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노총이 사실상 총파업을 철회하고 노사정위원회에 복귀하기로 했다.

또 정부가 민주노총과 적극 대화에 나서기로해 노동계의 파업투쟁은 마무리
국면에 접어들었다.

한국노총은 24일 전국노조대표자회의를 열고 26일 총파업 강행 여부를
지도부에 위임키로했다.

한국노총은 이날 회의에서 "정부와의 협상에서 몇가지 이견이 남아 있어
추가협상을 한 뒤 파업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한국노총과 정부는 <>철도 체신 등 공기업 인력감축 규모를
노사정위원회에서 논의하고 <>노사가 체결한 임단협을 정부가 최대한
존중키로 하는 등 공기업 구조조정과 관련된 핵심쟁점에 대해 의견이 접근된
상태여서 타결전망은 낙관적이다.

이에따라 이상룡 노동부장관과 박인상 위원장은 25일 공동기자회견을 갖고
합의안을 공식 발표할 예정이다.

한국노총과 정부는 협상타결뒤 "노사관계제도개선위원회"를 구성,
노조전임자 임금지급, 근로시간 단축, 산별교섭체계 확립 등 노동현안을
논의키로 했다.

양측은 또 노사정위원회법 시행령이 공포되는 대로 노사정위를
정상화하기로 했다.

이에따라 노사정위원회는 늦어도 7월중순에는 민주노총을 제외한 상태에서
활동을 재개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이 장관과 국민회의 한광옥 노동특위위원장은 24일 오후 명동성당에서
단식투쟁중인 민주노총 이갑용위원장 등을 만나 구속및 수배자 문제를 법이
허용하는 범위안에서 최대한 선처하겠다고 밝혔다.

민주노총은 이에대해 <>구조조정철회 <>특별검사제 도입 <>공안대책협의회
해체 <>근로시간 단축 등을 포함한 요구안을 전달했다.

민주노총 관계자는 "우리의 요구조건에 대한 청와대측의 조치를 지켜본뒤
투쟁수위를 조정하겠다"고 말했다.

< 김태완 기자 twkim@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6월 25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