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시그마 운동은 경영혁신운동이다.

기본적으로는 품질관리 운동이지만 차원이 기존의 품질운동과 다르다.

대상이 제품이 아니라 제품 설계에서 출하까지의 모든 경영활동 과정이다.

6시그마의 이러한 속성은 성공을 위한 여러가지 조건을 요구하고 있다.

6시그마 운동을 성공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최고경영자의 강력한 리더쉽이
필요하다.

6시그마 운동으로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고있는 GE는 잭 웰치라는
"카리스마"경영자를 보유하고 있다.

그는 6시그마 운동을 펴면서 교육을 승진 승급과 연계시키며 전사원의
참여를 유도하고 했다.

6시그마에 대한 그의 믿음은 거의 신앙에 가까왔다.

모토로라의 갤빈 회장도 회의를 직접 주제하는등 의지를 보였다.

두번째 요건은 정확한 데이터에 근거한 관리이다.

현상을 객관적이고 정확하게 파악해야 이해집단으로부터 거부당하지 않으
면서 정확한 진단을 내릴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위해 6시그마 운동을 시작하기 전에 각종 데이터를 완벽하게 수집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조직을 정비해야한다.

특히 우리 기업들은 테어터가 적은데다 있는 데이터도 정확하지 않은 경우가
많아 데이터 관리에 관심을 가져야한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세번째 성공 요소는 직원들에대한 교육과 훈련이다.

교육과 훈련은 어떤 캠페인이든지 필요하지만 6시그마 운동에서 특히 강조
되고 있다.

6시그마가 일종의 의식개혁 운동이라는 점에서 그렇다.

모토로라와 GE는 6시그마 운동을 성공시키기위해 전사원을 대상으로 교육을
시켰다.

또 6시그마 운동을 주도할 블랙벨트를 수천명씩 양성했다.

교육과 훈련은 현장 직원들의 거부감을 없애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6시그마 운동이 일상적인 경영활동으로 전개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도 중요하다.

매일 아침에 하는 부서회의나 식사시간과 같은 일상 생활의 하나라는 인식을
가져야 정착될수있다는 것이다.

또 부품을 조달하는 회사의 경우 협렵업체들도 이 운동에 참여시켜야한다.

모토로라는 부품업체들이 너무 많아 6시그마를 달성하는데 어려움을 겪었다.

이 회사는 최근 협력업체수를 10분의 1 수준으로 줄이기까지 하고 있다.

이밖에 운동에 들어가기 전 직원들에게 왜 6시그마 운동을 해야하는가를
이해시켜야 한다.

회사의 품질 수준이 현재 몇 시그마인지를 사내에 알려 직원들이 도전의식을
갖도록 해야한다.

전문가들은 6시그마 운동을 시작하기 전에 6개월이상의 준비기간이 가질
필요가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 박주병 기자 jbpark@ >

[ 6시그마의 5대성공요소 ]

<> 최고경영자의 리더십
- 6시그마에 대한 신념
- 강력한 통솔력 필요

<> 데이터에 의한 관리
- 정확한 데이터의 수집
-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적용

<> 직원들에 대한 교육/훈련
- 전직원들을 대상으로 한 교육
- 전문기관에 위탁 또는 전문가 초청

<> 시스템 구축
- 6시그마운동/경영활동의 하나로 정착
- 모든 직원들을 대상으로 함

<> 직원들의 이해 충분한 준비
- 현재의 품질수준과 목표를 명확히 함
- 6개월이상 준비기간 필요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3월 13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