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I면톱] 삼성-대우 고용승계 진통 .. 삼성 반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산업자원부와 대우그룹은 16일 삼성전자가 대우전자의 인력을 전원 고용
승계키로 하는 등 삼성과 대우가 빅딜(사업교환) 후속처리 방안에 합의
했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삼성은 전혀 합의된 사항이 없다고 밝혀 삼성자동차와 대우전자의
빅딜 후속처리 방안에 이견이 있음을 드러냈다.
삼성이 이처럼 합의된 사항이 없다고 주장하는데도 정부 주도로 산업자원부
와 대우가 고용승계 등에 합의했다고 발표, 앞으로 적지 않은 후유증이
나타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산업자원부와 대우는 이날 삼성전자가 대우전자 인력을 전원 승계하고
인수후에도 최소 5년간 대우전자를 별도법인으로 운영키로 삼성과 합의
했다고 밝혔다.
또 삼성이 대우전자 해외법인을 지금처럼 운영하며 대우전자 협력업체(해외
동반진출 부품업체 포함)와 대리점 등 생산 및 마케팅 체제에 대해서도
삼성전자의 기존 협력업체및 대리점과 차이를 두지않고 지원키로 했다고
산자부와 대우는 덧붙였다.
산자부와 대우의 발표에는 삼성이 최소 5년동안 대우전자 브랜드를
유지키로 했다는 내용도 들어 있다.
대우전자는 삼성이 인수할 때까지 국내외 공장을 정상가동하고 협력업체와
대리점에 대해서도 지금까지 해온대로 계속 지원한다는 점도 명시돼 있다.
자동차 부문에선 삼성자동차의 경우 대우에 인수될때까지 부산공장의 현
가동상태를 유지하고 협력업체 부도가 나지 않도록 책임 지원하며 대우에
승계되는 인력외 잔류인력 전원을 삼성에서 흡수키로 합의했다고 산자부는
주장했다.
또 대우자동차는 삼성자동차 부산공장을 대우의 자동차 생산기지로 계속
활용하며 구체적 방안은 인수후 중장기 종합계획을 마련해 발표키로 했다.
삼성자동차 협력업체 육성에 관해서는 중장기 종합계획에 반영키로 합의
했다고 덧붙였다.
산자부는 최홍건 차관이 14일 윤종용 삼성전자 사장을 만난데 이어 15일
박태영 장관이 김태구 대우그룹 구조조정본부장과 만나 이같은 안에
합의토록 종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우 구조조정본부 관계자는 "지난 15일 김태구 구조조정본부장이 산자부
박 장관을 만난 자리에서 합의 문구에 동의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그는 "합의문은 기본적인 방향을 정하는 원칙적인 내용이어서 양사가 굳이
도장을 찍을 일은 없었을 것"이라고 말해 산자부로부터 "일방 통보"를
받았음을 시사했다.
반면 삼성 구조조정본부와 삼성자동차 관계자는 "합의내용은 아무 것도
없다"고 강조했다.
삼성의 가장 큰 불만사항은 고용승계 문제.
정부의 요구대로라면 대우는 삼성자동차 부산공장의 생산직 1천8백명만
받아들이면 된다.
이에 비해 삼성은 대우전자 인력 9천1백명과 삼성자동차의 잔류인력
4천6백명등 1만3천7백명을 떠안아야할 것으로 보인다.
또 "SM5"의 생산 계속여부도 쟁점.
삼성은 부산공장이 대우에 넘어가더라도 SM5를 계속 생산해야 하며 이를
합의문에 명시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과잉인력의 고용조정과 중복되는 해외법인, 협력업체및 대리점의 통폐합
없이는 경쟁력을 결코 강화할 수없으며 빅딜의 효과도 기대할 수 없다는게
삼성의 판단이다.
산자부 안이 대우에 일방적으로 유리하며 최소한 삼성자동차 인력(총
6천2백명)을 전원 수용해야 한다는 것이 삼성의 주장이다.
이와 관련, 삼성전자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대우전자 인력의 고용승계,
해외법인 유지, 브랜드 유지등의 문제는 삼성자동차와 대우자동차간 후속
처리 방안에 대한 합의가 전제돼야 하는 것으로 자동차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한 어떠한 합의도 있을수 없다고 강조했다.
인력조정 외에 부채조정 문제도 해결되지 않아 양그룹간 빅딜은 앞으로
넘어야 할 산이 적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 빅딜 후속조치에 대한 삼성-대우 입장 ]
< 자동차 >
<>.삼성
- 부산공장에서 SM5 지속적 생산
- 영업/생산분야의 협력업체 그대로 유지
- 삼성자동차 인력(6천2백명) 전원 승계
- 기존 애프터서비스 체제 유지
<>.대우
- 부산공장을 대우의 자동차 생산기지로 활용/육성
- 구체적 방안은 평가, 합의, 인수뒤 중장기 종합계획에 명시
- 삼성자동차 협력업체 육성방안도 중장기 계획에 반영
< 전자 >
<>.삼성
- 삼성전자와 대우전자와의 합의는 삼성자동차와 대우자동차간의 합의가
전제돼야 함
- 삼성자동차와 대우자동차간에 어떠한 합의도 이뤄지지 않았으므로
삼성전자도 대우전자와 어떠한 합의도 하지 않았음
<>.대우
- 대우전자 인력(9천1백명) 전원 승계
- 인수후 최소 5년간 대우전자를 별도 법인으로 운영
- 해외법인 현체제 유지
- 협력업체/대리점에 대해 차별없이 협력/지원 관계 유지
< 강현철 기자 hckang@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12월 17일자 ).
승계키로 하는 등 삼성과 대우가 빅딜(사업교환) 후속처리 방안에 합의
했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삼성은 전혀 합의된 사항이 없다고 밝혀 삼성자동차와 대우전자의
빅딜 후속처리 방안에 이견이 있음을 드러냈다.
삼성이 이처럼 합의된 사항이 없다고 주장하는데도 정부 주도로 산업자원부
와 대우가 고용승계 등에 합의했다고 발표, 앞으로 적지 않은 후유증이
나타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산업자원부와 대우는 이날 삼성전자가 대우전자 인력을 전원 승계하고
인수후에도 최소 5년간 대우전자를 별도법인으로 운영키로 삼성과 합의
했다고 밝혔다.
또 삼성이 대우전자 해외법인을 지금처럼 운영하며 대우전자 협력업체(해외
동반진출 부품업체 포함)와 대리점 등 생산 및 마케팅 체제에 대해서도
삼성전자의 기존 협력업체및 대리점과 차이를 두지않고 지원키로 했다고
산자부와 대우는 덧붙였다.
산자부와 대우의 발표에는 삼성이 최소 5년동안 대우전자 브랜드를
유지키로 했다는 내용도 들어 있다.
대우전자는 삼성이 인수할 때까지 국내외 공장을 정상가동하고 협력업체와
대리점에 대해서도 지금까지 해온대로 계속 지원한다는 점도 명시돼 있다.
자동차 부문에선 삼성자동차의 경우 대우에 인수될때까지 부산공장의 현
가동상태를 유지하고 협력업체 부도가 나지 않도록 책임 지원하며 대우에
승계되는 인력외 잔류인력 전원을 삼성에서 흡수키로 합의했다고 산자부는
주장했다.
또 대우자동차는 삼성자동차 부산공장을 대우의 자동차 생산기지로 계속
활용하며 구체적 방안은 인수후 중장기 종합계획을 마련해 발표키로 했다.
삼성자동차 협력업체 육성에 관해서는 중장기 종합계획에 반영키로 합의
했다고 덧붙였다.
산자부는 최홍건 차관이 14일 윤종용 삼성전자 사장을 만난데 이어 15일
박태영 장관이 김태구 대우그룹 구조조정본부장과 만나 이같은 안에
합의토록 종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우 구조조정본부 관계자는 "지난 15일 김태구 구조조정본부장이 산자부
박 장관을 만난 자리에서 합의 문구에 동의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그는 "합의문은 기본적인 방향을 정하는 원칙적인 내용이어서 양사가 굳이
도장을 찍을 일은 없었을 것"이라고 말해 산자부로부터 "일방 통보"를
받았음을 시사했다.
반면 삼성 구조조정본부와 삼성자동차 관계자는 "합의내용은 아무 것도
없다"고 강조했다.
삼성의 가장 큰 불만사항은 고용승계 문제.
정부의 요구대로라면 대우는 삼성자동차 부산공장의 생산직 1천8백명만
받아들이면 된다.
이에 비해 삼성은 대우전자 인력 9천1백명과 삼성자동차의 잔류인력
4천6백명등 1만3천7백명을 떠안아야할 것으로 보인다.
또 "SM5"의 생산 계속여부도 쟁점.
삼성은 부산공장이 대우에 넘어가더라도 SM5를 계속 생산해야 하며 이를
합의문에 명시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과잉인력의 고용조정과 중복되는 해외법인, 협력업체및 대리점의 통폐합
없이는 경쟁력을 결코 강화할 수없으며 빅딜의 효과도 기대할 수 없다는게
삼성의 판단이다.
산자부 안이 대우에 일방적으로 유리하며 최소한 삼성자동차 인력(총
6천2백명)을 전원 수용해야 한다는 것이 삼성의 주장이다.
이와 관련, 삼성전자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대우전자 인력의 고용승계,
해외법인 유지, 브랜드 유지등의 문제는 삼성자동차와 대우자동차간 후속
처리 방안에 대한 합의가 전제돼야 하는 것으로 자동차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한 어떠한 합의도 있을수 없다고 강조했다.
인력조정 외에 부채조정 문제도 해결되지 않아 양그룹간 빅딜은 앞으로
넘어야 할 산이 적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 빅딜 후속조치에 대한 삼성-대우 입장 ]
< 자동차 >
<>.삼성
- 부산공장에서 SM5 지속적 생산
- 영업/생산분야의 협력업체 그대로 유지
- 삼성자동차 인력(6천2백명) 전원 승계
- 기존 애프터서비스 체제 유지
<>.대우
- 부산공장을 대우의 자동차 생산기지로 활용/육성
- 구체적 방안은 평가, 합의, 인수뒤 중장기 종합계획에 명시
- 삼성자동차 협력업체 육성방안도 중장기 계획에 반영
< 전자 >
<>.삼성
- 삼성전자와 대우전자와의 합의는 삼성자동차와 대우자동차간의 합의가
전제돼야 함
- 삼성자동차와 대우자동차간에 어떠한 합의도 이뤄지지 않았으므로
삼성전자도 대우전자와 어떠한 합의도 하지 않았음
<>.대우
- 대우전자 인력(9천1백명) 전원 승계
- 인수후 최소 5년간 대우전자를 별도 법인으로 운영
- 해외법인 현체제 유지
- 협력업체/대리점에 대해 차별없이 협력/지원 관계 유지
< 강현철 기자 hckang@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12월 17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