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8 경제백서-기업] 조기 구조조정 : 아웃소싱 '급증'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핵심사업 중심의 구조조정을 계기로 국내에도 본격적인 아웃소싱
(outsourcing)시대가 열리고 있다.
아웃소싱이란 비주력 업무를 외부 전문업체에 위탁하는 것.
최근 대한상의가 전국 3백68개 상장회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절반이상(54.3%)의 기업이 아웃소싱제도를 도입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분야별로는 건물관리 및 경비가 32.3%로 가장 많았으며 정보처리 및
시스템개발(18.8%), 생산(17%), 물류(9.3%)등도 전문업체에 위탁하는
사례가 늘어나는 추세였다.
아웃소싱의 목적으로는 "비용절감"이 단연 압도적.
전체 조사대상의 44.7%가 비용을 줄이기 위해 아웃소싱을 실시한다고
답했다.
그러나 품질및 서비스 향상(20%), 핵심업무에 역량집중(16%)등도
아웃소싱의 주요 목적으로 꼽혔다.
이들 기업의 아웃소싱 만족도도 상당히 높았다.
아웃소싱의 효과를 묻는 질문에 "크다"고 답한 기업이 68%에 달했다.
반면 "별로 없다"는 응답은 4.5%에 그쳤다.
더욱이 아웃소싱을 활용하고 있는 기업의 99%가 앞으로도 전문업체를
활용, 업무를 외부에 맡기겠다고 답해 아웃소싱관련 산업이 급성장할
것으로 점쳐졌다.
그러나 미국이나 일본등 선진국에 비하면 아직은 초기단계.
미국(97년 아웃소싱연구원 조사)은 90%, 일본(98년 일본능률협회조사)은
77%의 기업이 아웃소싱을 활용하고 있다.
아웃소싱 활용도가 한국의 2배 가까운 셈이다.
목적도 달랐다.
비용절감이 최대 목적인 국내기업과는 달리 일본기업들은 외부전문성
활용(42.4%)을 위해 아웃소싱을 활용하고 있었다.
전문가들은 국내에서 아웃소싱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아웃소싱에 대한
기업들의 인식이 양과 질 모든 면에서 높아져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12월 9일자 ).
(outsourcing)시대가 열리고 있다.
아웃소싱이란 비주력 업무를 외부 전문업체에 위탁하는 것.
최근 대한상의가 전국 3백68개 상장회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절반이상(54.3%)의 기업이 아웃소싱제도를 도입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분야별로는 건물관리 및 경비가 32.3%로 가장 많았으며 정보처리 및
시스템개발(18.8%), 생산(17%), 물류(9.3%)등도 전문업체에 위탁하는
사례가 늘어나는 추세였다.
아웃소싱의 목적으로는 "비용절감"이 단연 압도적.
전체 조사대상의 44.7%가 비용을 줄이기 위해 아웃소싱을 실시한다고
답했다.
그러나 품질및 서비스 향상(20%), 핵심업무에 역량집중(16%)등도
아웃소싱의 주요 목적으로 꼽혔다.
이들 기업의 아웃소싱 만족도도 상당히 높았다.
아웃소싱의 효과를 묻는 질문에 "크다"고 답한 기업이 68%에 달했다.
반면 "별로 없다"는 응답은 4.5%에 그쳤다.
더욱이 아웃소싱을 활용하고 있는 기업의 99%가 앞으로도 전문업체를
활용, 업무를 외부에 맡기겠다고 답해 아웃소싱관련 산업이 급성장할
것으로 점쳐졌다.
그러나 미국이나 일본등 선진국에 비하면 아직은 초기단계.
미국(97년 아웃소싱연구원 조사)은 90%, 일본(98년 일본능률협회조사)은
77%의 기업이 아웃소싱을 활용하고 있다.
아웃소싱 활용도가 한국의 2배 가까운 셈이다.
목적도 달랐다.
비용절감이 최대 목적인 국내기업과는 달리 일본기업들은 외부전문성
활용(42.4%)을 위해 아웃소싱을 활용하고 있었다.
전문가들은 국내에서 아웃소싱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아웃소싱에 대한
기업들의 인식이 양과 질 모든 면에서 높아져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12월 9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