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아 진천, 죽어 용인이라는 말은 이제 구문입니다"

외지인을 만나는 용인시민들이 입에 달고 다니는 말이다.

용인은 명당이 많아 죽은뒤 선호되는 곳이었지만 이젠 질높은 삶을 위해
찾는 사람이 많다는 자신감이다.

주거지로서 용인의 명성은 최근 아파트시장의 상승세를 주도했다는
점에서도 확인된다.

수도권 아파트가격은 이달부터 오르고 있지만 용인은 10월 중순부터
상승세를 탓다.

두달전 1억4천만~1억4천5백만원이던 용인 수지1지구 현대아파트 32평형은
요즘 1억5천5백만~1억6천만원선.

분양권시세도 최고 3천만원까지 프리미엄이 형성됐다.

땅값 하락세도 멈췄다.

급매물이 회수되고 있으며 지역에 따라 오르는 곳도 있다.

두레공인 이철근대표는 "종합행정타운이 조성되는 용인대 맞은편 삼가동
일대는 호가가 상승중이며 매물이 딸린다"고 전한다.

용지보상 마무리단계인 행정타운은 2001년에 공사를 마무리짓고 2002년부터
시청 시의회 소방서등 14개 기관이 입주한다.

인구 30만의 소도시 용인은 정권이 바뀔때마다 전국민의 따가운 시선을
받은 곳이다.

재산을 공개하는 고위공직자의 상당수가 이곳에 집이나 땅을 보유한
사실이 드러났기 때문.

이렇듯 잘나갈땐 용인시내 길이 닿는 땅은 무조건 평당 1백만원 이상에
호가됐다.

그렇지만 용인도 IMF는 비껴가지 못했다.

토지대장과 지적도를 발행하는데 따른 시의 인지대 수입이 하루
80~90만원으로 IMF전 2백만원의 절반이하로 떨어졌다.

그러나 최근엔 회복세다.

아파트 분양권전매건수가 하루 60~70건에 달하고 거래도 늘어나고 있다.

1.4분기 4천9백6건이던 거래필지수는 2.4분기 7천3백23건, 3.4분기
8천5백84건으로 늘었으며 4.4분기엔 1만건을 넘을 것으로 전망된다.

서울을 사람의 머리로 볼때 용인은 뇌로 들어가는 피를 공급하는 혈관
(도로)이 밀집된 목으로 곧잘 인용된다.

영동 경부고속도로가 용인시를 동서와 남북으로 가로지른다.

성남 수원 이천 안성 광주로 이어지는 17, 42, 43, 45번 국도도 통과한다.

서울 강남은 40분, 수도권 남부위성도시는 대부분 30분이면 닿을수 있다.

또 용인시 중앙을 통과해 한강으로 유입되는 경안천등 4개 하천이 흐르고
남북방향으로 낮지만 수려한 산맥이 누워있다.

이에따라 에버랜드 한국민속촌 양지리조트 MBC놀이동산등 각종 위락시설이
운영되거나 계획되고 있다.

교통요지이다 보니 대현물류 한국물류등 5개의 대형물류센타도 들어섰다.

96년 시로 승격된 용인은 이달초 "에코폴리스(ECOPOLIS:환경시범도시)"를
목표로 내건 도시계획을 마련했다.

서울 남부권의 환경친화적 전원주거지를 만들겠다는 구상이다.

이에따라 시전체를 성장관리권역과 자연보전권역으로 나눠 체계적인
도시개발에 들어갔다.

올 예산 3천5백억원중 1천5백억원을 도로 확 포장에 투입할 정도로
체계적인 도시환경기반을 다지고 있다.

특히 용인은 전원주택단지로 각광을 받고있다.

현재 신봉리 성복리엔 이미 2천여가구의 전원주택이 들어섰다.

지난해부터는 원삼면 백암면등 시남부권이 전원주거지로 급부상중이다.

원삼면은 남한강 최상류로 청정환경을 유지하고 있다.

게다가 연말 4차선으로 확장개통될 47번국도를 통하면 10분안에
중부고속도로에 올라설 수 있다.

이곳 구경공인 김장회대표는 "준농림지 시세가 평당 15~20만원으로
싼 편이어서 전원주택지를 구하려는 문의가 이달부터 부쩍 늘었다"고
말한다.

용인은 급속하게 개발되면서 잡음이 끊이지 않고 있다.

시장 시의회의장 주택과장등이 개발과 관련해 이권을 챙긴 혐의로
구속되거나 조사를 받고 있다.

토지공사가 추진하던 신성지구 택지개발사업도 정보가 사전유출돼
무산됐다.

토지보상을 노린 전원주택이 무질서하게 들어서 땅값이 치솟자 토공이
사업을 포기한 것이다.

신성지구는 생활오폐수가 여과없이 배출돼 슬럼화가능성마저 제기되고
있다.

민속촌-용인-포곡-에버랜드를 연결하는 21.3km의 경전철을 2003년까지
건설한다는 계획도 민자유치가 어려워 땅값만 부추긴채 지지부진하다.

강력한 행정력과 종합적인 기획력이 용인의 절실한 과제이다.

< 용인=백광엽 기자 kecorep@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12월 21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