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경영 정상화를 위해서는 경영진에 대한 보상체계를 획기적으로 개편
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경영를 잘못해 부실한 은행이나 우량한 은행이나 경영진이 똑같은 월급을
받는 것은 불합리하다.

이에따라 경영실적에 따라 급여도 달라지도록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는
것이다.

일부에선 배상책임 등 은행장의 의무가 더욱 늘어나는 만큼 은행장 급여를
높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8일 한국은행이 지난해 11월 국정감사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국내
은행장의 연봉은 국책은행 1억1천만원, 시중은행은 1억5백만원 정도로
대부분 은행들이 비슷한 연봉체계를 갖고 있다.

마치 공무원과 같다.

공무원은 부처가 달라도 직급이 같으면 급여고 사실상 똑같다.

은행은 그동안공익기관성격이 강하다는 이유로 은행장들이 공무원같은
대우를 받았다.

경영실적이 아무리 좋아도, 은행을 퇴출시켜야 할 만큼 실적이 나빠도
받는 월급은 큰 차이가 없었다.

이런 풍토에선 획기적인 아이디어를 내 경영실적을 높일수 있도록 은행장을
자극하기 어렵다.

김정태 주택은행장이 경영실적에 따라 보수가 달라지는 스톡옵션을 도입
했다.

하지만 다른 은행들은 여전히 옛 관행을 답습하고 있다.

보수를 현실화하고 능력에 따라 급여가 완전히 달라지는 풍토가 정착돼야만
경영실적이 잘못됐을때 적정한 책임을 물을수가 있다.

대우도 고만 고만하기 때문에 경영잘못에 대한 책임도 확실치 않다.

대부분 은행장들은 IMF를 맞아 월급을 10~20% 반납, 실제 연봉은 8천만~
9천만원정도에 불과하다.

한 시중은행장은 "이 정도 액수는 은행장의 품위를 유지하는데 적당하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주장했다.

외국의 경우 최고경영자들은 높은 급여를 통해 경영진에 대한 물질적
보상을 해주고 있다.

인사전문 컨설팅회사인 타워스페린의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일반근로자와
최고경영자의 급여차이는 미국이 24배 영국은 18배, 일본은 10배를 보였다.

그러나 한국은 6배에 그쳐 조사대상 18개 국가 가운데 최하위를 기록했다.

물론 이는 전체 경영진을 대상으로한 결과이지만 은행에 비겨도 큰 차이가
나지 않으리라는게 컨설팅업계의 설명이다.

최근 국제금융센터에서 연구원을 모집하는데 희망자들이 10만달러
(1억2천만원) 이상의 연봉을 요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 은행 임원은 물론,행장보다도 높은 수준이다.

이에 따라 앞으로는 은행장 급여를 현실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헌재 금융감독위원장도 지난주 금융연구원이 주최한 워크숍에서 "유능한
경영진의 확보를 위해 은행장의 기본급여를 높이는 등 보상을 현실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정태웅 기자 redael@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2월 9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