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8 경제백서-IMF 1년] 구조조정 : 'IMF 용어'..자산디플레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 자산디플레이션 ]
자산디플레이션은 외적 충격이나 통화정책기조의 변화, 내부적인 수요공급
불균형 등에 의해 금융자산(주식 채권 등)과 실물자산(토지 주택 등)의
가격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현상.
자산의 내재가치가 하락하거나 자산가격에 포함된 거품이 제거되면서 발생
한다.
자산디플레이션의 발생이 거품제거의 경우라면 자산가격이 적정수준을
찾아간다는 점에서 순기능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자산디플레이션은 기업 가계등 각 경제주체들의 소비와 투자를
위축시켜 경기침체를 가져온다는 점에서 심각한 문제를 가져온다.
특히 경제주체가 과도한 차입을 한 상태에서 자산디플레이션이 발생하면
신용경색과 금융위기로 발전돼 장기적인 경기침체로 이어지는 복합불황에
빠질 가능성도 있다.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12월 3일자 ).
자산디플레이션은 외적 충격이나 통화정책기조의 변화, 내부적인 수요공급
불균형 등에 의해 금융자산(주식 채권 등)과 실물자산(토지 주택 등)의
가격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현상.
자산의 내재가치가 하락하거나 자산가격에 포함된 거품이 제거되면서 발생
한다.
자산디플레이션의 발생이 거품제거의 경우라면 자산가격이 적정수준을
찾아간다는 점에서 순기능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자산디플레이션은 기업 가계등 각 경제주체들의 소비와 투자를
위축시켜 경기침체를 가져온다는 점에서 심각한 문제를 가져온다.
특히 경제주체가 과도한 차입을 한 상태에서 자산디플레이션이 발생하면
신용경색과 금융위기로 발전돼 장기적인 경기침체로 이어지는 복합불황에
빠질 가능성도 있다.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12월 3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