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제철의 미래기술 개발은 파이넥스(FINEX)공법과 스트립캐스팅 공법의
조기 상용화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용융환원제철법인 파이넥스 공법으로 쇳물제조 과정을 단순화함과 동시에
스트립캐스팅으로 주조부문을 진일보시켜 세계최고의 경쟁력을 유지하겠다는
전략이다.

<>파이넥스공법 =코렉스공법과 제철 원리가 같지만 분광을 활용할 수 있는
차이가 있다.

코렉스보다 진일보한 공법으로 제철기술의 완결판이라고 포철은 자체 평가
하고 있다.

파이넥스 공법은 코렉스 공법과 마찬가지로 철광석과 유연탄을 적당한 크기
로 예비 가공하는 소결공정 및 코크스 공정이 필요없다.

또 유해성가시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예비가공설비와 환경설비 등에 필요한
투자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더욱이 파이넥스공업은 가격이 싼 분광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원재료비가
적게 드는 이점이 있다.

전세계 매장량의 70% 이상 되는 8mm 이하 분광을 1백% 사용할 수 있어 일단
실용화되면 원가경쟁이 뛰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코렉스 공법은 예비환원로에 괴광이 충진층 형태로 환원되면서 용융환원로로
유입되지만 파이넥스 공법에서는 예비환원로로 유입된 분광이 3단의 유동층로
를 기포식으로 거쳐 용융환원로에 유입, 쇳물을 만들어낸다.

쉽게 말해 파이넥스는 코렉스의 장점을 보강한 공법이라고 할 수 있다.

90년대 초부터 파이넥스 공정에 대한 기초연구를 해 온 포철은 지난해 하루
15t을 처리할 수 있는 모델 플랜트를 설치, 경제성을 확인했다.

현재는 내년 6월 준공을 목표로 하루 1백50t을 생산할 수 있는 시험 설비를
건설중이다.

포철은 산업과학기술연구원 오스트리아 푀스트알피네(VAI)사와 공동으로
이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포철은 현재 약 52%의 공사진척도를 보이고 있는 시험 설비가 정상 가동될
경우 2001년부터 파이넥스 기술을 상업화할 계획이다.

포철은 국내외 철강산업의 여건을 봐가며 관련 기술을 수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스트립캐스팅(Strip Casting) =용강(쇳물)을 직접 회전하는 롤이나 몰딩
벨트에 주입해 얇은 철판을 제조하는 기술이다.

용강으로 먼저 두께 25cm의 슬래브를 만들고 이 슬래브를 다시 긴 라인의
열간압연기에 걸어 열연강판을 생산하는 기존의 공정과 비교할 때 열연공정이
필요없는 압연기술인 셈이다.

따라서 이 기술을 실용화하면 열간압연설비 및 냉간압연설비를 없애거나
줄일 수 있어 설비투자비를 지금보다 30%이상 낮출 수 있다.

더욱이 이 공법을 활용하면 기존의 고급강 특수강은 물론 고내열합금 경질
합금 비정질합금 등 다양한 제품을 만들 수 있다.

포철은 지난 89년부터 쌍롤방식에 의한 스트립캐스팅공법개발에 착수,
그동안 수백여차례의 주조시험을 거쳐 96년초 폭 1천3백mm 두께 1.6~5mm의
스테인리스강판생산에 성공했다.

현재는 상용열연판과 동등한 제품을 생산할 수 있게 되는 등 상업화직전의
기술수준에 도달했다고 포철측은 설명했다.

포철은 내년말까지 상세설계를 마치고 2001년까지 상용실증공정을 건설할
계획이다.

이같은 실증작업이 성공하면 이 설비를 상업생산설비로 바꿔 철강의 박판
주조공정시대를 열게 될 것으로 보인다.

-----------------------------------------------------------------------

[ 포철 고부가가치강 수주확대 및 신규개발 계획 ]

<> 98~99
- 수주확대 : 법랑용 냉연강판 등
13종 78만t(25만t은 98상반기수주분)
- 신규개발 : 원유수송관용 고장력 열연강판, 냉연 자성강판 등 63종,54만t
- 계 : 76종 132만t

<> ~2002
- 신규개발 : 고강도 스틸캔용 냉연강판, 자동차 외판용 아연도금 강판 등
55종, 75만t

- 계 : 55종 75만t

<> ~2005
- 신규개발 : 내 이산화탄소 열연강판, 초고성형 냉연강판 등 14종, 6만
- 계 : 14종 6만t

<> 계
- 수주확대 : 13종, 78만t
- 신규개발 : 132종, 135만t
- 계 : 145종 213만t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12월 22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