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실질임금 14% 감소 .. 상용근로자수도 10% 줄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올 3.4분기중 근로자들의 임금이 지난해에 비해 8.1% 감소했으며
물가를 감안한 실질임금은 14.2%나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실질임금 감소폭은 70년 고용통계를 작성한 이후 최대치다.
노동부가 25일 집계한 "올 3.4분기 고용동향"에 따르면 10인이상
사업장 근로자의 월평균 임금총액은 1백41만7천원으로 전년동기에
비해 8.1% 감소했다.
임금내역별로 보면 호봉승급분이 반영된 1백4만7천원으로 3.2% 상승
했으나 초과급여는 10만원으로 16.5%,상여금이 포함된 특별급여는
27만원으로 33.8% 각각 감소했다.
노동부 관계자는 "소비자물가 상승분을 감안한 3.4분기중 실질임금
은 1백20만4천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4.2%나 줄었다"고 밝
혔다.
이 기간중 임시직이나 계약직이 아닌 상용근로자수는 4백71만7천명으
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52만명(9.9%)이나 감소,8년전인 90년 10월
(4백71만 6천명)수준으로 낮아졌다.
성별로 보면 남자가 31만7천명으로 8.4% 줄었고 여자는 20만3천명으
로 14.1% 감소, 여성들의 피해가 상대적으로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별 고용수준은 제조업이 31만명(13.0%) 감소한 2백6만9천명, 서
비스업이 18만3천명(7.3%) 감소한 2백30만8천명으로 나타났다.
< 김광현 기자 kkh@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11월 26일자 ).
물가를 감안한 실질임금은 14.2%나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실질임금 감소폭은 70년 고용통계를 작성한 이후 최대치다.
노동부가 25일 집계한 "올 3.4분기 고용동향"에 따르면 10인이상
사업장 근로자의 월평균 임금총액은 1백41만7천원으로 전년동기에
비해 8.1% 감소했다.
임금내역별로 보면 호봉승급분이 반영된 1백4만7천원으로 3.2% 상승
했으나 초과급여는 10만원으로 16.5%,상여금이 포함된 특별급여는
27만원으로 33.8% 각각 감소했다.
노동부 관계자는 "소비자물가 상승분을 감안한 3.4분기중 실질임금
은 1백20만4천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4.2%나 줄었다"고 밝
혔다.
이 기간중 임시직이나 계약직이 아닌 상용근로자수는 4백71만7천명으
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52만명(9.9%)이나 감소,8년전인 90년 10월
(4백71만 6천명)수준으로 낮아졌다.
성별로 보면 남자가 31만7천명으로 8.4% 줄었고 여자는 20만3천명으
로 14.1% 감소, 여성들의 피해가 상대적으로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별 고용수준은 제조업이 31만명(13.0%) 감소한 2백6만9천명, 서
비스업이 18만3천명(7.3%) 감소한 2백30만8천명으로 나타났다.
< 김광현 기자 kkh@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11월 26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