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 빅뱅에 긴장 .. '가시화되는 5대그룹 구조조정'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연말 재계에 빅뱅(대폭발)이 온다"
재계가 술렁이고 있다.
삼성-대우간 빅딜 협상 소식이 전해진데 이어 현대가 3일 자동차사업구조
조정을 통해 분가구도를 가시화함에 따라 5대그룹과 관련해선 상상하지 못할
정도의 변화가 일어날 것이란 얘기도 오간다.
5대그룹이 이달중 앞두고 있는 일들을 보면 이런 분위기는 어쩌면
자연스럽다.
우선 7일 김대중 대통령이 직접 주재하는 정.재계간담회가 있다.
15일에는 주채권은행과 재무구조개선약정을 새로 맺어야 한다.
말일까지는 반도체를 포함한 7개 사업구조조정 업종의 통합 및 출범 준비를
끝내야 한다.
이런 빡빡한 일정을 지켜가는 과정 자체가 재계엔 "시련"이 될 수밖에 없다.
그때마다 "성의"와 "노력"을 보여야 하기 때문이다.
정부측의 구조조정 요구를 만족시킬 만한 카드를 찾아야 한다는 얘기다.
그도 그럴 것이 3개월여 공을 들인 유화 항공 철차 등 3개 업종의 구조조정
은 "퇴짜"를 맞았다.
강봉균 청와대경제수석은 오너가 사재를 출연해야 자구노력으로 인정할 수
있다는 말을 꺼냈다.
재계가 "자세"를 갖춘데다 정부가 전방위 압박을 계속하고 있어 연말 재계
빅뱅설이 더욱 설득력을 얻어가고 있는 것이다.
이와 관련, 5대그룹은 <>선단식 경영포기 <>1백억달러 외자유치 <>주력
업종 선정 및 계열사 대폭 축소 <>비핵심 계열사 매각 <>7개 업종 사업구조
조정 조기 매듭 등 강도 높은 구조조정 계획을 마련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5대그룹은 4일 구조조정본부장 회의를 갖고 이 계획을 확정, 7일 열릴
청와대 정.재계회의 때 내놓을 예정이다.
이 구조조정계획에는 7개 업종 구조조정에 모그룹의 손실부담 비율을 크게
높이고 반도체 경영주체 선정을 월말까지 반드시 매듭짓겠다는 계획이
명시될 것으로 보인다.
5대그룹은 계열사 수를 평균 40% 이상 줄여 선단식 경영방식을 포기하고
주력 업종별 소그룹화를 공식 선언하는 방안도 적극 검토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재계 관계자들은 <>현대는 자동차 전자 건설 중화학 금융및 서비스 <>삼성
은 전자 금융 서비스 <>대우는 자동차 무역 금융 <>LG는 전자 석유화학
<>SK는 정유 정보통신 등을 중심으로 각 그룹별 3~5개로 주력업체의 가닥을
잡을 것으로 예상했다.
빅뱅을 예상하는 이들은 이 "계획"을 정부가 당장 실현시키려 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특히 기업구조개혁의 추진축이 금융감독위원회가 될 경우에는 더욱 그렇다.
금감위는 3일에도 "삼성자동차의 빅딜은 재벌개혁의 완결이 아니라 출발"
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금감위는 산자부와는 달리 워크아웃이라는 틀안에서 기업구조조정을 가속화
하려고 하고 있다.
금감위의 계획대로라면 50~70개의 계열사를 가진 대기업그룹이 4~5개 주력
업종 중심의 소그룹으로 바뀌게 되는 것이다.
모그룹 관계자는 "기업구조조정 속도가 갑자기 빨라지면서 그간의 노력이
소용없게 됐다"며 "내놓고 반발할 수 없는 기업입장에선 정책 순응비용을
지나치게 많이 내는 셈"이라고 덧붙였다.
[ 5대그룹 빅딜 일정 ]
<>.12월4일 : 항공/철도차량/유화 수정계획 제출
<>.12월7일 : 김대중대통령 주재 정-재계 간담회
<>.12월15일 : . 각 그룹 구조조정 계획 작성
. 재무구조 개선계획 완료
<>.12월31일 : . 반도체 경영 주체선정 완료
. 기타업종 통합준비 완료
< 권영설 기자 yskwon@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12월 4일자 ).
재계가 술렁이고 있다.
삼성-대우간 빅딜 협상 소식이 전해진데 이어 현대가 3일 자동차사업구조
조정을 통해 분가구도를 가시화함에 따라 5대그룹과 관련해선 상상하지 못할
정도의 변화가 일어날 것이란 얘기도 오간다.
5대그룹이 이달중 앞두고 있는 일들을 보면 이런 분위기는 어쩌면
자연스럽다.
우선 7일 김대중 대통령이 직접 주재하는 정.재계간담회가 있다.
15일에는 주채권은행과 재무구조개선약정을 새로 맺어야 한다.
말일까지는 반도체를 포함한 7개 사업구조조정 업종의 통합 및 출범 준비를
끝내야 한다.
이런 빡빡한 일정을 지켜가는 과정 자체가 재계엔 "시련"이 될 수밖에 없다.
그때마다 "성의"와 "노력"을 보여야 하기 때문이다.
정부측의 구조조정 요구를 만족시킬 만한 카드를 찾아야 한다는 얘기다.
그도 그럴 것이 3개월여 공을 들인 유화 항공 철차 등 3개 업종의 구조조정
은 "퇴짜"를 맞았다.
강봉균 청와대경제수석은 오너가 사재를 출연해야 자구노력으로 인정할 수
있다는 말을 꺼냈다.
재계가 "자세"를 갖춘데다 정부가 전방위 압박을 계속하고 있어 연말 재계
빅뱅설이 더욱 설득력을 얻어가고 있는 것이다.
이와 관련, 5대그룹은 <>선단식 경영포기 <>1백억달러 외자유치 <>주력
업종 선정 및 계열사 대폭 축소 <>비핵심 계열사 매각 <>7개 업종 사업구조
조정 조기 매듭 등 강도 높은 구조조정 계획을 마련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5대그룹은 4일 구조조정본부장 회의를 갖고 이 계획을 확정, 7일 열릴
청와대 정.재계회의 때 내놓을 예정이다.
이 구조조정계획에는 7개 업종 구조조정에 모그룹의 손실부담 비율을 크게
높이고 반도체 경영주체 선정을 월말까지 반드시 매듭짓겠다는 계획이
명시될 것으로 보인다.
5대그룹은 계열사 수를 평균 40% 이상 줄여 선단식 경영방식을 포기하고
주력 업종별 소그룹화를 공식 선언하는 방안도 적극 검토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재계 관계자들은 <>현대는 자동차 전자 건설 중화학 금융및 서비스 <>삼성
은 전자 금융 서비스 <>대우는 자동차 무역 금융 <>LG는 전자 석유화학
<>SK는 정유 정보통신 등을 중심으로 각 그룹별 3~5개로 주력업체의 가닥을
잡을 것으로 예상했다.
빅뱅을 예상하는 이들은 이 "계획"을 정부가 당장 실현시키려 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특히 기업구조개혁의 추진축이 금융감독위원회가 될 경우에는 더욱 그렇다.
금감위는 3일에도 "삼성자동차의 빅딜은 재벌개혁의 완결이 아니라 출발"
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금감위는 산자부와는 달리 워크아웃이라는 틀안에서 기업구조조정을 가속화
하려고 하고 있다.
금감위의 계획대로라면 50~70개의 계열사를 가진 대기업그룹이 4~5개 주력
업종 중심의 소그룹으로 바뀌게 되는 것이다.
모그룹 관계자는 "기업구조조정 속도가 갑자기 빨라지면서 그간의 노력이
소용없게 됐다"며 "내놓고 반발할 수 없는 기업입장에선 정책 순응비용을
지나치게 많이 내는 셈"이라고 덧붙였다.
[ 5대그룹 빅딜 일정 ]
<>.12월4일 : 항공/철도차량/유화 수정계획 제출
<>.12월7일 : 김대중대통령 주재 정-재계 간담회
<>.12월15일 : . 각 그룹 구조조정 계획 작성
. 재무구조 개선계획 완료
<>.12월31일 : . 반도체 경영 주체선정 완료
. 기타업종 통합준비 완료
< 권영설 기자 yskwon@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12월 4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