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IMF 환란조사 특위"는 29일 이신행 전기산사장, 김인호 전청와대경제
수석, 이수휴 전은감원장, 김영태 전산업은행총재등을 증인으로 출석시켜
기아사태에 대한 이틀째 신문을 계속했다.

특위 위원들은 이날 신문에서 <>기산의 부실경영과 비자금조성 <>기아 부도
유예협약 과정에서의 정치권 외압 등을 집중 추궁했다.

또 이 전사장이 거액의 비자금을 조성해 정.관계에 뿌렸다는 의혹을 제기
하며 이른바 "이신행 리스트"의 실체를 밝힐 것을 요구했다.

이신행 전기산사장은 답변에서 "기산사장으로 재직할 때 건설비 과다계상
등을 통해 1백50억원을 만들어 로비자금과 리베이트 자금으로 사용했다"고
비자금 조성사실을 시인했다.

그러나 구체적인 사용처에 대해서는 "밝힐 수 없다"고 말했다.

특위위원들은 청문회에서 기산의 외형위주 경영과 이에 따른 차입금 증가가
기산부실의 직접적 원인이며 이는 곧 기아그룹 전체의 부실로 이어졌다고
주장했다.

자민련 정우택 의원은 "이 전사장 취임 이후 기산의 부채가 3~4배 늘어
97년엔 1조1천8백억원에 달했다"며 "93년 3백40%였던 부채비율은 97년
7백30%로까지 늘어났다"며 그 이유를 추궁했다.

국민회의 김영환 의원은 "기산 임직원들은 94년부터 97년까지 자동차 대금
과다계상분 1백51억여원, 하도급 용역대금 허위증액분 25억여원, 96년 총선
자금 16억여원 등 총 1백92억원을 비자금으로 조성했다"고 주장했다.

국민회의 이윤수 의원은 "기산이 경기도 김포에 "기산타운"을 건설하면서
계약한 설계 컨설팅 용역비 45억원중 40여억원을 빼돌렸다"는 의혹을 제기
했다.

국민회의 천정배 의원은 김 전경제수석에 대한 신문에서 "기아에 대한
부도유예협약은 97년 7월 8일 김인호 수석이 주재하고 당시 은감원장 산은
총재 등이 참석한 "관계기관대책회의"에서 결정된 것"이라며 "기아처리가
지연된 이유는 정부의 막후 영향력 때문"이라며 사실여부를 캐물었다.

< 이의철 기자 eclee@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1월 30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