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8 경제백서-IMF 1년] 경제쇼크 : 국책-민간연구소 시각차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10대 연구기관장을 대상으로 벌인 설문조사 결과 국책과 민간연구기관간엔
뚜렷한 시각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야별 구조조정에 대한 평가가 그렇다.
국책연구기관장이 구조조정에 준 종합성적은 75점.
낙제는 면한 점수다.
반면 민간연구기관장은 57점이란 냉혹한 평가를 내렸다.
금융 기업 공공 노동부문 등 부문별로 봐도 마찬가지다.
민간연구기관장은 국책기관장보다 8~16점씩 낮은 점수를 매겼다.
구조조정과 경기부양에 대한 정책비중을 보는 견해도 엇갈렸다.
국책연구기관장은 내년 경제정책의 무게중심을 구조조정에 65%, 경기부양에
35%로 둬야 한다고 주장했다.
구조조정에 더 많은 무게를 싣는 모습이다.
민간연구기관장은 다르다.
구조조정과 경기부양에 절반씩의 비중을 두고 정책을 추진해 나갈 것을
촉구했다.
실물경제 붕괴를 방치하면 구조조정도 물건너 간다는 이유에서다.
위기극복의 우선과제를 보는 눈도 다르다.
국책연구기관장은 내년 최우선 과제로 기업 구조조정을 꼽았다.
반면 민간연구기관은 수출촉진과 신용경색 해소를 가장 중요한 정책과제로
꼽았다.
외환위기 재발가능성을 놓고도 양쪽 시각은 맞선다.
국책연구기관장 가운데 25%만이 환란의 불씨가 남아 있다고 진단했다.
이에 비해 민간연구기관장의 50%가 제2의 환란이 도래할 가능성이 있다고
답했다.
기업구조조정의 핵심인 빅딜에 대해서도 견해차를 드러냈다.
국책연구기관장중 절반이 "빅딜은 산업경쟁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고
응답한데 비해 민간연구소장의 67%가 "빅딜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고
말했다.
민간연구소가 빅딜에 대해 상대적으로 비관적인 시각을 갖고 있는 것으로
풀이됐다.
양쪽 기관의 시각차는 경제전망에도 이어진다.
국책연구기관장의 75%가 경기저점 시기를 내년 상반기로 대답했다.
민간연구소장중 절반이상은 경기바닥을 내년 하반기로 점쳤다.
국책연구기관이 민간보다 상대적으로 희망적인 전망을 하고 있다는 얘기다.
한국의 경제성장률이 5% 안팎의 정상궤도로 재진입하는 시기에 대해선
국책연구기관장의 절반이 2000년부터 가능하다고 봤다.
민간연구소장 가운데선 40%만이 2000년이라고 답했다.
나머지 60%는 2001~2002년으로 내다봤다.
< 유병연 기자 yooby@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12월 3일자 ).
뚜렷한 시각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야별 구조조정에 대한 평가가 그렇다.
국책연구기관장이 구조조정에 준 종합성적은 75점.
낙제는 면한 점수다.
반면 민간연구기관장은 57점이란 냉혹한 평가를 내렸다.
금융 기업 공공 노동부문 등 부문별로 봐도 마찬가지다.
민간연구기관장은 국책기관장보다 8~16점씩 낮은 점수를 매겼다.
구조조정과 경기부양에 대한 정책비중을 보는 견해도 엇갈렸다.
국책연구기관장은 내년 경제정책의 무게중심을 구조조정에 65%, 경기부양에
35%로 둬야 한다고 주장했다.
구조조정에 더 많은 무게를 싣는 모습이다.
민간연구기관장은 다르다.
구조조정과 경기부양에 절반씩의 비중을 두고 정책을 추진해 나갈 것을
촉구했다.
실물경제 붕괴를 방치하면 구조조정도 물건너 간다는 이유에서다.
위기극복의 우선과제를 보는 눈도 다르다.
국책연구기관장은 내년 최우선 과제로 기업 구조조정을 꼽았다.
반면 민간연구기관은 수출촉진과 신용경색 해소를 가장 중요한 정책과제로
꼽았다.
외환위기 재발가능성을 놓고도 양쪽 시각은 맞선다.
국책연구기관장 가운데 25%만이 환란의 불씨가 남아 있다고 진단했다.
이에 비해 민간연구기관장의 50%가 제2의 환란이 도래할 가능성이 있다고
답했다.
기업구조조정의 핵심인 빅딜에 대해서도 견해차를 드러냈다.
국책연구기관장중 절반이 "빅딜은 산업경쟁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고
응답한데 비해 민간연구소장의 67%가 "빅딜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고
말했다.
민간연구소가 빅딜에 대해 상대적으로 비관적인 시각을 갖고 있는 것으로
풀이됐다.
양쪽 기관의 시각차는 경제전망에도 이어진다.
국책연구기관장의 75%가 경기저점 시기를 내년 상반기로 대답했다.
민간연구소장중 절반이상은 경기바닥을 내년 하반기로 점쳤다.
국책연구기관이 민간보다 상대적으로 희망적인 전망을 하고 있다는 얘기다.
한국의 경제성장률이 5% 안팎의 정상궤도로 재진입하는 시기에 대해선
국책연구기관장의 절반이 2000년부터 가능하다고 봤다.
민간연구소장 가운데선 40%만이 2000년이라고 답했다.
나머지 60%는 2001~2002년으로 내다봤다.
< 유병연 기자 yooby@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12월 3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