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은 상호신용금고와 신용협동조합에 대한 대대적인 경영실태조사
에 나섰다.

금감원이 이들 서민금융기관의 경영실태를 조사하게 된 것은 국제통화기금
(IMF)체제 1년이 지나면서 상대적으로 영업기반이 취약해진 이들에 대한
구조조정을 시작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금감원은 전국 2백11개 신용금고에 대한 실태조사를 3월말까지 끝내기로
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를위해 우선 지난 21일부터 검사국 직원 24명을 58개 신용금고에 보냈다.

이번 조사에선 신용금고회사들이 금감원에 낸 작년말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이 적정한지를 집중적으로 점검한다.

신용금고는 처음으로 BIS비율을 작성했다.

실태조사결과 BIS비율이 낮은 금고에 대해선 적기시정조치에 따라 제재조치
를 취할 방침이다.

BIS비율이 5% 미만이면 증자 등을 포함하는 경영개선권고, 3% 미만이면
일부 영업정지 합병 등 경영개선조치요구, 1% 미만이면 주식소각 합병 등
경영개선조치명령이 내려진다.

신용금고에 대해서도 은행과 같은 적기시정조치가 도입된 것은 작년말이다.

처음으로 적기시정조치에 따른 구조조정이 시작되는 셈이다.

지금까지는 신용금고법에 따라 부실이 심화된 금고에 대해 경영지도를
해왔다.

금감원은 신협에 대해서도 경영실태조사를 시작했다.

대상은 작년 11월말 현재의 경영현황을 토대로 우선 25개를 선정했다.

이들에대한 조사가 다음달 9일 끝나는 대로 대상을 확대할 방침이다.

전국에 있는 신협은 모두 1천6백여개에 달한다.

금감원 관계자는 "신협은 적기시정조치 적용대상이 아니어서 불건전여신이
많은지를 집중 조사할 방침"이라며 "조사결과에 따라서는 간단한 경영지도
에서부터 합병이나 퇴출조치 등을 할수 있다"고 말했다.

지난 한해 신용금고는 27개가 퇴출됐다.

신협은 44개가 영업정지됐다.

< 고광철 기자 gwang@ 김인식 기자 sskiss@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1월 26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