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은행들은 작년 한햇동안 사상유례없는 혼란을 겪어야만 했다.

이들은 퇴출과 합병압력에 직면했었다.

실제로 충청 경기은행은 퇴출운명을 피하지 못하고 시중 은행들에 흡수
당했다.

강원은행도 조흥은행과 합병을 결정해야 했다.

제주은행은 벼랑 끝까지 내몰렸으나 재일교포 주주의 증자지원과 슬림화를
통해 회생의 길을 간신히 찾게 됐다.

충북은행은 작년 6월 퇴출고비를 넘겼지만 증자 등 경영정상화계획을 제때
이행하지 못해 합병의 도마에 오르내렸다.

결국 행장이 퇴진하는 등 우여곡절을 겪었다.

경남 부산은행도 합병과 독자생존 사이를 왔다갔다 하면서 홀로서기 쪽으로
일단 방향을 잡은 상태다.

전북은행은 박찬문 행장 등 경영진의 선견지명으로 일찌감치 내실경영에
주력, 작년 위기국면을 무사히 넘겼다.

광주은행은 작년 6월 "애향심"에 호소해 증자에 성공했다.

광주은행의 증자방식은 그 뒤 다른 지방은행들에 전파되기도 했다.

그러나 대구 부산 경남 광주 전북 제주 충북 등 7개 지방은행의 운명은
아직 불투명하다.

독자생존 노선을 고수하고 있지만 급변하는 금융환경은 지방은행의 앞날에
중대한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자본확충과 시중은행의 압박속에 생존모델을 만들고 생존공간을 확보하는
게 이들 지방은행의 시급한 과제다.

올 한해는 바로 이런 생존을 위한 틈새를 가늠하는 시험장이 될 듯하다.

-----------------------------------------------------------------------

[ 경남은행 ]

< 이춘영 행장 >


경남은행은 다른 어느 은행보다 앞서 강도높은 구조조정을 해왔다.

지역특성상 기업여신이 많아 부실화의 위험이 컸기 때문이다.

그러나 국제적 기준에 맞는 재무구조를 갖기에는 여러모로 준비가
부족했다는 지적이다.

경남은행은 지난해 구조조정차원에서 시중은행 못지않게 많은 직원들을
떠나보냈다.

점포와 해외사무소도 대거 폐쇄했다.

일부 자회사도 정리했다.

지난해 6월에는 자산재평가를 실시해 자기자본을 확충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런 자구노력에도 불구하고 작년 8월 회계법인의 경영진단결과는
이 은행의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은행감독원의 경영실태평가에서도 경영개선권고조치를 받았다.

이에따라 몰아닥친 "합병"압력은 이 은행이 버티기 어려울 정도로
거셌다.

합병압력은 올해도 누그러지지 않을 듯하다.

경남은행은 그러나 독자생존노선을 고수하고 있다.

작년 8월부터 "내고장은행 주식갖기"운동에 힘입어 1천억원의 증자를
추진하기도 했다.

합병은 마지막 선택일 뿐이다.

경남은행은 소매금융을 강화하기위한 "라이즈(RISE) 21"프로젝트를
추진해왔다.

올해도 소매금융을 강화해 지역전문은행으로 환골탈퇴한다는 전략이다.

지역사회에 밀착해 향토기업및 주민을 위해 일하는 은행이 되겠다는
포부다.

이 은행의 올해 캐치프레이즈는 이런 포부를 반영한 "거듭나는
은행,신뢰받는 은행,고객과 함께 번영하는 은행"이다.

경남은행은 또 리스크관리를 대폭 강화키로 했다.

이를 위해 리스크 관리전담조직을 독립시켜 위상을 강화하고 한도관리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컨설팅을 실시할 계획이다.

이와함께 기존 여신관행을 지속적으로 혁신시키면서 부실여신재발방지를
위해 여신심사위원회의 기능을 보강키로 했다.

경영진도 한층 분발하겠다는 각오를 다지고 있다.

이를 위해 우선 임원정수를 줄이고 주식매입선택권( Stock Option
)제도를 도입해 재임기간중 경영성과에 따라 보수를 달리 받도록
할 계획이다.

감사및 검사역의 기능을 강화하는 등 내부통제제도도 쇄신키로 했다.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1월 18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