신청자의 연령 학력 적성 등을 심사해 지원대상자를 선발
한다.

앞서 시작된 정보통신 전환교육의 경우 교육생의 만족도, 취업률 등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특히 교육과정을 마친 6백94명중 1백48명이 수료뒤 2개월만에 취업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통신부가 지원하는 교육비는 해당 교육과정 이수에 소요되는 총교육비의
70%로 1인당 3백만원의 한도내에서 지원된다.

따라서 교육생은 교육비의 30%를 납부해야한다.

정보통신부는 해당과정을 이수한 전문인력에 대해서는 "정보통신인력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시켜 중소업체 인턴사원 채용, 해외인력송출, 정보화근로사업
등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관리할 계획이다.

교육과정 신청방식 등에 관한 상세한 내용은 해당 교육기관에 직접 문의해야
한다.

올해 12월과 99년에 시작되는 교육도 아직 많이 남아있다.

자세한 교육일정 및 내용은 정보통신부 인터넷 홈페이지(www.mic.go.kr)
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문의 정보통신부 기술기획과 (02)750-2344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11월 4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