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산업] 한보철강 향방 밑그림 좌우..'업계지도 어떻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철강산업의 구조조정은 어떤 식으로 이루어질까.
밑그림은 역시 한보철강의 향방이 결정돼야 그릴 수있을 것 같다.
한보철강은 "부실의 상징"으로 인식되고 있지만 설비규모에서는 포철에
이어 국내 2위다.
한보는 당진제철소 A지구(철근 열연공장)와 B지구(코렉스 전기로 연주설비)
에 연산 4백80만t 규모의 설비를 갖추고 있다.
특히 핫코일 설비를 갖고있는 업체는 포철 말고는 한보철강이 유일하다.
한보를 누가 인수하느냐에 따라 철강업체들간 경쟁구도가 달라질 수밖에
없다.
경쟁구도가 짜여져야만 후속 구조조정 방안이 마련될 수 있다는 얘기다.
한보는 현재 동국제강의 인수가 유력하다.
지난 16일 마감된 한보철강 국제입찰에서 동국제강은 A(철근 열연공장).
B(코렉스 전기로 연주설비)지구를 일괄 매입하겠다는 입찰제안서를 제출했다.
동국제강 외에 태국의 나콘타이스틸(NTS)이 입찰제안서를 냈으나 B지구의
일부 설비만을 인수하겠다고 제안, 일괄 매각을 원하는 채권단의 입장을
감안하면 현재로선 동국제강이 유력하다.
동국이 제시한 가격과 채권단의 희망 가격간 차이가 크긴 하나 밀고당기는
협상을 거쳐 결국은 동국이 일괄인수하게 될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동국이 한보를 인수하게되면 국내 철강업계는 포철과 동국의 2강 구도로
재편된다.
동국의 현재 설비규모는 철근 1백90만t, 후판 2백50만t(공사중인 설비
포함), 형강 1백40만t등 총 5백80만t.
연말 부산공장을 폐쇄해도 총 설비규모가 1천만t에 육박하게 된다.
게다가 동국은 냉연전문업체인 연합철강(설비규모 1백10만t)과
철근메이커인 한국철강(설비규모 1백40만t)을 계열사로 거느리고 있다.
동국이 한보 입찰에 적극 참여한 것도 국내 철강산업을 2강 구도로 바꿔
자사의 입지를 확고히 하기위한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철강산업이 포철과 동국 2강 체제로 전환되면 중소.중견업체는 물론
2,3위권 업체들의 위상에도 커다란 변화가 일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우선 철근메이커들의 교통정리를 예상할 수있다.
철근은 철강중에서도 설비과잉이 특히 심각한 분야로 손꼽히는 제품.
이미 중견메이커인 한국제강 환영철강 등이 부도로 쓰러지고 5대
철근메이커중 하나인 강원산업이 워크아웃을 신청한 상태여서 업계
내부에서도 설비축소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을 정도다.
철근메이커간 통폐합과 설비해외이전 등이 뒤따를 수밖에 없다고 업계
관계자들은 지적한다.
변화가 불가피하기는 판재류(강판) 부문도 마찬가지다.
현재 핫코일을 생산하는 업체는 포철과 한보 두회사 뿐이나 핫코일을
원자재로 사용하는 냉연 제조업체는 포철 동부제강 연합철강 현대강관
한보철강등 5사.
설비과잉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경쟁력이 떨어지는 업체는 외자유치 등
다른 대안을 찾을 수밖에 없다.
냉연업체간 통폐합도 그런 점에서 생각해볼 수있다.
한보가 처리되면 삼미특수강과 기아특수강도 본격적인 새주인 찾기에
들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회사정리절차가 개시된 삼미특수강은 한보철강과 비슷한 과정을 거쳐
주인을 찾을 것으로 보인다.
제일은행 등 채권은행단은 서둘러 국제입찰 이간사를 선정, 가장 효율적인
매각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삼미 관계자는 "현재 창원 및 울산공장의 가동률이 90%를 웃돌고 수출도
호조를 보이고 있어 기업가치가 높은 편"이라고 설명했다.
삼미특수강의 금융권 부채는 보증채무를 제외하면 7천억원 규모다.
삼미보다 앞서 지난 6월1일 회사정리절차가 개시된 기아특수강의 채권단도
원매자가 나올 경우 가격 협상을 통해 회사를 넘길 계획이다.
이를 위해 지난 7월 1차 관계인 집회를 개최한데 이어 오는 24일 2, 3차
관계인 집회를 잇달아 갖기로 했다.
산업은행은 기아특수강에 대한 효율적인 처리방안을 다각도로 모색했으나
그동안 경기위축으로 매각협상 대상을 찾지 못했다고 전했다.
철강전문가들은 이들 부실기업의 처리 윤곽이 잡히면 내년초부터 철강산업
전체의 구조조정 논의가 긴박하게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장기적으로는 포철 민영화도 철강산업구조조정의 또다른 변수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아직은 수면밑에서 움직이고 있지만 내년말께부터 일부 대기업이 포철
지분확보에 나서 철강산업 전반에 대한 개편을 몰고 올 것이란 분석이다.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12월 22일자 ).
밑그림은 역시 한보철강의 향방이 결정돼야 그릴 수있을 것 같다.
한보철강은 "부실의 상징"으로 인식되고 있지만 설비규모에서는 포철에
이어 국내 2위다.
한보는 당진제철소 A지구(철근 열연공장)와 B지구(코렉스 전기로 연주설비)
에 연산 4백80만t 규모의 설비를 갖추고 있다.
특히 핫코일 설비를 갖고있는 업체는 포철 말고는 한보철강이 유일하다.
한보를 누가 인수하느냐에 따라 철강업체들간 경쟁구도가 달라질 수밖에
없다.
경쟁구도가 짜여져야만 후속 구조조정 방안이 마련될 수 있다는 얘기다.
한보는 현재 동국제강의 인수가 유력하다.
지난 16일 마감된 한보철강 국제입찰에서 동국제강은 A(철근 열연공장).
B(코렉스 전기로 연주설비)지구를 일괄 매입하겠다는 입찰제안서를 제출했다.
동국제강 외에 태국의 나콘타이스틸(NTS)이 입찰제안서를 냈으나 B지구의
일부 설비만을 인수하겠다고 제안, 일괄 매각을 원하는 채권단의 입장을
감안하면 현재로선 동국제강이 유력하다.
동국이 제시한 가격과 채권단의 희망 가격간 차이가 크긴 하나 밀고당기는
협상을 거쳐 결국은 동국이 일괄인수하게 될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동국이 한보를 인수하게되면 국내 철강업계는 포철과 동국의 2강 구도로
재편된다.
동국의 현재 설비규모는 철근 1백90만t, 후판 2백50만t(공사중인 설비
포함), 형강 1백40만t등 총 5백80만t.
연말 부산공장을 폐쇄해도 총 설비규모가 1천만t에 육박하게 된다.
게다가 동국은 냉연전문업체인 연합철강(설비규모 1백10만t)과
철근메이커인 한국철강(설비규모 1백40만t)을 계열사로 거느리고 있다.
동국이 한보 입찰에 적극 참여한 것도 국내 철강산업을 2강 구도로 바꿔
자사의 입지를 확고히 하기위한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철강산업이 포철과 동국 2강 체제로 전환되면 중소.중견업체는 물론
2,3위권 업체들의 위상에도 커다란 변화가 일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우선 철근메이커들의 교통정리를 예상할 수있다.
철근은 철강중에서도 설비과잉이 특히 심각한 분야로 손꼽히는 제품.
이미 중견메이커인 한국제강 환영철강 등이 부도로 쓰러지고 5대
철근메이커중 하나인 강원산업이 워크아웃을 신청한 상태여서 업계
내부에서도 설비축소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을 정도다.
철근메이커간 통폐합과 설비해외이전 등이 뒤따를 수밖에 없다고 업계
관계자들은 지적한다.
변화가 불가피하기는 판재류(강판) 부문도 마찬가지다.
현재 핫코일을 생산하는 업체는 포철과 한보 두회사 뿐이나 핫코일을
원자재로 사용하는 냉연 제조업체는 포철 동부제강 연합철강 현대강관
한보철강등 5사.
설비과잉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경쟁력이 떨어지는 업체는 외자유치 등
다른 대안을 찾을 수밖에 없다.
냉연업체간 통폐합도 그런 점에서 생각해볼 수있다.
한보가 처리되면 삼미특수강과 기아특수강도 본격적인 새주인 찾기에
들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회사정리절차가 개시된 삼미특수강은 한보철강과 비슷한 과정을 거쳐
주인을 찾을 것으로 보인다.
제일은행 등 채권은행단은 서둘러 국제입찰 이간사를 선정, 가장 효율적인
매각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삼미 관계자는 "현재 창원 및 울산공장의 가동률이 90%를 웃돌고 수출도
호조를 보이고 있어 기업가치가 높은 편"이라고 설명했다.
삼미특수강의 금융권 부채는 보증채무를 제외하면 7천억원 규모다.
삼미보다 앞서 지난 6월1일 회사정리절차가 개시된 기아특수강의 채권단도
원매자가 나올 경우 가격 협상을 통해 회사를 넘길 계획이다.
이를 위해 지난 7월 1차 관계인 집회를 개최한데 이어 오는 24일 2, 3차
관계인 집회를 잇달아 갖기로 했다.
산업은행은 기아특수강에 대한 효율적인 처리방안을 다각도로 모색했으나
그동안 경기위축으로 매각협상 대상을 찾지 못했다고 전했다.
철강전문가들은 이들 부실기업의 처리 윤곽이 잡히면 내년초부터 철강산업
전체의 구조조정 논의가 긴박하게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장기적으로는 포철 민영화도 철강산업구조조정의 또다른 변수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아직은 수면밑에서 움직이고 있지만 내년말께부터 일부 대기업이 포철
지분확보에 나서 철강산업 전반에 대한 개편을 몰고 올 것이란 분석이다.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12월 22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