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8 한경소비자대상 (상)] 가전제품 : 만도기계 '딤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 다이제스트 >>
<> 국내 첫 김치전문냉장고
<> 김치 최대 4개월간 보관
<> 종류 숙성기간 등 선택가능
<> 올해 13만5천대 판매
<> 시장 점유율 80%
-----------------------------------------------------------------------
딤채는 국내 최초의 김치전문 냉장고이다.
기존의 냉장고로는 한국 고유의 발효음식인 김치를 보관하는 데 한계가
있다고 보고 만도기계가 지난 96년 개발했다.
딤채는 최근 판매량이 급증하고 있다.
첫 선을 보인 지난 96년 2만대, 97년 8만대에 이어 올들어서는 지난 11월말
현재까지 13만5천대가 팔렸다.
회사측은 "김장철에 접어들면서 생산량이 주문을 따라가지 못하고있다"며
연말까지 16만대 정도는 팔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1백35%의 증가율이다.
딤채가 인기를 끄는 것은 기존 냉장고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4개월이라는 오랜기간동안 김치를 보관할 수 있기 때문이다.
1년에 세번만 김장을 하면 항상 햇김치를 먹을 수 있다는게 회사측의
설명이다.
이와함께 물김치 총각김치 갓김치 등 종류별 저장 방법, 고온숙성
저온숙성 등 숙성방법, 표준 맛, 덜익은 맛, 잘익은 맛 등 맛종류를
선택할수 있도록 해 소비자의 다양한 기호를 충족시켰다는 평을 받고있다.
만도기계는 김치를 장기간 보관할 수 있도록 딤채를 기존 냉장고와는
여러가지 측면에서 다르게 설계했다.
우선 관심을 끄는 부분은 온도 유지이다.
회사측은 김치에대한 조사 연구끝에 딤채의 실내온도를 섭씨 (-0.5~+0.5)도
에서 유지되도록 설계 했다.
이를위해 문도 앞뒤로 여닫는 기존 냉장고와는 달리 전통 김장독처럼
뚜껑 형식으로 위에서 여닫도록 만들었다.
김치를 꺼내는 과정에서 냉기와 습기가 밖으로 빠져 나가 온도가 급변하는
것을 막기위한 것이다.
회사 관계자는 "김치는 섭씨 7도에서 잘 숙성되고 0도에서 가장 싱싱하게
오랫동안 보관된다.
또 유산균이나 잡균의 번식을 막기위해 온도변화를 (-0.5~+0.5)도 이내로
제한해야 한다"며 저온 유지의 중요성을 설명했다.
딤채는 이와함께 간접냉각방식의 기존 냉장고와는 달리 직접냉각방식을
채택하고있다.
냉기를 보관물에 바로 접촉토록 함으로써 냉장 효과를 높임과 동시에
절전효과도 노린 것이다.
또 냄새가 많이 나는 점을 들어 뚜껑에 탈취제를 부착했고 요구르트
식혜 등 김치이외의 발효음식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도 마련했다.
딤채가 인기를 끌자 최근 시장에는 김치전문 냉장고가 잇따라 나오고 있다.
삼성전자가 김장독을, 청호나이스가 김치뱅크를 내놓았다.
이들의 시장점유율은 현재 13%와 4%정도.
딤채의 시장점유율은 지난해 92%에서 올해 80%로 약간 떨어졌으나 여전히
최고의 인기를 누리고있다.
만도는 딤채가 새로운 주방용기기시장을 열었다고 평가한다.
딤채가 김치전문냉장고 김치전문보관기구 등 여러가지로 불려지고 있으나
싱싱하게 오랫동안 보관하는 점을 들어 김치생장고로 정착되기를 원하고
있다.
< 박주병 기자 jbpark@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12월 16일자 ).
<> 국내 첫 김치전문냉장고
<> 김치 최대 4개월간 보관
<> 종류 숙성기간 등 선택가능
<> 올해 13만5천대 판매
<> 시장 점유율 80%
-----------------------------------------------------------------------
딤채는 국내 최초의 김치전문 냉장고이다.
기존의 냉장고로는 한국 고유의 발효음식인 김치를 보관하는 데 한계가
있다고 보고 만도기계가 지난 96년 개발했다.
딤채는 최근 판매량이 급증하고 있다.
첫 선을 보인 지난 96년 2만대, 97년 8만대에 이어 올들어서는 지난 11월말
현재까지 13만5천대가 팔렸다.
회사측은 "김장철에 접어들면서 생산량이 주문을 따라가지 못하고있다"며
연말까지 16만대 정도는 팔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1백35%의 증가율이다.
딤채가 인기를 끄는 것은 기존 냉장고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4개월이라는 오랜기간동안 김치를 보관할 수 있기 때문이다.
1년에 세번만 김장을 하면 항상 햇김치를 먹을 수 있다는게 회사측의
설명이다.
이와함께 물김치 총각김치 갓김치 등 종류별 저장 방법, 고온숙성
저온숙성 등 숙성방법, 표준 맛, 덜익은 맛, 잘익은 맛 등 맛종류를
선택할수 있도록 해 소비자의 다양한 기호를 충족시켰다는 평을 받고있다.
만도기계는 김치를 장기간 보관할 수 있도록 딤채를 기존 냉장고와는
여러가지 측면에서 다르게 설계했다.
우선 관심을 끄는 부분은 온도 유지이다.
회사측은 김치에대한 조사 연구끝에 딤채의 실내온도를 섭씨 (-0.5~+0.5)도
에서 유지되도록 설계 했다.
이를위해 문도 앞뒤로 여닫는 기존 냉장고와는 달리 전통 김장독처럼
뚜껑 형식으로 위에서 여닫도록 만들었다.
김치를 꺼내는 과정에서 냉기와 습기가 밖으로 빠져 나가 온도가 급변하는
것을 막기위한 것이다.
회사 관계자는 "김치는 섭씨 7도에서 잘 숙성되고 0도에서 가장 싱싱하게
오랫동안 보관된다.
또 유산균이나 잡균의 번식을 막기위해 온도변화를 (-0.5~+0.5)도 이내로
제한해야 한다"며 저온 유지의 중요성을 설명했다.
딤채는 이와함께 간접냉각방식의 기존 냉장고와는 달리 직접냉각방식을
채택하고있다.
냉기를 보관물에 바로 접촉토록 함으로써 냉장 효과를 높임과 동시에
절전효과도 노린 것이다.
또 냄새가 많이 나는 점을 들어 뚜껑에 탈취제를 부착했고 요구르트
식혜 등 김치이외의 발효음식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도 마련했다.
딤채가 인기를 끌자 최근 시장에는 김치전문 냉장고가 잇따라 나오고 있다.
삼성전자가 김장독을, 청호나이스가 김치뱅크를 내놓았다.
이들의 시장점유율은 현재 13%와 4%정도.
딤채의 시장점유율은 지난해 92%에서 올해 80%로 약간 떨어졌으나 여전히
최고의 인기를 누리고있다.
만도는 딤채가 새로운 주방용기기시장을 열었다고 평가한다.
딤채가 김치전문냉장고 김치전문보관기구 등 여러가지로 불려지고 있으나
싱싱하게 오랫동안 보관하는 점을 들어 김치생장고로 정착되기를 원하고
있다.
< 박주병 기자 jbpark@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12월 16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