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팅의 세계] '퍼팅그립 이렇게' .. 그립은 견실하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골프에서 "그립" 얘기만 나오면 모두가 "힘빼고 잡으라"한다.
그것은 긴장때문이다.
긴장은 자연스런 동작을 방해하며 미스샷을 유발시킨다.
긴장의 원인중 하나가 바로 그립을 세게 잡는 것.
그립 악력이 지나치면 팔에도 힘이 들어가고 팔에 힘이 들어가면 상체까지
뻣뻣해진다.
이런 연유로 인해 사람들은 "그립을 가볍게 잡아 긴장을 풀라"고 말한다.
스윙할때의 그립은 왼손 새끼손가락부터 세손가락 위주이다.
나머지 손가락들은 그냥 대고 있는 모습.
이는 그립이 손안에서 "놀 수도 있다"는 뜻으로 왜글(waggle)할때 그런
느낌을 받을 수 있다.
그러나 퍼팅만큼은 얘기가 가르다.
퍼팅 그립은 다른 클럽그립과 같이 왼손 새끼손가락 위주도 아니고 무조건
가볍게 잡는 것도 아니다.
퍼팅 그립이 느슨하면 절대 홀인이 보장되지 않는다.
스트로크중 그립이 흔들리는데 어떻게 볼이 제대로 구르겠는가.
실제 1~2m의 쇼트퍼트가 빠지는 것은 그립이 허술한데 기인한다.
퍼팅 그립을 너무 가볍게 하면 스트로크순간 그립이 뒤틀리며 처음부터
방향이 어긋난다.
다음이 퍼팅 그립에 대한 가이드이다.
<>퍼팅 그립은 세게 잡는 것도 아니고 가볍게 잡는 것도 아니다.
퍼팅그립은 "견실하게" 잡는 것이다.
또 다른 표현으로는 "단단히 잡는다"고도 할 수 있다.
<>견실한 퍼팅 그립은 양손이 퍼터 그립에 최대한 밀착된 형태이다.
이는 손아귀에 떠 있는 공간이 많으면 그만큼 그립이 "흔들릴 수 있다"는
뜻.
특히 양손 손바닥과 엄지는 착 대어 있는듯한 느낌이 와야 한다.
<>견실한 그립은 또 양손의 악력이 똑 같아야 한다는 의미도 된다.
한손은 세게 쥐고 한손은 약하게 쥐면 분명 균형이 맞지 않는다.
이 부분도 아주 중요한 요소이다.
<>악력의 세기를 1에서 10으로 가정할때 퍼팅 그립은 6정도가 적당하다.
즉 가장 약하게 쥘때를 1로하고 가장 세게 쥘때를 10으로 할때 퍼팅 그립은
6정도로 쥐어야 하는 것.
<>스트로크내내 손목을 고정시키는 것은 퍼팅의 핵심요소.
그런데 그립을 너무 약하게 잡아도 손목은 꺾이게 된다.
<>양손은 단단하게 잡지만 팔의 힘은 빼야 한다.
팔에 힘이 들어가면 백스윙할때 움찔하며 들쭉날쭉 스트로크가 된다.
양손 그립이 견실하면서도 팔이나 어깨는 부드러운 상태.
그것을 이해해야 한다.
< 김흥구 전문기자 hkgolf@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12월 26일자 ).
그것은 긴장때문이다.
긴장은 자연스런 동작을 방해하며 미스샷을 유발시킨다.
긴장의 원인중 하나가 바로 그립을 세게 잡는 것.
그립 악력이 지나치면 팔에도 힘이 들어가고 팔에 힘이 들어가면 상체까지
뻣뻣해진다.
이런 연유로 인해 사람들은 "그립을 가볍게 잡아 긴장을 풀라"고 말한다.
스윙할때의 그립은 왼손 새끼손가락부터 세손가락 위주이다.
나머지 손가락들은 그냥 대고 있는 모습.
이는 그립이 손안에서 "놀 수도 있다"는 뜻으로 왜글(waggle)할때 그런
느낌을 받을 수 있다.
그러나 퍼팅만큼은 얘기가 가르다.
퍼팅 그립은 다른 클럽그립과 같이 왼손 새끼손가락 위주도 아니고 무조건
가볍게 잡는 것도 아니다.
퍼팅 그립이 느슨하면 절대 홀인이 보장되지 않는다.
스트로크중 그립이 흔들리는데 어떻게 볼이 제대로 구르겠는가.
실제 1~2m의 쇼트퍼트가 빠지는 것은 그립이 허술한데 기인한다.
퍼팅 그립을 너무 가볍게 하면 스트로크순간 그립이 뒤틀리며 처음부터
방향이 어긋난다.
다음이 퍼팅 그립에 대한 가이드이다.
<>퍼팅 그립은 세게 잡는 것도 아니고 가볍게 잡는 것도 아니다.
퍼팅그립은 "견실하게" 잡는 것이다.
또 다른 표현으로는 "단단히 잡는다"고도 할 수 있다.
<>견실한 퍼팅 그립은 양손이 퍼터 그립에 최대한 밀착된 형태이다.
이는 손아귀에 떠 있는 공간이 많으면 그만큼 그립이 "흔들릴 수 있다"는
뜻.
특히 양손 손바닥과 엄지는 착 대어 있는듯한 느낌이 와야 한다.
<>견실한 그립은 또 양손의 악력이 똑 같아야 한다는 의미도 된다.
한손은 세게 쥐고 한손은 약하게 쥐면 분명 균형이 맞지 않는다.
이 부분도 아주 중요한 요소이다.
<>악력의 세기를 1에서 10으로 가정할때 퍼팅 그립은 6정도가 적당하다.
즉 가장 약하게 쥘때를 1로하고 가장 세게 쥘때를 10으로 할때 퍼팅 그립은
6정도로 쥐어야 하는 것.
<>스트로크내내 손목을 고정시키는 것은 퍼팅의 핵심요소.
그런데 그립을 너무 약하게 잡아도 손목은 꺾이게 된다.
<>양손은 단단하게 잡지만 팔의 힘은 빼야 한다.
팔에 힘이 들어가면 백스윙할때 움찔하며 들쭉날쭉 스트로크가 된다.
양손 그립이 견실하면서도 팔이나 어깨는 부드러운 상태.
그것을 이해해야 한다.
< 김흥구 전문기자 hkgolf@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12월 26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