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천년 새시대를 여는 대학] 지역사회 고도화 앞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지방대학을 살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지방대가 몰락하면 지역사회도 붕괴돼 결국에는 국가의 백년대계 자체가
위기를 맞을 수밖에 없다는 우려 때문이다.
특히 현재와 같은 수도권 집중형 시스템을 고치지 않고서는 국가의 균형
발전을 기대할 수 없다는 여론이 높아지고 있다.
지방대들이 가장 고심하고 있는 대목은 학생이탈.
재정난으로 직결되기 때문이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집계에 따르면 99학년도 지방대의 신입생 미충원
인원은 모두 1만5천6백41명.
전국 1백86개 4년제 대학 미등록인원(1만8천4백52명)의 85%가 지방대에서
생겼다.
이로 인한 등록금 수입 결손액만도 6백억~7백억원에 달한다.
지방대의 학생 부족현상은 지난 97학년도부터 복수지원제가 확대되면서
심화됐다.
지방대와 수도권 대학에 동시에 합격한 학생들이 대부분 수도권행을 택했기
때문이다.
편입학 모집인원 확대도 큰 요인이었다.
97년 3만4천5백여명이던 편입학생이 98년에는 4만8천4백여명으로 늘었다.
올들어 지난 1학기에만 3만8천8백여명이 편입학 열차를 탔다.
교육부는 대량 편입학에 따른 부작용을 막기 위해 뒤늦게 편입학 인원을
제한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편입학 인원 제한과 같은 단편적인 조치만으로는 "지방대 공동화"
현상을 막을 수 없다는게 전문가들의 견해다.
복수지원으로 2~3개 대학에 합격한 학생들이 수도권 대학을 선호할 것은
뻔하기 때문이다.
더구나 오는 2003년에는 절대 학생수가 현재보다 10만명 이상 줄어든다.
이에따라 지방대 육성을 위한 근본적인 대책이 마련돼야 할 것으로 지적
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무엇보다 특단의 재정 지원책이 시급하다고 주장한다.
지방대 출신 학생들의 취업난도 정부가 직접 나서서 해결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다.
취업이 보장되지 않는 상황에서 학생 유치는 공염불이나 같기 때문이다.
최소한 지방대 출신이라는 이유만으로 경쟁할 기회조차 빼앗기는 일은
없어야 한다는 얘기다.
물론 지방대의 자율적인 구조조정과 개혁작업도 빼놓을 수 없다.
특히 지역적인 환경과 산업체의 요구를 무시한 학교운영으로는 위기를
벗어날 수 없다는 분석이다.
교과과정 개혁, 중복학과 통폐합, 지역밀착형 특화전략 추진 등을 적극
추진해야 할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한 대학 관계자는 "하버드나 옥스퍼드대학도 우리나라로 치면 지방대학"
이라면서 "지방 분권화가 잘 이뤄진 나라일수록 명문 대학이 많다는 사실은
결코 우연이 아니다"고 말했다.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7월 1일자 ).
지방대가 몰락하면 지역사회도 붕괴돼 결국에는 국가의 백년대계 자체가
위기를 맞을 수밖에 없다는 우려 때문이다.
특히 현재와 같은 수도권 집중형 시스템을 고치지 않고서는 국가의 균형
발전을 기대할 수 없다는 여론이 높아지고 있다.
지방대들이 가장 고심하고 있는 대목은 학생이탈.
재정난으로 직결되기 때문이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집계에 따르면 99학년도 지방대의 신입생 미충원
인원은 모두 1만5천6백41명.
전국 1백86개 4년제 대학 미등록인원(1만8천4백52명)의 85%가 지방대에서
생겼다.
이로 인한 등록금 수입 결손액만도 6백억~7백억원에 달한다.
지방대의 학생 부족현상은 지난 97학년도부터 복수지원제가 확대되면서
심화됐다.
지방대와 수도권 대학에 동시에 합격한 학생들이 대부분 수도권행을 택했기
때문이다.
편입학 모집인원 확대도 큰 요인이었다.
97년 3만4천5백여명이던 편입학생이 98년에는 4만8천4백여명으로 늘었다.
올들어 지난 1학기에만 3만8천8백여명이 편입학 열차를 탔다.
교육부는 대량 편입학에 따른 부작용을 막기 위해 뒤늦게 편입학 인원을
제한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편입학 인원 제한과 같은 단편적인 조치만으로는 "지방대 공동화"
현상을 막을 수 없다는게 전문가들의 견해다.
복수지원으로 2~3개 대학에 합격한 학생들이 수도권 대학을 선호할 것은
뻔하기 때문이다.
더구나 오는 2003년에는 절대 학생수가 현재보다 10만명 이상 줄어든다.
이에따라 지방대 육성을 위한 근본적인 대책이 마련돼야 할 것으로 지적
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무엇보다 특단의 재정 지원책이 시급하다고 주장한다.
지방대 출신 학생들의 취업난도 정부가 직접 나서서 해결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다.
취업이 보장되지 않는 상황에서 학생 유치는 공염불이나 같기 때문이다.
최소한 지방대 출신이라는 이유만으로 경쟁할 기회조차 빼앗기는 일은
없어야 한다는 얘기다.
물론 지방대의 자율적인 구조조정과 개혁작업도 빼놓을 수 없다.
특히 지역적인 환경과 산업체의 요구를 무시한 학교운영으로는 위기를
벗어날 수 없다는 분석이다.
교과과정 개혁, 중복학과 통폐합, 지역밀착형 특화전략 추진 등을 적극
추진해야 할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한 대학 관계자는 "하버드나 옥스퍼드대학도 우리나라로 치면 지방대학"
이라면서 "지방 분권화가 잘 이뤄진 나라일수록 명문 대학이 많다는 사실은
결코 우연이 아니다"고 말했다.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7월 1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