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스사들이 급성장하고 있다.

숫자나 영업규모에서 상호신용금고 등 제도권 금융기관을 능가할 정도다.

파이낸스사는 그러나 금융감독의 사각지대에 방치돼 있는데다 예금자보호도
되지 않아 자칫하면 금융질서를 어지럽힐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실제로 10여개 파이낸스사에서 부도 또는 횡령사고가 발생한 만큼
투자자들을 보호할 수 있는 정부차원의 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된다.

파이낸스사들은 국제통화기금(IMF) 체제 이후 우후죽순격으로 늘고 있다.

파이낸스사는 지난 94년엔 5개, 95년엔 17개에 불과했다.

지난 1월말 현재는 6백여개로 늘어났다.

5년여만에 무려 1백배 이상 많아진 것이다.

서울 테헤란로와 부산지역에선 매일 새로운 이름의 파이낸스사가 생겨날
정도다.

파이낸스사들이 운용하고 있는 자금규모도 엄청나다.

제도금융권과 맞먹는다.

대략 30조원에 육박할 것으로 추산된다.

2백11개 상호신용금고의 수신고 25조원보다 많은 수준이다.

"부산지역 파이낸스협회에 소속된 10개 회사의 자금만 따져도 최소한
3조원 이상이나 된다"(S파이낸스 관계자)

영업망도 확대일로다.

J파이낸스는 본점 외에 12개 지점을 두고 있다.

S파이낸스는 부산 서울 인천 울산 등에 20개 영업점을 갖고 있다.

조만간 4개 지점이 더 생긴다.

현재 영업중인 일본 오사카 외에 대만 홍콩 등에도 지점을 열 계획이다.

파이낸스사는 이미 갯수나 영업규모면에서 신용금고보다 더 커진 셈이다.

파이낸스사가 이처럼 급성장한 것은 설립이 자유로운데다 금융구조조정의
여파 덕분이라는게 금융계의 분석이다.

파이낸스사는 자본금 5천만원만 있으면 누구나 설립할 수 있다.

정부의 허가도 필요없다.

게다가 지난해는 금융기관 구조조정이 태풍처럼 몰아쳤다.

은행 종금사들이 대거 퇴출되면서 금융공백상태가 생겼다.

부산지역이 대표적이다.

부산에서는 종금사 5개중 4개와 동남은행이 퇴출됐다.

대출받을 곳을 잃어버린 중소기업들은 발을 굴렀고, 자연스럽게 연 50%에
육박하는 파이낸스사들을 찾게 됐다.

부산지역에서만 1백여개의 파이낸스사 밀집돼 있는 것도 이런 이유다.

여기에 시장금리마저 한자릿수로 하락해 연 25%의 이자를 제시하는
파이낸스사에 서민들의 돈이 몰리고 있다.

이처럼 단기간내에 파이낸스사들이 급성장하다보니 많은 문제들이 생겨나고
있다.

감독당국의 감독을 받지 않기 때문에 사고발생 가능성이 상존하고 있다.

예금자 보호도 되지 않는다.

부도가 나거나 사장이 돈을 갖고 잠적해 버리면 고객들은 투자금을
고스란히 날리게 된다.

투자자들의 피해는 이미 현실화하고 있다.

부산 동구 좌천동 S파이낸스, 부산 연제구 연산동 S파이낸스, 부산진구
전포동의 J파이낸스, 부산 진구 부전동의 S파이낸스가 부도를 내거나
투자금을 돌려 주지 않고 있다.

사정이 이런데도 정부는 아무런 대책이 없다.

파이낸스사의 건전한 발전을 유도하면서 어떤 식으로든 서민들의 피해를
막을 수 있는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는게 금융계의 일치된 지적이다.

< 부산=김태현 기자 hyun11@ 김인식 기자 sskiss@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2월 5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