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수한 발명아이디어를 가진 개인 발명가와 중소 벤처기업들이 기술개발과
사업화에 발벗고 나서고 있다.

기술발전속도가 예전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빨라져 아무리 좋은 기술도
제때 상품화하지 못하면 사장될 위험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더욱이 국제통화기금(IMF)체제 이후 창업과 발명개발에 대한 정부의 지원도
점차 늘어나고 있다.

기술력 있는 영세 발명가와 중소기업에겐 "이보다 더 좋을 수 없는" 사업
환경이 펼쳐지고 있는 셈이다.

특히 젊은 발명가와 연구자들의 창업 열기가 달아오르고 있다.

대기업 못지 않은 아이디어와 탄탄한 기술로 무장한 이들은 적은 돈으로
사업할 수 있는 틈새아이템을 찾아내고 있다.

기술사업화 바람은 특허 실용신안 의장 등 산업재산권이 얼마나 사업화
됐는가를 살펴보면 한눈에 알수 있다.

특허청에 납부되는 연차등록료를 토대로 산정한 산재권 사업화율은 94년
21.6%에서 97년 24%로 괄목할만한 증가율을 보였다.

지난해 IMF영향으로 다소 주춤했지만 올해엔 다시 회복될 것으로 발명계는
내다보고 있다.

발명진흥회의 산재권 상품화율 조사결과를 보면 사업화 열풍은 더욱
두드러진다.

총 조사대상 8백18건 가운데 34.7%(2백84건)가 독자적으로 또는 다른
산재권과 공동으로 산업현장에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특허권의 상품화율은 산업 선진국인 일본의 33%선보다 오히려
높은 35.7%에 달했다.

이는 특허청 발명진흥회 등 발명특허 관련기관들이 산재권 매매알선 등을
통해 우수기술의 사업화를 적극 유도한 덕분이다.

그러나 아직도 산재권의 3분의 2 이상이 사업화되지 못하는 현실은 우려
되는 대목이다.

피땀어린 돈과 시간 기술이 물거품이 되는 것은 개발자는 물론 국가에도
크나큰 손실이다.

개인발명가들은 우수기술을 사장시키는 주원인으로 기업화 자금동원의
어려움(56.4%)을 꼽는다.

법인의 경우 낮은 시장성과 경제전망의 어려움(45.0%)으로 인해 사업화의
꿈을 접고 있다.

따라서 정부의 정책과 지원방향도 현장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개인 발명가를 위한 사업화 자금을 대폭 늘리고 벤처 중소기업에는 시장
수요와 경영환경을 정확하게 예측할수 있는 평가모델을 제시하는데 초점을
맞춰야 한다는 얘기다.

특히 자본력이 약한 개인 발명가의 상품화율(26.4%)이 기업(45.7%)의 절반
수준에 그쳐 이들에 대한 지원이 강화돼야 한다.

이를 위해 개인발명품에 대한 세제혜택을 확대하고 발명가와 투자가를
연결시키는 전담기구도 설치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 정한영 기자 chy@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5월 19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