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준을 회복할 것으로 전망됐다.
27일 한국철강협회 주최로 포스코센터에서 열린 "중장기 철강재
수급전망 중간보고 공청회"에서 김인호 한양대교수는 "그동안 국내
철강재 수요는 상당한 거품이 있었다"며 "2006년에나 가서야 국내
철강소비 97년 수준을 회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 교수는 "IMF이전의 철강소비는 88올림픽,신도시 건설 및 주택
2백만호 건설,신공항 등 사회간접자본 투자 등으로 정상적인 소비량
이상의 수요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거시총량 예측방법 등을 통해 미래 철강수요를 예측한
결과 조강 및 판재류의 내수소비는 2002년 3천4백95만t수준으로
하락했다가 2006년에 가서야 97년 수준인 3천8백77만t규모에 달할
것으로 예측했다.
수출수요는 주요 수입국의 무역마찰 및 철강자급화를 위한 노력으로
인해 당분간 보합세를 유지하다 2000년에는 1천~1천3백만t 정도가
될 것으로 전망됐다.
철강협회는 이번 공청회에서 전문가들의 의견을 반영해 99년 3월
최종 보고서를 확정할 계획이다.
이익원 기자 iklee@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11월 28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