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과 자동차 가전제품 등을 포함한 가계자산이 지난 10년간 가구당
평균 4배나 불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은 "97년기준 국부통계조사"를 통해 작년말 현재 우리나라의
한 가구당 평균 자산액은 6천5백52만원에 달한다고 25일 발표했다.

이는 10년전인 87년말의 1천6백32만원에 비해 4.0배 증가한 것이다.

자산형태별로는 주택이 3천5백74만원으로 87년(8백7만원)보다 4.4배
늘었다.

자동차 가구 등 가재(가재)자산은 같은기간중 8백26만원에서 2천9백79만원
으로 3.6배 증가했다.

지역별로는 대전의 가구당 자산이 7천4백37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반면 경북이 5천4백99만원으로 제일 적었다.

전체가구가 소유하고 있는 가계자산액을 감가상각하지 않고 평가한 97년말
현재 총가계자산액은 8백89조원으로 87년말의 1백68조원에 비해 5.3배
증가했다.

이중 서울이 2백8조원으로 23.4%, 경기가 1백57조원으로 17.6%를 차지하는
등 수도권지역에 가계자산이 편중된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 가계자산의 비중은 97년 46.8%로 87년의
44.0%보다 2.8%포인트 신장했다.

한편 정부가 소유하고 있는 자산은 10년새 8.1배 증가했다.

정부가 갖고 있는 유형고정자산과 재고자산을 감가상각하지 않고 평가한
97년말 정부자산액은 3백78조원으로 조사됐다.

자산형태별로는 건물 구축물 기계장치 등 유형고정자산이 87년말에 비해
8.5배 증가해 99.9%를 차지했다.

그러나 상품 제품 반제품 원재료 등 재고자산은 87년과 비교해 8분의1로
감소했고 비중도 0.1%로 떨어졌다.

정부자산의 63.2%는 지방자치단체가 소유하고 있다.

지자체중에서도 특히 광주(11.4배) 경기도(10.4배) 강원도(11.3배)의
자산은 10년새 10배이상 늘었다.

<>국부통계란=일정시점에 가계와 정부 기업부문이 보유하고 있는 자산을
감가상각하지 않고 집계한 것을 말한다.

이는 국민경제의 성장능력을 가늠하고 경제정책을 수립하는 데 기초자료로
쓰인다.

가계부문의 경우 주택외에 자동차 가전제품 등 3년이상 사용 가능한 내구재
1백46개 품목과 침구 의류 등 1년이상 3년미만 사용 가능한 준내구재 1백62개
품목을 모두 조사대상으로 한다.

조사표본은 전국의 5천가구다.

통계청은 지난 68년이후 10년주기로 국부통계를 조사하고 있다.

내년부터는 이를 매년 조사할 계획이다.

< 대전= 남궁덕 기자 nkduk@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12월 26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