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상거래] 비즈니스 혁신 : 전자문서 교환 .. '삼성전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삼성전자는 EDI시스템의 효과를 실감하고 있다.
지난 94년 ''무역 EDI''를 도입하면서 수출입서류 처리에 드는 부대비용을
거의 없애다시피했다.
삼성전자는 EDI를 도입하기 전 한햇동안 은행과 보험회사 관세사 등을
오가며 인건비와 교통비만 무려 75억9천4백만원을 뿌려야 했다.
그러나 EDI를 도입한 이후 그 비용은 겨우 2천5백만원으로 줄어 들었다.
수출.수입업무를 처리하는데 평균 25일이나 걸리던 것이 5일로 단축됐다.
53단계의 절차를 밟던 것도 17단계로 줄어들었다.
5백90박스 분량의 무역관련 보관서류도 대부분 폐기하고 30박스만 남겼다.
삼성전자가 이같은 효과를 거둘수 있었던 것은 바로 한국무역정보통신
(KTNET)의 무역EDI 덕택.
한국무역정보통신은 수출입규모가 커지면서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부대비용
을 줄여보자는 목적으로 지난 92년 설립됐다.
국내 무역자동화 작업에 시동이 걸린 것이다.
이 회사는 94년부터 수출입승인과 신용장부문의 서류없는 EDI서비스를
시작한데 이어 수출통관 수입통관 수출화물관리 관세환급 등의 서비스에
단계적으로 나섰다.
이같은 부문별 자동화작업을 마무리짓고 지난해말부터 본격적인 무역
자동화 서비스에 들어갔다.
무역정보통신의 "종합무역업무 자동화망"은 개별 무역업체와 관련기관을
정보통신 네트워크로 이어준다.
관세청을 비롯 금융기관 수출입협회 보험회사 운송기관이 연결됐다.
국제무역망과 연계돼 외국 무역업체와도 손쉽게 거래할 수 있다.
이 회사의 주요 자동화 서비스에는 수출입승인은 물론 비자발급 및 원산지
증명발급 업무도 포함돼 있다.
외환부문에선 신용장 개설과 통지, 내국신용장 개설, 입출금 통지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 통관과 관련된 수출입신고나 관세환급 수출입화물관리와 운송부문의
적하보험 선복요청 선하증권 발급통지 등 무역업무처리와 관련된 대부분의
서비스가 이뤄지고 있다.
KTNET는 무역EDI를 활용하면 무역관련 비용을 80%가량 줄일수 있다고
설명한다.
현재 이를 이용하고 있는 6천4백여개 무역업체 전체로는 4천9백억원이나
된다.
EDI를 도입하기 전에는 6천1백억원이나 들었던 비용이 1천2백억원으로
크게 줄어든 것이다.
수출입업무 한건을 처리하는데 평균 13만원 들던 것이 2만5천원으로
내렸다.
처리기간도 4주일에서 1주일로 단축됐다.
이처럼 전자거래를 통한 "서류없는 무역시대"가 본격적으로 열리면서
수출입업무도 한결 수월해지고 있다.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11월 19일자 ).
지난 94년 ''무역 EDI''를 도입하면서 수출입서류 처리에 드는 부대비용을
거의 없애다시피했다.
삼성전자는 EDI를 도입하기 전 한햇동안 은행과 보험회사 관세사 등을
오가며 인건비와 교통비만 무려 75억9천4백만원을 뿌려야 했다.
그러나 EDI를 도입한 이후 그 비용은 겨우 2천5백만원으로 줄어 들었다.
수출.수입업무를 처리하는데 평균 25일이나 걸리던 것이 5일로 단축됐다.
53단계의 절차를 밟던 것도 17단계로 줄어들었다.
5백90박스 분량의 무역관련 보관서류도 대부분 폐기하고 30박스만 남겼다.
삼성전자가 이같은 효과를 거둘수 있었던 것은 바로 한국무역정보통신
(KTNET)의 무역EDI 덕택.
한국무역정보통신은 수출입규모가 커지면서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부대비용
을 줄여보자는 목적으로 지난 92년 설립됐다.
국내 무역자동화 작업에 시동이 걸린 것이다.
이 회사는 94년부터 수출입승인과 신용장부문의 서류없는 EDI서비스를
시작한데 이어 수출통관 수입통관 수출화물관리 관세환급 등의 서비스에
단계적으로 나섰다.
이같은 부문별 자동화작업을 마무리짓고 지난해말부터 본격적인 무역
자동화 서비스에 들어갔다.
무역정보통신의 "종합무역업무 자동화망"은 개별 무역업체와 관련기관을
정보통신 네트워크로 이어준다.
관세청을 비롯 금융기관 수출입협회 보험회사 운송기관이 연결됐다.
국제무역망과 연계돼 외국 무역업체와도 손쉽게 거래할 수 있다.
이 회사의 주요 자동화 서비스에는 수출입승인은 물론 비자발급 및 원산지
증명발급 업무도 포함돼 있다.
외환부문에선 신용장 개설과 통지, 내국신용장 개설, 입출금 통지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 통관과 관련된 수출입신고나 관세환급 수출입화물관리와 운송부문의
적하보험 선복요청 선하증권 발급통지 등 무역업무처리와 관련된 대부분의
서비스가 이뤄지고 있다.
KTNET는 무역EDI를 활용하면 무역관련 비용을 80%가량 줄일수 있다고
설명한다.
현재 이를 이용하고 있는 6천4백여개 무역업체 전체로는 4천9백억원이나
된다.
EDI를 도입하기 전에는 6천1백억원이나 들었던 비용이 1천2백억원으로
크게 줄어든 것이다.
수출입업무 한건을 처리하는데 평균 13만원 들던 것이 2만5천원으로
내렸다.
처리기간도 4주일에서 1주일로 단축됐다.
이처럼 전자거래를 통한 "서류없는 무역시대"가 본격적으로 열리면서
수출입업무도 한결 수월해지고 있다.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11월 19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