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I면톱] 비인기학과 소나기지원..87개대 '정시'원서마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99학년도 주요 대학 정시모집에서 수험생들이 합격위주로 하향 안전지원해
상위권 대학의 인기학과 경쟁률이 낮아졌다.
수능 시험의 변별력이 크게 떨어진데다 상위권 학생들의 점수폭이 좁아진
때문이다.
이에 따라 서강대 경희대 중앙대 한양대 등 중상위권 대학에 수험생들이 몰
려 경쟁률을 큰 폭으로 끌어올렸다.
서울대 연.고대의 경우 법학 의예 경영 등 인기학과는 지원률이 저조한 반
면 비인기학과에 수험생이 몰려 모집단위간 양극화 현상이 뚜렷했다.
<>하향안전지원 = 특차 때와 가장 큰 차이는 전반적으로 하향 안전지원 추
세가 두드러졌다는 것이다.
특차에서 고득점자들이 대거 탈락해 이들과 경쟁하는데 부담을 느낀 때문으
로 풀이된다.
이같은 합격위주의 지원 경향은 서울대 등 상위권 대학에서 농경제사회학부
(10.7대 1) 소비자아동학부(8.8대 1) 식물생산과학부(8.4대 1) 체육교육전공
(8.7대 1)등 비인기학과에 수험생이 몰린데서도 확인된다.
<>여대 경쟁치열 = 남학생보다 수능 평균점수가 낮은 여학생들이 남학생과
의 경쟁을 피하기 위해 남녀공학 대학에 지원을 꺼려 여대로 몰렸다.
이에 따라 이화여대를 제외한 숙명여대 덕성여대 서울여대 등 서울 소재
중위권 여자대학의 경쟁률이 대부분 5대 1을 넘어섰다.
<>다.라군, 분할모집대 인기 = 서울대와 함께 "나"군에 속한 서강대가 6.9
대1로 인기가 높았다.
1천63명 모집에 7천3백32명이 지원했다.
4차례에 걸친 복수지원 기회로 "허수 지원자"가 각 대학으로 몰려 "다" "라"
군에 속한 대학이 대체로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으나 "가"군에 포진한 대학은
약세를 보였다.
서울 지역의 중상위권 대학이 몰려 있는 "가~나"군에는 수험생들의 소신지
원이 눈에 많았고 "다~라"군 대학에는 상대적으로 안전하향지원이 대세를 이
뤘기 때문이다.
특히 "가" "다" "라"군으로 나누어 분할모집하는 경희대는 3천3백93명 모집
에 3만8천4백81명이 원서를 접수시켜 11.34대 1의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다.
<>복수지원 증가 = 지난해의 경우 수험생 1명당 2.5개대 정도에 복수지원했
으나 이번에는 3개대에 복수지원한 것으로 입시전문가들은 분석했다.
4차례의 복수지원 기회를 최대한 활용하는 등 이른바 "포트폴리오 전략"을
구사한 수험생들이 늘었다는 얘기다.
이에 따라 합격자 발표후 무더기 미등록 사태가 빚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분석 = 입시전문가들은 서울대 특차 탈락 고득점자들이 몰린 연.고대 상
위권 학과 합격선은 예상보다 다소 높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또 주요 대학이 논술과 면접의 점수차를 대폭 줄이더라도 여전히 수능 성적
보다 논술.면접의 영향력이 절대적일 것으로 예상했다.
고려학력평가연구소의 김영선 평가실장은 "IMF 등 경제난의 여파로 사립대
에 비해 학비가 싼 지방 국공립대학과 취업이 보장되는 교육대와 사범계열
학과의 인기가 치솟았다"고 말했다.
< 이건호 기자 leekh@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12월 31일자 ).
상위권 대학의 인기학과 경쟁률이 낮아졌다.
수능 시험의 변별력이 크게 떨어진데다 상위권 학생들의 점수폭이 좁아진
때문이다.
이에 따라 서강대 경희대 중앙대 한양대 등 중상위권 대학에 수험생들이 몰
려 경쟁률을 큰 폭으로 끌어올렸다.
서울대 연.고대의 경우 법학 의예 경영 등 인기학과는 지원률이 저조한 반
면 비인기학과에 수험생이 몰려 모집단위간 양극화 현상이 뚜렷했다.
<>하향안전지원 = 특차 때와 가장 큰 차이는 전반적으로 하향 안전지원 추
세가 두드러졌다는 것이다.
특차에서 고득점자들이 대거 탈락해 이들과 경쟁하는데 부담을 느낀 때문으
로 풀이된다.
이같은 합격위주의 지원 경향은 서울대 등 상위권 대학에서 농경제사회학부
(10.7대 1) 소비자아동학부(8.8대 1) 식물생산과학부(8.4대 1) 체육교육전공
(8.7대 1)등 비인기학과에 수험생이 몰린데서도 확인된다.
<>여대 경쟁치열 = 남학생보다 수능 평균점수가 낮은 여학생들이 남학생과
의 경쟁을 피하기 위해 남녀공학 대학에 지원을 꺼려 여대로 몰렸다.
이에 따라 이화여대를 제외한 숙명여대 덕성여대 서울여대 등 서울 소재
중위권 여자대학의 경쟁률이 대부분 5대 1을 넘어섰다.
<>다.라군, 분할모집대 인기 = 서울대와 함께 "나"군에 속한 서강대가 6.9
대1로 인기가 높았다.
1천63명 모집에 7천3백32명이 지원했다.
4차례에 걸친 복수지원 기회로 "허수 지원자"가 각 대학으로 몰려 "다" "라"
군에 속한 대학이 대체로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으나 "가"군에 포진한 대학은
약세를 보였다.
서울 지역의 중상위권 대학이 몰려 있는 "가~나"군에는 수험생들의 소신지
원이 눈에 많았고 "다~라"군 대학에는 상대적으로 안전하향지원이 대세를 이
뤘기 때문이다.
특히 "가" "다" "라"군으로 나누어 분할모집하는 경희대는 3천3백93명 모집
에 3만8천4백81명이 원서를 접수시켜 11.34대 1의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다.
<>복수지원 증가 = 지난해의 경우 수험생 1명당 2.5개대 정도에 복수지원했
으나 이번에는 3개대에 복수지원한 것으로 입시전문가들은 분석했다.
4차례의 복수지원 기회를 최대한 활용하는 등 이른바 "포트폴리오 전략"을
구사한 수험생들이 늘었다는 얘기다.
이에 따라 합격자 발표후 무더기 미등록 사태가 빚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분석 = 입시전문가들은 서울대 특차 탈락 고득점자들이 몰린 연.고대 상
위권 학과 합격선은 예상보다 다소 높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또 주요 대학이 논술과 면접의 점수차를 대폭 줄이더라도 여전히 수능 성적
보다 논술.면접의 영향력이 절대적일 것으로 예상했다.
고려학력평가연구소의 김영선 평가실장은 "IMF 등 경제난의 여파로 사립대
에 비해 학비가 싼 지방 국공립대학과 취업이 보장되는 교육대와 사범계열
학과의 인기가 치솟았다"고 말했다.
< 이건호 기자 leekh@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12월 31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