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졸과 대졸 실업자를 채용하는 사업주에게 일정기간 보조금을 지급하는
정부지원 인턴제가 오히려 "애물 단지"로 전락하고 있다.

정부가 2차로 인턴사원을 모집하고 있지만 "정원 미달"이 빚어지고
있어서다.

여전히 실업자가 넘쳐나는데도 인턴모집에선 신청미달이 생기는 것은
홍보부족과 잘못된 기준 때문이다.

실업자과 실업구제대책이 걷돌고 있는 것이다.

대졸자들 사이에선 인턴사원을 "심부름만 시키다 쫓아내는 자리"로 잘못
인식, 아예 기피하는 현상이 확산되고 있다.

그런가하면 고졸자에 대해선 신청자격을 지나치게 제한해 필요한 사람들
에겐 "그림의 떡"이 되고 있다.

<> 신청자 급감 =5일 노동부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대학별로 정부지원
인턴희망자를 접수한 결과 1만7천여명이 신청하는 데 그쳤다.

인턴배정 목표인원이 2만명이었지만 3천명이나 부족했다.

올해 초 1차 인턴제 시행 때는 모집인원(3만6천명)이 2개월만에 차 초과
인원을 소화하지 못했었다.

특히 서울대 연세대 등 명문대의 경우 이번 모집에서의 신청자가 올해초에
비해 25%수준에 불과했다.

고졸 인턴의 경우는 훨씬 심각하다.

대졸자들의 신청상황을 감안, 처음으로 1만5천명을 모집했지만 4일까지의
신청자는 3백여명에 불과한 실정이다.

특단의 대책이 없는 한 올해말까지 목표인원을 채우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고졸 인턴을 쓰겠다는 사업장이 없어서가 아니다.

고졸인턴 구인업체는 1천80여개, 수요인원은 2천9백여명에 달하고 있다.

<> 신청미달의 원인 =인턴제도에 대한 홍보가 제대로 안돼 있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인턴사원은 일정기간이 지나면 쫓겨나는 한시직이고 임금도 낮다는 인식이
확산돼 있다.

정부가 인턴사원에 대한 정규직 편입의무 비율을 높였지만 제대로 알려지지
않고 있다.

힘들게 일하다 몇달만에 다시 실직자로 돌아갈 바엔 아예 인턴사원이 되지
않겠다는 것이다.

서울 K대학 취업정보실 관계자는 "인턴사원을 경험한 사람들이 정규직
사원의 잔시부름을 한 경험 등을 전해 홀대받는다는 생각을 갖고있다"며
"대부분 자격증 공부를 하면서 기회가 닿으면 정규직 사원으로 취업하려
하고있다"고 말했다.

이 대학의 경우 지금까지 39명이 인턴을 수료했으나 정규직으로 채용된
사람은 10명에 불과했다.

고졸인턴제에서는 기준과 절차 등이 복합적으로 잘못돼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실업계 고교 졸업생을 주요 대상으로 학교에서 모집을 받기 때문에 지원자
가 적을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최근 경기가 호전되면서 실업계졸업생들은 그런대로 일자리를 잡고 있다.

아직 실업상태인 졸업생들이 있긴 하지만 취직을 위해 학교를 찾아오는
경우는 적다는 것이 일선 지도교사들의 지적이다.

서울 S공고 취업담당자는 "졸업한 학생 본인이 학교를 찾아오지 않으면
우리로서도 방법이 없다"고 말했다.

정작 필요한 곳은 인문계 고교 졸업생이지만 직업과정을 이수하지 않은
인문고 졸업생은 아예 모집대상이 아니다.

<> 개선방안 =노동부는 뒤늦게 대졸인턴에 대해 추가신청 기간을 정해
등록을 받을 방침이다.

각 대학에 달라진 인턴제도를 알리는 홍보자료도 보내기로 했다.

고졸인턴에 대해서는 자격요건을 크게 완화할 방침이다.

지금까지는 지원자격을 98년 2월이후 실업계고교를 졸업했거나 인문계
직업과정을 이수한 미취업자로 제한했다.

앞으로는 모든 고교졸업생에게 지원자격을 줄 예정이다.

고교를 졸업한 18~20세 청년실업자가 8만5천명에 달하는 만큼 자격제한을
풀면 지원자가 크게 늘어날 것으로 보고있다.

노동문제 전문가들은 "세금으로 운영하는 실업자 구제대책이 정책부실로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며 "인턴사원제도의 취지를 충분히 알리고 절차
등을 개선하면 지원자가 몰릴 것"이라고 강조했다.

< 김태완 기자 twkim@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7월 6일자 ).