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듭나는 공기업] 주인찾기 시동 : 재계판도 바뀐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공기업 민영화는 재계 판도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올 전망이다.
한국중공업처럼 경영권 매각 형태로 추진되는 민영화는 엄청난 영향력을
가진다.
매입 대상이 누구냐에 따라 재계 서열은 순식간에 뒤바뀔 수 있다.
지분매각 형태의 단계적 민영화도 파장이 크기는 마찬가지다.
언젠가 민영화될 것이라고 보면 매각되는 지분이 갖는 의미는 적지 않다.
경영권 확보로 이어지는 전초전 성격을 띨 수도 있다는 얘기다.
민영화 대상 공기업들의 위상을 알면 재계에 미치는 영향력도 가늠할 수
있다.
현재 경영권 매각이 추진되고 있는 곳은 한국중공업.
자산가치만 3조원을 훌쩍 뛰어 넘는 거대기업이다.
삼성중공업과 현대중공업의 발전설비를 통합한 뒤 매각하도록 돼 있어
자산규모는 이보다 훨씬 크다.
한국전력의 경우 정부는 수화력 발전단지 55개를 6개의 자회사로 나눠
2002년까지 민영화할 예정이다.
이중 한곳이 올해중 매각된다.
발전자회사별 추정 자산가치는 대략 30억~50억달러.
정부는 워낙 덩치가 큰 탓에 국내외 업체들이 컨소시엄 형태로 응찰할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해 한전의 매출은 대략 14조원.
원자력발전소가 제외된다는 점을 감안해도 자회사 한곳당 줄잡아 2조원
가까운 매출을 안정적으로 올릴 수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
덩치가 부담스럽긴 해도 발전자회사 매입에 따른 매출효과는 거의
천문학적이다.
한국가스공사도 상황은 엇비슷하다.
일정대로라면 2002년까지 완전 민영화된다.
가스공사는 지난해 3조6천억원 가량의 외형을 기록했다.
LNG를 수입해 도시가스업체나 한전에 되파는 도매상 역할로 얻은 매출이다.
또다른 독점을 막기위해 가스공사를 분할 민영화한다고 가정해 보자.
분할된 조직을 사들이기만 하면 앉아서 몇천억원대 매출을 쉽게 올릴 수
있다.
도시가스가 확대 보급되고 전력산업 구조개편으로 민자발전사업자 숫자도
늘 것으로 보임에 따라 매출 전망도 밝은 편이다.
재계에서 군침을 삼키지 않는다면 오히려 이상한 얘기가 된다.
특히 LNG 복합발전소 건설을 통해 민자발전사업에 참여한 LG에너지
현대에너지 대구전력 입장에선 여간 흥미롭지 않다.
구체적인 매각 방안은 확정되지 않았지만 담배인삼공사도 재계의 지각변동을
가져올 변수임에는 틀림없다.
내년까지 담배독점체제를 풀겠다는 게 정부 입장.
따라서 올해 상반기중 매각되는 지분 25%가 어디로 가는지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
현재 재계 판도는 현대 삼성 대우 LG SK의 순.
지난해 4월 공정거래위원회가 자산총액을 토대로 발표한 순서다.
물론 여기에는 현대의 기아자동차 인수 등 지난해의 변화는 반영되지
않았다.
매각대상 공기업이 어디로 붙는가에 따라 위.아래가 바뀔 소지도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때문에 민영화는 국내 그룹순위를 흐트러뜨릴 수 있는 메가톤급 재료다.
민영화차원에서 매각되는 공기업을 손에 넣을 경우 덩치만 커지는 게
아니다.
관련 산업의 주도권을 완전히 장악할 수 있다는 데 더 큰 의미가 있다.
한중은 이런 맥락을 이해시켜 주는 대표적인 예다.
업종 구조조정 차원에서 한중은 발전설비를 통합한 뒤 매각된다.
이렇게 되면 발전설비 부문에서는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게 된다.
만약 발전소 건립을 추진한다면 한중을 사들인 기업이 유리한 고지를
점할 수 있다는 추측이 가능하다.
바로 이 점에 주목하면 지금 삼성과 현대사이의 불꽃 튀기는 신경전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재계 빅딜과정에서 사업영역이 축소됐다며 위기의식을 느끼거나 에너지
관련산업 진출을 꾀하는 그룹들은 공기업 민영화에 참여할 가능성이 높다.
공기업 민영화는 국내기업과 다국적기업간의 제휴를 부추기는 계기로도
작용할 전망이다.
국내 기업으로선 대규모 인수자금을 지원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외국업체 입장에서는 제휴를 통해 한국시장, 더 나아가 아시아지역의
생산기지로 공기업을 활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ABB가 모그룹과 손잡는다거나 모그룹이 GE와 제휴관계를 타진중이라는
소문이 나도는 배경에는 바로 한중의 민영화가 있다.
공기업 민영화는 재계에 엄청난 영향과 파장을 예고하고 있다.
< 박기호 기자 khpark@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3월 31일자 ).
한국중공업처럼 경영권 매각 형태로 추진되는 민영화는 엄청난 영향력을
가진다.
매입 대상이 누구냐에 따라 재계 서열은 순식간에 뒤바뀔 수 있다.
지분매각 형태의 단계적 민영화도 파장이 크기는 마찬가지다.
언젠가 민영화될 것이라고 보면 매각되는 지분이 갖는 의미는 적지 않다.
경영권 확보로 이어지는 전초전 성격을 띨 수도 있다는 얘기다.
민영화 대상 공기업들의 위상을 알면 재계에 미치는 영향력도 가늠할 수
있다.
현재 경영권 매각이 추진되고 있는 곳은 한국중공업.
자산가치만 3조원을 훌쩍 뛰어 넘는 거대기업이다.
삼성중공업과 현대중공업의 발전설비를 통합한 뒤 매각하도록 돼 있어
자산규모는 이보다 훨씬 크다.
한국전력의 경우 정부는 수화력 발전단지 55개를 6개의 자회사로 나눠
2002년까지 민영화할 예정이다.
이중 한곳이 올해중 매각된다.
발전자회사별 추정 자산가치는 대략 30억~50억달러.
정부는 워낙 덩치가 큰 탓에 국내외 업체들이 컨소시엄 형태로 응찰할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해 한전의 매출은 대략 14조원.
원자력발전소가 제외된다는 점을 감안해도 자회사 한곳당 줄잡아 2조원
가까운 매출을 안정적으로 올릴 수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
덩치가 부담스럽긴 해도 발전자회사 매입에 따른 매출효과는 거의
천문학적이다.
한국가스공사도 상황은 엇비슷하다.
일정대로라면 2002년까지 완전 민영화된다.
가스공사는 지난해 3조6천억원 가량의 외형을 기록했다.
LNG를 수입해 도시가스업체나 한전에 되파는 도매상 역할로 얻은 매출이다.
또다른 독점을 막기위해 가스공사를 분할 민영화한다고 가정해 보자.
분할된 조직을 사들이기만 하면 앉아서 몇천억원대 매출을 쉽게 올릴 수
있다.
도시가스가 확대 보급되고 전력산업 구조개편으로 민자발전사업자 숫자도
늘 것으로 보임에 따라 매출 전망도 밝은 편이다.
재계에서 군침을 삼키지 않는다면 오히려 이상한 얘기가 된다.
특히 LNG 복합발전소 건설을 통해 민자발전사업에 참여한 LG에너지
현대에너지 대구전력 입장에선 여간 흥미롭지 않다.
구체적인 매각 방안은 확정되지 않았지만 담배인삼공사도 재계의 지각변동을
가져올 변수임에는 틀림없다.
내년까지 담배독점체제를 풀겠다는 게 정부 입장.
따라서 올해 상반기중 매각되는 지분 25%가 어디로 가는지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
현재 재계 판도는 현대 삼성 대우 LG SK의 순.
지난해 4월 공정거래위원회가 자산총액을 토대로 발표한 순서다.
물론 여기에는 현대의 기아자동차 인수 등 지난해의 변화는 반영되지
않았다.
매각대상 공기업이 어디로 붙는가에 따라 위.아래가 바뀔 소지도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때문에 민영화는 국내 그룹순위를 흐트러뜨릴 수 있는 메가톤급 재료다.
민영화차원에서 매각되는 공기업을 손에 넣을 경우 덩치만 커지는 게
아니다.
관련 산업의 주도권을 완전히 장악할 수 있다는 데 더 큰 의미가 있다.
한중은 이런 맥락을 이해시켜 주는 대표적인 예다.
업종 구조조정 차원에서 한중은 발전설비를 통합한 뒤 매각된다.
이렇게 되면 발전설비 부문에서는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게 된다.
만약 발전소 건립을 추진한다면 한중을 사들인 기업이 유리한 고지를
점할 수 있다는 추측이 가능하다.
바로 이 점에 주목하면 지금 삼성과 현대사이의 불꽃 튀기는 신경전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재계 빅딜과정에서 사업영역이 축소됐다며 위기의식을 느끼거나 에너지
관련산업 진출을 꾀하는 그룹들은 공기업 민영화에 참여할 가능성이 높다.
공기업 민영화는 국내기업과 다국적기업간의 제휴를 부추기는 계기로도
작용할 전망이다.
국내 기업으로선 대규모 인수자금을 지원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외국업체 입장에서는 제휴를 통해 한국시장, 더 나아가 아시아지역의
생산기지로 공기업을 활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ABB가 모그룹과 손잡는다거나 모그룹이 GE와 제휴관계를 타진중이라는
소문이 나도는 배경에는 바로 한중의 민영화가 있다.
공기업 민영화는 재계에 엄청난 영향과 파장을 예고하고 있다.
< 박기호 기자 khpark@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3월 31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