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전세계 국.공영기업들의 민영화가 97년에 비해 5분의1 이상 감소한
1천1백45억달러에 그쳤다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7일 밝혔다.

이처럼 민영화 규모가 감소한 것은 지난 94년 이후 처음으로 금융위기가
확산되면서 가격 하락을 우려한 각국 정부가 자산매각을 꺼렸기 때문으로
풀이됐다.

OECD는 세계 민영화 추이에 대한 최근 보고서를 통해 특히 빈국들의 경우
민영화 규모가 97년에 비해 51%나 감소한 2백85억달러에 그쳤다고 지적했다.

OECD 비회원국중에는 유일하게 브라질이 지난해 하반기중 국영 통신회사를
2백55억달러에 매각하는등 활발한 민영화 작업을 벌였다고 덧붙였다.

OECD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개발도상국들의 민영화 작업이 부진할 것으로
전망했다.

콜롬비아, 페루, 대만, 태국, 인도네시아 등 일부국들이 적극적인 민영화를
약속하고는 있지만 민영화 성과는 건당 규모가 큰 에너지 통신분야의
구조조정 속도에 달려있다고 설명했다.

반면 선진국들은 올해에도 지난 5년간 추진해 온 강력한 민영화 노력을
지속할 것으로 전망됐다.

지난해 선진국들의 전체 민영화 규모는 세계 전체의 4분의3을 차지한
것으로 조사됐다.

유럽연합(EU)의 경우 지난해 전체 민영화 규모가 5백66억달러로 97년에
비해 12% 감소했으나 프랑스는 1백35억달러로 93년 이래 최대를 기록했고
이탈리아와 스페인에서는 1백36억달러와 1백16억달러를 각각 달성했다.

올해 주요 국제 민영화건(건)으로는 프랑스 텔레콤의 2단계 주식 매각과
스위스콤 민영화, 일본 NTT의 4차 주식 매각, 그리고 1백90억달러에 달하는
브라질 텔레브라스(TBR) 민영화 등 통신분야가 주도할 것으로 보인다.

이들 통신분야의 전체 민영화규모는 4백50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민영화의 두번째 주력 분야는 금융으로 97년의 60억달러에서 올해는
2백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OECD는 예상했다.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3월 9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