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이광수 연구관은 24일 국산 다류제품과 수입품
3백4개 품목의 금속함량을 분석한 결과, 녹차 현미녹차 홍차 둥글레차 치커리
차에서 2백80ppm~1천2백53ppm의 알루미늄이 검출됐다고 밝혔다.
알루미늄은 의학계에서 치매원인으로 지목된 물질이다.
녹차 둥글레차 홍차 등 물에 우려마시는 침출차에서는 알루미늄이 평균 7백
19.2ppm, 현미녹차 등 분말차에서는 평균 1백63.8ppm이 검출됐다.
특히 수입품 홍차에서는 최고 1천2백53ppm, 현미녹차에서도 1천1백62ppm까
지 알루미늄이 검출됐다.
한편 물에 타 마시는 칡차, 인삼차 등 추출차에서 납과 세레듐이 각각 0.4
ppm,2.8ppm이 검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납은 통조림의 경우 기준치가 0.3ppm이다.
현행 식품공전에는 중금속 및 금속에 대해 각 금속별로 기준치가 따로 마련
돼있지 않고 단지 총량기준 5ppm 이하로만 규정돼 있다.
이광수 연구관은 "알루미늄이 아직 공식적인 유해물질로 지정돼 있지는 않
지만 치매원인 물질로 의심을 받는 만큼 알루미늄의 안전성에 대한 연구가
더 진행돼야한다"고 말했다.
< 정종호 기자 rumba@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12월 25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