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유러화 출범 앞두고 정부 외화자산구성 '고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유러화가 출범되면 외환보유액 구성을 어떻게 바꿔야 하나"
내년 유럽 단일통화인 유러화 출범을 앞두고 정부가 새삼 고민에 빠졌다.
90% 가량이 달러로 이뤄져있는 현재 외환보유액 구성에서 유러화 편입비율
을 높일 것인가에 대한 결정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사실 유러화 출범이 한달도 채 남지 않은 현 시점에서 이같은 대응책은
이미 마무리됐어야 한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도 명확한 입장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겉으로는 외환위기 극복, 금융및 기업 구조조정 등에 신경을 쓰다보니
여력이 없기 때문이라고 답할 뿐이다.
실제로 재정경제부는 지난 8월에 유러화출범 대책 마련을 위한 태스크포스
를 한국은행 등 관계부처와 만들었다가 2번 회의만 하고 흐지부지됐다.
최근에야 다시 재경부 국제금융국 담당부서에서 논의를 하고 있는 실정이다.
<> 유러화 편입비중을 높여야 한다 =유러화 출범에 맞춰 달러에 편중돼
있는 외화보유액 구성비율을 바꿀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강하게 제기되고
있다.
이는 내년 유러화가 출범 초기부터 강세를 띨 것이라는 전망에 근거하고
있다.
EU 국가들이 긴축정책을 쓰면서까지 유러화 가치를 높일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정부가 유러화를 많이 보유하고 있으면 환율변동에 따른 이익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또 결제수단으로 유러화의 기능도 커질 전망이다.
민간연구기관들은 달러 엔 유러화 등 세계 3대 기축통화중 유로화가 차지
하는 비중이 앞으로 약 35%대에 이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따라서 EU와 교역규모를 늘려가는 한국 역시 지불수단으로 유러화 비중을
높일 필요가 있다는 얘기다.
실제 지난해 한국이 EU에 수출한 금액은 1백68억6천만달러였다.
이중 마르크등 유럽 국가 통화로 결제한 금액은 약 35억달러상당 정도였다.
수입도 1백89억달러중 54억달러 상당 정도를 유럽국가의 통화로 결제했다.
내년부터 단일통화가 사용되면 그동안 달러화로 거래했던 부분도 모두
유러화로 결제해야 할 전망이다.
<> 신중한 정부 =재경부는 유러화 출범에 대해 기본적으로 신중한 자세를
취하고 있다.
국제금융시장 전망이 불투명한 상황에서 섣불리 외화자산 구성을 바꾸는
것은 위험부담이 크다는 판단 때문이다.
오히려 성급한 포트폴리오 재구성이 괜히 외환사정 불안을 야기하는 실마리
가 되지 않을까 걱정하는 분위기도 강한 편이다.
재경부 관계자는 "유러화 비중을 높여가야 할 것으로 검토되고 있지만
규모와 시기는 아직 결정하지 않았다"며 "정부가 외화보유액 구성비율을
바꾼다는 것은 정책적인 판단이 필요한 일"이라고 말했다.
환율변동으로 손해를 볼지도 모른다는 불안감때문에 적극적인 대책을
세우기 어렵다는 것이다.
이에대해 민간기관들은 정부의 적극적인 대책마련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대우경제연구소 한상춘 국제금융팀장은 "정부가 가지고 있는 외화자산도
유러화 출범에 맞춰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삼성경제연구소도 최근 외환보유액중 35억달러에서 90억달러는 유러화로
확보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 김준현 기자 kimjh@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12월 4일자 ).
내년 유럽 단일통화인 유러화 출범을 앞두고 정부가 새삼 고민에 빠졌다.
90% 가량이 달러로 이뤄져있는 현재 외환보유액 구성에서 유러화 편입비율
을 높일 것인가에 대한 결정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사실 유러화 출범이 한달도 채 남지 않은 현 시점에서 이같은 대응책은
이미 마무리됐어야 한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도 명확한 입장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겉으로는 외환위기 극복, 금융및 기업 구조조정 등에 신경을 쓰다보니
여력이 없기 때문이라고 답할 뿐이다.
실제로 재정경제부는 지난 8월에 유러화출범 대책 마련을 위한 태스크포스
를 한국은행 등 관계부처와 만들었다가 2번 회의만 하고 흐지부지됐다.
최근에야 다시 재경부 국제금융국 담당부서에서 논의를 하고 있는 실정이다.
<> 유러화 편입비중을 높여야 한다 =유러화 출범에 맞춰 달러에 편중돼
있는 외화보유액 구성비율을 바꿀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강하게 제기되고
있다.
이는 내년 유러화가 출범 초기부터 강세를 띨 것이라는 전망에 근거하고
있다.
EU 국가들이 긴축정책을 쓰면서까지 유러화 가치를 높일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정부가 유러화를 많이 보유하고 있으면 환율변동에 따른 이익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또 결제수단으로 유러화의 기능도 커질 전망이다.
민간연구기관들은 달러 엔 유러화 등 세계 3대 기축통화중 유로화가 차지
하는 비중이 앞으로 약 35%대에 이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따라서 EU와 교역규모를 늘려가는 한국 역시 지불수단으로 유러화 비중을
높일 필요가 있다는 얘기다.
실제 지난해 한국이 EU에 수출한 금액은 1백68억6천만달러였다.
이중 마르크등 유럽 국가 통화로 결제한 금액은 약 35억달러상당 정도였다.
수입도 1백89억달러중 54억달러 상당 정도를 유럽국가의 통화로 결제했다.
내년부터 단일통화가 사용되면 그동안 달러화로 거래했던 부분도 모두
유러화로 결제해야 할 전망이다.
<> 신중한 정부 =재경부는 유러화 출범에 대해 기본적으로 신중한 자세를
취하고 있다.
국제금융시장 전망이 불투명한 상황에서 섣불리 외화자산 구성을 바꾸는
것은 위험부담이 크다는 판단 때문이다.
오히려 성급한 포트폴리오 재구성이 괜히 외환사정 불안을 야기하는 실마리
가 되지 않을까 걱정하는 분위기도 강한 편이다.
재경부 관계자는 "유러화 비중을 높여가야 할 것으로 검토되고 있지만
규모와 시기는 아직 결정하지 않았다"며 "정부가 외화보유액 구성비율을
바꾼다는 것은 정책적인 판단이 필요한 일"이라고 말했다.
환율변동으로 손해를 볼지도 모른다는 불안감때문에 적극적인 대책을
세우기 어렵다는 것이다.
이에대해 민간기관들은 정부의 적극적인 대책마련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대우경제연구소 한상춘 국제금융팀장은 "정부가 가지고 있는 외화자산도
유러화 출범에 맞춰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삼성경제연구소도 최근 외환보유액중 35억달러에서 90억달러는 유러화로
확보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 김준현 기자 kimjh@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12월 4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