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린턴 미국 대통령은 최근 "웰페어 개혁"의 중간 성과를 평가하는 한
기념식에서 이같이 강조했다.
일방적인 정부의 생계 보조금에 의존했던 복지 수혜자들을 "일터"로 내몬
개혁이 조금씩 성과를 내고 있다는 자평이었다.
실제로 "복지에서 일터로(welfare to work)"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지난
97년 초부터 시행한 민간기업의 "파트너십" 제도에는 현재 7천5백여개 업체가
참여하고 있다.
"파트너십"이란 민간 기업들이 종전 웰페어 수혜자들에게 일정한 직업교육
을 시킨 뒤 정식직원으로 채용키로 정부와 계약을 맺는 제도.
미국 정부는 97년 첫 시행 당시 1천개 기업을 끌어들이는 것을 목표로
했으나 예상외로 출발 당시부터 3천2백개 업체가 선뜻 참여했다.
이를통해 일자리를 찾은 웰페어 수혜자는 최소한 13만5천명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이중 70%는 의료보험까지 제공되는 정규 직원이다.
당사자들로서는 정부의 생계 구호금에 전적으로 의존했던 "식충이"에서
당당한 근로 생활자로 "재활"하는 기쁨을 맛보고 있다.
미국기업들중 상당수는 이 "파트너십" 제도에 큰 만족을 표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방정부나 지자체가 고용 대상자들에게 사전에 일정한 직능훈련을 미리
시켜 주는 덕분에 상대적으로 낮은 임금을 주고도 곧바로 "실전"에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이들 "웍페어" 대상자들은 이직률이 일반 입사자들에 비해 훨씬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기업들 입장에서는 인력관리가 그만큼 쉬워지는 셈이다.
파트너십 제도를 통해 지난 97년초 1백20명의 웰페어 수혜자들을 사무
보조직 등으로 채용한 리퍼블릭 내셔널 뱅크의 경우 이직자가 10%도 안된다.
은행 관계자는 "이들 직종은 입사 1년내 평균 이직률이 50%를 넘어 업무에
큰 골치를 앓았던 분야"라며 "워크페어 덕분에 인력 운용의 난제 중 하나를
쉽게 해결했다"고 말한다.
이같은 "파트너십"의 효용이 알려지면서 체이스맨해튼 은행과 시티그룹
계열의 샐러먼 스미스 바니 증권 등 월가의 굵직한 금융기관들도 이 프로그램
에 적극 참여하고 있다.
시행 초기에는 패스트 푸드점과 유통업체 등의 단순 노무직에 대부분
국한됐던 참여 업체가 금융기관 등으로까지 다변화하고 있는 것이다.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12월 1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