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8년 정부의 중소기업 정책은 벤처산업에 촛점이 두어졌다고 볼수있다.

한계 기업들은 도산하게 내버려두고 대신 새로운 벤처기업들로 경쟁력있는
산업구조를 갖추려는 정책이 추진됐던 것이다.

특히 벤처육성에 대한 대통령의 의지가 강했기에 정책적 강도가 더했다.

정부부처들이 제각기 벤처로 열내기에 바쁜 한해였다.

산업자원부 중소기업청 정보통신부 과학기술부 문화관광부 건설교통부
등에서 경쟁적으로 시책들을 쏟아냈다.

도 시 구청 등 지자체들도 벤처비즈니스를 난국돌파의 대안으로 삼아
테크노파크 창업인큐베이터 확충 등에 힘썼다.

그러나 이같은 분위기는 환란과 금융경색, 고금리 등의 영향으로 전반적으로
구호에 그쳤을 뿐 실효로 이어지지 못했다.

이런 상황에서 유아전자 서울시스템 두인전자 가산전자 정일이앤씨 등
30여개 중견 벤처기업들이 자금난을 견디지 못해 쓰러지고 말았다.

벤처캐피털회사들도 마찬가지였다.

고금리 상황에서 투자조합을 결성하지 못해 대부분 창투사들이 투자할
여력이 없었고 양질의 벤처창업도 극히 드물어 한해동안 개점휴업 상태였다.

물론 성과도 있었다.

성공한 벤처기업을 해외 기업에 고가에 매각하는가 하면 외자유치로 체질을
강화하는 사례도 잇따랐다.

닥터리 등 10여개사가 해외자본을 끌어들였고 프로칩스 기인시스템 등
상당수 업체들이 거의 성사단계에 있다.

올 하반기들어선 벤처 관련 자금도 풍부해졌다.

IBRD(세계은행) 자금, 정보통신부 및 중소기업진흥공단의 공공 벤처펀드,
지자체의 각종 벤처육성 자금 및 에인절(개인투자자)펀드 등이 벤처 재원
으로 마련됐기 때문이다.

핵심 과제중 올해도 여전히 해결되지 못한 것이 있다.

코스닥 시장의 활성화다.

투자자에 대한 세제혜택등 특단의 조치가 나오지 않아 침체의 늪에서
헤어나지 못했다.

최근 저금리 등의 영향으로 증시에 막대한 자금이 몰리면서 일부자금이
코스닥으로 넘쳐흘러가고 있으나 코스닥을 살리기에는 역부족이다.

벤처기업의 성공무대이자 벤처캐피털 투자회수의 장인 코스닥을 활성화
시키는 것은 내년 최대과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 문병환기자 moon@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12월 23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